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체내 대사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Interactive network graph] 을 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의 전문성을 드러낼 수 있는 [포트폴리오 웹 사이트] 을 개발하였습니다.
목표는 1 시간 이내 MVP 를 제작하는 것에 있었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Step.1 (성공)
[Model]
Claude Sonnet Extended
[Prompt]
Response in english :
Interactive network graph 가 landing page 인 홈페이지를 만들고 싶어.
검은 배경에 하얀색 Interactive network graph 이다.
각 node 에 커서를 갖다대면 node가 커지면서 metabolite 의 이름이 떠야한다.
Step.2 (실패)
[Model]
Lovable
[Prompt]
다음 코드가 main landing page 가 되는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어줘.
[개인적인 피드백; 실패 요인]
-> 장점 : 매우 전문적이고, 디테일한 수준의 홈페이지 제작은 가능함.
-> 단점 : 지시했던 interactive network graph 코드를 전혀 반영하지 않음. 즉, 작성자의 지시를 일부 무시하고, Lovable 자체적으로 홈페이지를 만들어 버리는 경향이 있음.
Step.2 (성공)
[Model]
[Prompt] #Lovable 에서 사용한 동일한 prompt 를 사용함.
다음 코드가 main landing page 가 되는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어줘.
[개인적인 피드백; 성공 요인]
아래 영상을 확인하면, Interactive network graph 을 반영한 개인 포트폴리오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다만, User 의 지시가 부재한 경우에는 Lovable 과 같이 자체적으로 제시하는 디테일하고 다양한 기능들이 반영되지 않음.
결과와 배운 점
각 인공지능 모델 별로 강점과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MVP 를 통해 실제로 각 모델들의 특징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른 모델 선정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지피터스, Threads 와 같은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제고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