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혈구와 겸상적혈구의 차이는?_알파폴드로 두 헤모글로빈 구조 차이 확인해보기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와우~ 어느덧 이번 기수 마지막 사례네요...

쭉 해오던 것 처럼 알파폴드를 이용해 봤는데요.

이번에는 보다 실질적인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 구조를 살펴봤습니다.

유전자 이상으로 생기는 겸상적혈구의 구조는 과연 정상적혈구와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Tip: 사용한 프롬프트 전문을 꼭 포함하고, 내용을 짧게 소개해 주세요.

Tip: 활용 이미지나 캡처 화면을 꼭 남겨주세요.

Tip: 코드 전문은 코드블록에 감싸서 작성해주세요. ( / 을 눌러 '코드 블록'을 선택)

먼저 사용한 도구는 언제나 처럼 챗지피티와 알파폴드인데 이번에는 클로드의 도움도 받았습니다.

우선 겸상적혈구가 뭔지 잠깐 살펴볼까요?

적혈구와 백혈구

보시는 그림의 왼쪽이 정상적혈구이고 오른쪽이 낫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겸상적혈구라고 합니다. 딱 봐도 정상은 아니죠?

그럼 이 두 적혈구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한국어와 중국어가 적힌 테이블

챗지피티에게 물어보니 너무 잘 정리해 주네요. 대략의 내용은 유전자 이상으로 아미노산 서열 하나가 바뀌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 구조가 이상하게 변했다는... 그래서 기능도 제대로 못한다는... 뭐 그런 뜻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헤모글로빈의 서열을 챗지피티에 물었습니다.

그런데.... 몇 차례 해봤는데 서열이 좀 이상하게 나와서 클로드 찬스를 썼습니다.

한국사이트 스크린샷

이번엔 오류가 없이 잘 나왔습니다(챗지피티 실망이야~ ㅠㅜ)

그럼 알파폴드를 돌려봐야겠죠?

먼저 정상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겸상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을 넣어봤습니다.

단백질 구조 이미지의 스크린샷
숫자를 가리키는 빨간색 화살표가 있는 화면의 스크린샷
단백질 구조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화면의 스크린샷
숫자를 가리키는 빨간색 화살표가 있는 페이지의 스크린샷

서열은 6번째 하나차이일 뿐이고 구조도 생각보다 큰차이가 없었습니다. 억지로 찾아보면 빨간 동그라미 친 정도입니다.

사실 차이를 찾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알파 체인과 함께 넣어서 구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즉 정상 헤모글로빈은 '알파+알파+베타+베타'로, 겸상 헤모글로빈은 '알파+알파+베타(변형)+베타(변형)'으로 넣어 구현해봤습니다.

정상적인 bcc 분자의 스크린샷
여러 개의 숫자가 적힌 테이블
단백질 샘플을 보여주는 화면의 스크린샷
여러 개의 숫자가 적힌 테이블

이렇게 해도 큰 차이가 없네요. 역시나 붉은 동그라미 정도인데, 색의 차이정도이지 구조적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되니 더 이상합니다. 헤모글로빈 수준에서는 이렇게 구조적 차이가 나지 않는데 왜 적혈구의 모양은 차이가 클까요?

결국 헤모글로빈 간의 상호작용까지 봐야 최종확인이 될것 같네요.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실패담도 괜찮아요. 시행착오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이번 과정은 실험이라고 한다면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한, 어쩌면 실패한 실험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것도 연구의 결과라고 할 수 있겠죠.

어쩌면 신약개발 과정은 100번의 실패 안에서 우연한 1번의 성공을 이루어질지도 모릅니다.

제가 신약개발씩이나 하는 사람은 아니더라도 앞으로 인공지능을 배워가는 과정에는 동일하게 이러한 원리가 적용될 것 같습니다.

4주 동안 즐거웠습니다^^

# P.S- 스터디장님의 따뜻한(?) 코멘트가 있어 붙여 봅니다.

역시 통찰력이 있으세요~

언젠가 알파폴드로 겸상적혈구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한국어 문자 메시지 스크린샷

도움 받은 글 (옵션)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내용 입력)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