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 과제_2_복습 문제

문제 6: 리스트와 인덱스

fruits = ["사과", "바나나", "체리"]
print(fruits[1])

  • 위 코드의 출력 결과는 무엇일까요?

    1. "사과"

    2. "바나나"

    3. "체리"

    4. "fruits"

해설: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해서 1이 두번째 요소입니다.

문제 7: 모듈 가져오기

import pyautogui

  • 위 코드에서 pyautogui는 무엇을 위해 사용되는 모듈일까요?

    1. 인터넷 브라우저 제어

    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동화

    3. 데이터 분석

    4. 그래픽 디자인


해설: pyautogui는 파이썬에서 GUI 자동화를 위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즉, 사용자의 마우스, 키보드 입력을 자동으로 시뮬레이션하여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대신하여 컴퓨터에 명령을 내릴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조작하는 등의 작업에 활용됩니다.


문제 9: 문자열 포매팅

name = "홍길동"
age = 20
print(f'{name}님의 나이는 {age}살입니다.')

위 코드에서 사용된 f는 무엇을 의미하며, 출력 결과는 무엇일까요?

  1. 함수, "홍길동님의 나이는 20살입니다."

  2. 파일, "name님의 나이는 age살입니다."

  3. 포매팅, "홍길동님의 나이는 20살입니다."

  4. 폴더, "홍길동님의 나이는 20살입니다."

해설 : 위 코드에서 사용된 f는 문자열 포매팅을 의미합니다. 이는 파이썬 3.6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f-문자열 포매팅 기능으로, 중괄호 안에 직접 변수 이름이나 표현식을 넣어 동적으로 문자열을 구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홍길동님의 나이는 20살입니다."가 됩니다. 정답은 3. 포매팅, "홍길동님의 나이는 20살입니다."입니다.


문제 11: 리스트 슬라이싱

fruits = ["사과", "바나나", "체리", "딸기", "포도"]
print(fruits[1:4])

  • 위 코드의 출력 결과는 무엇일까요?

    1. ["사과", "바나나", "체리"]

    2. ["바나나", "체리", "딸기"]

    3. ["체리", "딸기", "포도"]

    4. ["사과", "바나나", "체리", "딸기"]


해설 : 위 코드의 출력 결과는 ["바나나", "체리", "딸기"]입니다. 리스트 슬라이싱에서 fruits[1:4]는 인덱스 1부터 인덱스 3까지의 요소를 포함하는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합니다. 파이썬에서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 슬라이싱에서 끝 인덱스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바나나"(인덱스 1), "체리"(인덱스 2), "딸기"(인덱스 3)를 포함하는 리스트가 생성됩니다. 정답은 2. ["바나나", "체리", "딸기"]입니다.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