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로 미래 데이터 예측하기


연도별 전력 소모량을 통해서 미래의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고자 합니다.

제가 또 에너지공학과를 다니고, 인과추론에 관심이 많아서, 에너지 분야에서는 주로 AIR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모델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또 이번에, OpenAI에서 코드 인터프리터를 출시했는데요. 이를 통해서 데이터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사용하는 데이터 입니다.

자료의 출처입니다.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를 이용합니다.

2009년부터 2021년까지 연도별 전력 사용량을 제시하겠습니다.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을 이용하세요.
2022년과 2023년에 전력수요량을 예측해주세요. 이에 대한 근거는 ARIMA로 합니다.

연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1인당 전력소비량 8,092 8,883 9,142 9,331 9,285 9,305 9,555 9,699 9,869 10,195 10,039 9,826 10,330


그랬더니 짜잔, 코드 인터프리터가 파이썬을 가지고 와서 답을 해주었습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2년에는 10,811. 2023년에는 10,920이라고 하네요.

https://chat.openai.com/share/a49e105f-08c3-490e-8f9e-f9cf04e867ad


이런 코드 인터프리터와 같은 AI를 데이터 분석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전공 교육생 모집🧑‍🎓> 을 지금 모집하고 있습니다.

교육비 무료 & 월 최대 100만 원의 활동비 & 취창업 멘토링이 지원이 된다고 합니다. 데이터 분석&AI 프로덕트 제작에 관심있다면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ㅎㅎ

7월 21일(금) 16:00에 진행되는 사전설명회 신청 링크입니다.
https://forms.gle/pAqyDETb7DRdsYp19

사전 설명회 신청을 인증해주시고, 해당 폼에 첨부해주시면, 대학생 연합 ‘지피터스’에서 별도로 10분께 커피쿠폰을 드립니다! https://forms.gle/cjthH1SxvKskke2b6

6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