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과 집사가 함께 건강해지는 서비스 기획 도전기

숲 속에서 개를 걷는 여자

1️⃣ 소개

지난 스터디에서 반려 동물 관련 서비스가 너무나 매력적으로 느껴져서 어떻게든 만들고 싶어서 시작했습니다.

포인트로 잡은 3가지

1) 반려견의 건강과 집사의 건강을 함께 관리한다

2) 자주 찾을 수 있도록 게임, 재미 요소를 넣는다.

3) 14기 스터디 동안 제가 꾸준히(!) 고민했던 3대 만성질환과 연결성

위 포인트를 종합하여, 반려견과 집사가 같이 산책을 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는 서비스를 기획해보았습니다. 산책을 통해 반려견과 집사가 함께 건강 관리를 하고, 결과를 비교하여 게임 형태로 기록할 수 있습니다.

2️⃣ 진행 방법

1) perplexity 에서 관련 자료 확인

1단계 검색 " 반려동물이 견주의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으로 관련 문헌 검색

: 산책을 하는 것 자체가 걷기, 달라기와 연결되는 운동이라 효과가 있을 거란 예상은 했는데. 정신건강 까지 개선 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한국 뉴스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2단계 검색 : 러닝 코스의 지형에 따라 칼로리 소비량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한 관련 문헌 확인 -> 함께 산책한 코스의 지형 등에 따라 칼로리 소비에 영향이 있을 것 같아, 관련 정보도 확인해보았습니다. 지형에 따른 칼로리 소비에 대한 변화가 있다는 게 확인되면, 코스 입력 부분에서 거리와 함께 코스의 특징을 추가하고, 그에 따른 소비 칼로리 계산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려고 합니다.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한국어 한국어 한국인 한국인 한국인
흰 종이에 한국어 단어

경사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산책 코스 정보에 반영하고, 집사와 반려견이 함께한 일상을 기록하고,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재미 요소를 넣는 구성으로 반려동물과 집사가 함께 산책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는 서비스를 구체화 하는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2) cluade ai 를 사용해 서비스 기획 및 코딩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 클로드와 대화를 주고 받으며 아래와 같이 기능을 정리했습니다.

    • 산책 코스

      • 평소 자주 가는 코스를 저장 한 뒤 기록

      • 반려견 동반 산책 가능 코스로 지정된 곳 탐색 (지도 api 활용)

      • 산책 코스의 특징 입력 기능 (평지, 언덕 등)

    • 소비하는 열량 kcal 계산

      • 견주의 신체정보와 반려견의 건강 정보를 입력

      • 산책한 날의 날씨와 온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날씨 정보 기록

      • 코스 경사도, 견주의 평소 운동량, 반려견의 조심해야 하는 증상 등을 기록

    • 게임 요소

      • 위 정보를 통해 나온 견주와 반려견의 kcal 소진 결과로 1:1 대결 형태의 게임으로 구성

      • 승부에 따라 반려견이 보내는 메세지 형태로 결과를 보여줌

      • 다시 같이 산책을 하고 싶도록 유도

      • 승부 결과를 SNS 공유 하는 기능

3) claude artifacts로 코딩하기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 실제 코딩을 하면서는 자주가는 코스 저장을 위해서는 저장공간이, 인근 산책로를 찾기 위해서는 지도 API가, SNS 공유하기 기능을 넣으려고 해도 API 등 실질적인 개발 기술이 필요했습니다.

  • 그래서 아쉽지만. 코스 기록 / 프로필 기록/ 운동 결과 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입력한 정보로 최종 대결 결과를 1회만 볼 수 있는 기능으로 축소했습니다.

  • 서비스 명을 포함한 대결 결과를 반려견 입장에서 주인에게 말을 거는 컨셉으로 정리했습니다.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3️⃣ 결과와 배운 점

  • 여기까지 코딩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인 오류가 발생하여 현재 최종 완성단계에 이르진 못했습니다. 다른 코딩 툴을 활용해서 좀 더 구체화 해볼 계획입니다.

  • 반려동물에 꽂혀서 기획을 시작했지만, 러닝 동호회, 커플, 가족 이 함께 운동하는 형태로 확장해도 좋겠습니다.

  •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많아서 아주 상세하게 구현하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기회가 되면 DB 세팅, 스마트워치 연동 (견주의 걸음수, 심박수 등을 명확히 확인 ) 을 해봐야겠습니다.

  • 반려견 전용 웨어러블 기기가 있다면 반려견 건강 관리가 더 쉬울 것 같은데 이미 나온게 있을 것 같아서 더 찾아봐야겠습니다.

4️⃣ 도움 받은 글

지난 주 화요일에 소개된 신약개발 스터디 14기의 반려동물 관련 모든 사례 😎

3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