프론트엔드 신규 기술 스택 검증?! 쉽다~ 쉬워~~ 엥? 문서는 덤으로 (feat. Cursor - o3-mini, Obsidian)

소개

수염을 가진 남자의 그림


신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가장 큰 고민은 기술 스택 선정입니다. 특히, 변화가 빠른 프론트엔드 기술 스택을 정할 때에는 신중 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공식문서를 읽고 해당 기술의 동작원리를 분석하고 만들어야 할 서비스에 적합한지 검증하는 것은 까다로운 작업입니다.

이번에는 LLM(Large Language Model)의 힘을 빌려 2시간 만에 신규 기술 스택의 동작원리를 파악하고 기술검증을 완료 했습니다.

제가 React Native(Expo) + Tamagui의 기술 검증을 어떻게 했는지 공유 드리겠습니다.

진행 방법

저는 아이디에이션을 목적으로 텍스트 편집을 할 때 Obsidian 문서 폴더를 Cursor로 열어 사용합니다.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양한 LLM 모델 이용
2. 개발자 친화적
3. composer로 문서 즉-시 생성


제가 기술 검증하려고 했던 라이브러리는 expo와 tamagui 였습니다.

저는 react-native-cli로 react-native 개발을 해본적은 있지만, expo로 개발을 해본적은 없었습니다.
expo가 이전에 비해 안정적으로 바뀌었고 지원하지 않았던 기능들을 많이 제공한다는 것을 얼핏 알고 있었습니다.
또한 react-native 공식문서에서도 Get Started에서도 expo를 추천하고 있기 때문에 expo를 도입해볼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Expo와 함께 새로운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시작하십시오

react-native에 사용하기 좋은 UI kit이 필요했고 tamagui라는 재밌어 보이는 UI kit을 발견했습니다.


본격적인 기술 검증에 들어갔습니다. 기술 스택 검증에 대한 추론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되어서 o3-mini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한국어 화면의 스크린 샷


쉽게 이해하기 위해 표, mermaid, 타입스크립트 코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결과를 만들어달라고 했고, 몇초만에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해줬습니다.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내용을 읽으면서 배포 방식에 대해 궁금해 졌습니다. 설명해준 OTA를 통해 지원이 종료되는 codePush(앱 스토에 출시를 하지 않고 JS번들을 교체해서 앱을 업데이트 하는 도구)를 대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국 텍스트가있는 화면의 스크린 샷


그렇군...!

또 다른 궁금증도 있었습니다. expo 코드 작성 시 react-native-cli와 다른 점은 무엇인지 알고 싶었습니다.

흰색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네이티브 코드 접근, 라우팅 방식 등에 대한 차이를 알려줬습니다.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 샷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이외에도, 'tamagui 초기 세팅 방법과 스타일링 예시', 'tamagui가 성능적으로 우수한 이유', 'OTA 비용' 등, Q&A를 계속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습니다.

1. **적용 가능성:**
   - 대부분의 일반적인 프로젝트에 적합
   - 빠른 개발과 프로토타이핑이 중요한 경우 특히 유용

2. **리스크 관리:**
   - 초기 설정에 충분한 시간 투자 필요
   - 성능 최적화 전략 수립 필요
   - 팀 학습 곡선 고려

3. **권장 사항:**
   - 프로젝트 초기에 충분한 PoC 진행
   - 점진적인 도입 전략 수립
   - 지속적인 성능 모니터링


그리고... 고난은 있겠지만 충분히 도전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과와 배운 점

LLM으로 빠르게 기술에대한 철학과 동작원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AI와 지속적인 Q&A를 통해 궁금한 점을 점진적으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Obsidian + Cursor로 빠르게 문서를 작성하고 관리 할 수 있습니다.

해보면서 느낀점은 라이브러리 사용에 대한 기술 블로그 작성에도 굉장히 유리하겠다는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Obsidian + Cursor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문서에대한 아이디어를 댓글로 함께 공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