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발전하는데 경제 규모는 그대로?
여러분은 100년 안에
인공지능이 인간 노동자의 몇 퍼센트를 대체한다고 생각하시나요?
100%라고 생각하는 분은 없겠죠?
그렇다면 다행입니다.
인공지능이 90% 이상의 인간을 대체해도
일자리 개수는 줄어들지 않도록 만들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경제 성장입니다.
2100년을 기준으로
일자리 대체율이 달라짐에 따라
기존 일자리 개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제 성장률 변화를 간단하게 계산해보겠습니다.
어디까지나 이해를 돕기 위한 대략적인 계산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위 연 평균 경제성장률은 한국의 장기 평균 고용탄력성 (경제 성장률 1% 당 취업자 수가 0.34% 증가)
에 따라 계산된 값입니다.
김천구, “SGI BRIEF : 최근 노동시장의 현황과 특징”, 2022.10.31, 대한상공회의소
일자리는 경제 성장률에 비례해 증가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50% → 80% → 90% 로
인간 노동자를 대체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져도
인공지능이 그만큼의 경제 성장을 함께 일으킬 경우 일자리 수는 줄어들지 않습니다.
물론 이 표의 계산 근거를 보고
이런 똑똑한 질문을 제기하는 분도 계실겁니다.
“인공지능에 의해 고용 없는 성장이 심화되면 계산 근거인 고용탄력성도 0.34보다 더 떨어지지 않나요?”
맞습니다.
그리고 그 하락분은 이미 표에 반영돼 있습니다.
경제가 꾸준히 성장했는데도 75년 후 사람을 위한 일자리의 개수는 그대로인 게 보이시죠?
이 표는 극단적으로 장기 평균 고용탄력성이 0이 될 때
우리 경제가 어느 정도의 일자리 대체율까지 버틸 수 있는지를 계산한 것입니다.
상당히 보수적으로 계산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단순 계산이긴 하지만,
만약 2100년까지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대체율 대비 연 평균 경제 성장률이 위의 표와 비슷하게 흘러갈 경우
일자리의 총 개수는 유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