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서 AI 로 "스터디 플래너" 웹 사이트 만들어보기2 - 깃허브 배포 관련 나눔

소개

커서 AI 로 "스터디 플래너" 웹 사이트 만들어보기2 - 깃허브 배포 관련 나눔

이 사례글에서는 커서 AI로 스터디 플래너를 만들어보는 과정을 사례글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어느정도 생성형 인공지능과 대화를 나누며 로컬에서 충분히 테스트한 뒤에 깃허브에 배포하는 과정을 전 거쳤습니다. 깃허브에 배포해두면 추후 vercel에서 배포할 때 쉽기 때문에 깃허브 배포 과정을 나누고자 합니다.

진행 방법

커서 AI 사용, 깃허브 사용

Tip: 1) 우선 깃허브 데스크탑을 설치하고 로그인합니다. 커서 AI 에서 깃을 쓸 때 자동 설치 과정을 실패하면 데스크탑으로 수동 설치하고 커서를 다시 껐다 켜주면 됩니다.

https://desktop.github.com/download/

Gihu 데스크탑의 스크린 샷
GitHub 데스크탑 계정의 로그인 화면
GitHub 데스크탑을 승인하려면 사용자를 선택하십시오

Tip: 2) 이제 커서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면 됩니다.

깃허브에 올릴건데 "내아이디/repository이름명" 에 커밋하고 푸쉬해! 

예를 들자면 아이디가 test1234 이고 repository이름명이 planner라면

깃허브에 올릴건데 "test1234/planner" 에 커밋하고 푸쉬해!

이렇게 명령어를 내리면 지가 알아서 할것입니다.

근데 자동으로 하는게 느리거나 실패를 하면 아래처럼 수동으로 하면 됩니다.

Tip: 깃 허브 명령어를 알아야 합니다.
터미널에서 아래 것 복사해서 쓰시면 좋아요

1) git add . : git에 수정된 모든 파일을 올립니다.

git add .

2) 해당 커밋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git commit -m "해당 작업을 요약할 수 있는 말"

3) 배포합니다

git push

4) 한번에 명령어를 내리려면 ; 으로 합칩니다.

git add . ; git commit -m "해당 작업을 요약할 수 있는 말" ; git push

Tip: 깃허브 repository (저장소) 를 만들어야 합니다: https://github.com/new

1) repository name 을 씁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영어로 썼어요

2) 그리고 저는 private한 공간으로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협업이 필요하면 public으로 바꿀 예정입니다만 지금은 private로 했습니다.

슬랙에서 새로운 리포를 만드는 방법

결과와 배운 점

  • 로컬에 있는 것을 깃허브에 올리면 내가 원하는 타이밍으로 돌아가기 쉽다

  • 그리고 무엇보다도 깃허브에 올리면 웹서버에 쉽게 배포를 할 수 있다.

  • 깃허브 계정을 만들고 저장소(repository)를 만들어야 한다

  • 커서에서 깃 명령어를 쓰려고 하면 깃을 설치하라고 나온다. 그러면 깃 데스크탑을 설치하고 한번 로그인을 해준다.

  • 깃허브 자주 쓰는 명령어는 3개이다

  • 커서에게 명령을 내리면 지가 알아서 자동으로 한다

  • 물론 말을 잘안들으면 수동으로 명령을 내려주면 된다.

현재 개발 중인 사이트 링크: https://studyplan-drab.vercel.app/

한국어가있는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도움 받은 글 (옵션)

17기 웹앱 스터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