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ri
kuri
🏅 AI 마스터
📹 SNS 찐친

문과생도 AI 2주차 과제

연습문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숫자의 합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문제였는데, 허접하지만 9줄짜리 코드를 짜고나서 뿌듯해 하며 정답코드를 봤더니, 달랑 6줄로 완성…ㅠㅠ
게다가 다시 과제를 보니 ‘챗지랑 대화하며’ 였음….내가 난독증이 있는지 살짝 의심하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문제를 챗지랑 클로에게 각각 물어봤습니다. 실행시켜 보니 클로가 더 사용자 친화적인 것 같습니다.


참고로, 사용자가 숫자가 아닌 값을 입력하면 경고문구를 출력하고 해당 입력을 전체 개수에서 제외하는 수정코드를 요청해봤습니다.

클로에서는 한 방에 해결, 챗지는 한 번 오류나서 다시 시켰더니 완성입니다. 클로 1승!
눈에 띄는 점은, 이전 코드는 둘다 for 구문으로, 그리고 수정 코드는 둘다 while을 사용하는군요. 이유는 말이죠… 당연히 제가 알턱이 없 뭘까요?


연습문제2

이 문제는 “외부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고, JSON 형식으로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요청, JSON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을 연습”하는 것입니다.

일단 이른아침에 님의 포스팅을 보고 가입해서 API 키를 받았고요…
마찬가지로 챗지와 클로 모두에게 코드노동을 시켰습니다.

둘다 한 방에 해결하더군요.
저같은 초짜에게는 클로의 코드가 주석도 많고 읽기 쉬웠습니다만, 코딩을 잘하시는 분들은 챗지가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도시명을 영어 이외의 언어로 입력을 하면, 에러가 나길래 외국어 입력도 되도록 시켜봤는데요…
결론은 OpenWeatherMap API 자체의 언어한계 때문에 근본적으로는 불가능하고, 외부 번역 API나 도시명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야 한답니다.
수정된 코드를 보니 챗지나 클로 모두 딕셔너리를 사용해서 코딩을 했습니다.


영문도시명은 필요할 때마다 하나씩 업데이트 해야 한다는데 그렇게 해놓아도 언제 다시 쓸지 모르고, 한꺼번에 그 많은 도시명을 한글로 넣자니 노가다…
물론 정 원하면 이런 노가다는 다른 코드를 짜거나 어디서 다른 API를 찾아도 될 것 같기는 하지만, 굳이 이걸…? ^^
한국의 대표 도시 몇 개만 넣고 그냥 영어 쓰는게 편할 듯 합니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결과물이 제 손으로 직접 짠 코드는 아니었지만, 정말 재미있는 과제였습니다.
지피터스 부트캠프에서는 매번 저에게 신세계를 열어주는군요…^^
다음 과제도 벌써 궁금해 집니다.


대화내역:
챗지: https://chat.openai.com/share/08529ea2-11d7-405b-8edb-48ac64801d5a
클로: https://claude.ai/chat/a808d1be-41d0-4921-96af-ae83cd2d5e8d

7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