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I 학대 전문가 김동원입니다.
왜 아직 저만 중간고사가 끝나지 않은거죠?
이번에는 Google Cloud에서 제공하는 vertex AI를 활용하여 “Search and Conversation”기능을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를 새로 만드신 후, 새 앱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저는 이전에 ‘My Project 81210’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만들었기에 그냥 진행했습니다.
크게 ‘검색’과 ‘채팅’의 두가지 어플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저는 ‘채팅’으로 시작했습니다!
먼저 설정을 하나씩 맞춰가면서 앱을 만들어 줍니다.
한글로 아주 친절하게 되있기에 별다른 설명 없이도 충분히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을 위해 자신이 갖고 있는 데이터를 입력하면 됩니다!
입력 가능한 데이터에는 크게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웹사이트 url
BigQuery - google
Cloud Storage - google
API
지피터스 url로 챗봇 테스트를 해보기 위해 입력하였습니다.
8기 모집 페이지와 지피터스 공식 홈페이지 두가지 url을 입력하였습니다.
데이터 스토어 제작의 마무리로 이름까지 ‘gpters’로 설정했습니다 🙂
등록 완료~!
그런데 진행이 안되더라구요,,,
세팅에 들어가서 살펴보니, 도메인 소유권이 확인되어야 url에서 자동 크롤링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부랴부랴 The Right it(아이디어 불패의 법칙_알베르토사보이아).pdf를 다운받아 데이터 파일로 사용했습니다.
데이터를 pdf형식으로 직접 업로드 하는 것은 안되고, Google Cloud Storage에 파일을 우선적으로 업로드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Google Cloud Storage에서 The Right It.pdf 파일 업로드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Search & Conversation의 앱 만들기로 돌아가 데이터를 Cloud storage에서 가져옵니다.
그러고 나서 마무리 설정을 완료해주면 앱이 생성됩니다!!
한글로 되어 있기에 아주 쉽게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생성된 앱을 클릭하면 본격적으로 세팅을 할 수 있게됩니다.
바로 아래처럼 말이죠.
그런데 여기부터는 바로 불친절하게 영어가 잔뜩…
그리고 사용 방법도 훨씬 다양하고 복잡해졌습니다.
내부에서 어떤 흐름으로 챗봇이 대화를 이어나갈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관련된 다양한 챗봇의 조건들을 설정할 수 있어 보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ML, Multimodal 등의 기능도 사용가능해 보였습니다.
아직 시험기간이라 제대로 연구하지 못해 이번 발표는 여기까지 준비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