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발전하는데 경제 규모는 그대로?
여러분은 100년 안에
인공지능이 인간 노동자의 몇 퍼센트를 대체한다고 생각하시나요?
100%라고 생각하는 분은 없겠죠?
그렇다면 다행입니다.
인공지능이 90% 이상의 인간을 대체해도
일자리 개수는 줄어들지 않도록 만들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경제 성장입니다.
2100년을 기준으로
일자리 대체율이 달라짐에 따라
기존 일자리 개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제 성장률 변화를 간단하게 계산해보겠습니다.
어디까지나 이해를 돕기 위한 대략적인 계산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위 연 평균 경제성장률은 한국의 장기 평균 고용탄력성 (경제 성장률 1% 당 취업자 수가 0.34% 증가)
에 따라 계산된 값입니다.
김천구, “SGI BRIEF : 최근 노동시장의 현황과 특징”, 2022.10.31, 대한상공회의소
일자리는 경제 성장률에 비례해 증가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50% → 80% → 90% 로
인간 노동자를 대체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져도
인공지능이 그만큼의 경제 성장을 함께 일으킬 경우 일자리 수는 줄어들지 않습니다.
물론 이 표의 계산 근거를 보고
이런 똑똑한 질문을 제기하는 분도 계실겁니다.
“인공지능에 의해 고용 없는 성장이 심화되면 계산 근거인 고용탄력성도 0.34보다 더 떨어지지 않나요?”
맞습니다.
그리고 그 하락분은 이미 표에 반영돼 있습니다.
경제가 꾸준히 성장했는데도 75년 후 사람을 위한 일자리의 개수는 그대로인 게 보이시죠?
이 표는 극단적으로 장기 평균 고용탄력성이 0이 될 때
우리 경제가 어느 정도의 일자리 대체율까지 버틸 수 있는지를 계산한 것입니다.
상당히 보수적으로 계산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단순 계산이긴 하지만,
만약 2100년까지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대체율 대비 연 평균 경제 성장률이 위의 표와 비슷하게 흘러갈 경우
일자리의 총 개수는 유지될 수 있습니다.
한가지 노동자들에게 유리한 점은
일자리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AI 활용률도 높아져
생산성 증가로 인한 장기 경제성장률 증가가 자동으로 따라온다는 점입니다.
경제학자들이 AI와 함께 하는 미래가
장밋빛 미래가 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일자리 대체율만 생각하고
이에 따른 경제 성장을 고려하지 않는 것과 같은 실수는
경제학과 통계학에서 굉장히 자주 일어나는 실수 중 하나입니다.
상황이 변하는 데도 나눠먹을 파이의 크기는 그대로라고 잘못 가정한 데에서 생기는 오류라 해 서
“고정된 파이 가정의 오류”라고 부르거나
인공지능과 인간처럼
협력 및 보완 관계에 있어 함께 일하면 일자리가 늘어나는 포지티브 섬 게임을 하고 있는데도
서로 완벽한 대체관계에서 한정된 일자리를 뺏고 뺏는 제로섬 게임을 한다는 착각에서 생기는 오류라 해서
“제로섬적 사고의 오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문제는 일자리가 아닌 부의 분배
하지만 일자리 개수가 늘어난다고 해도
여전히 문제는 남아있습니다.
분배를 고려하면 위 표에 따라
같은 기간 심각한 양극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표처럼 일자리 대체율이 높게 치솟으면
기존 일자리가 대체되고 새로운 일자리로 직업을 옮기는 사람의 숫자도 굉장히 늘어납니다.
문제는 자동화 기술에 의해 경제성장이 일어날 경우
초기에는 신규 직업군이 형성되기보다 기존 일자리 대체 현상이 집중적으로 일어나
주로 생산성 개선이 더딘 분야 (돌봄 노동, 대면 서비스 등) 에서 일자리 경쟁이 심화됩니다.
이런 산업은 초기에 자동화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일자리가 사라질 걱정은 적지만
마치 중세 영국의 인클로저 운동 때처럼
노동 공급이 이쪽으로 몰려 실질 임금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양질의 일자리가 아닌, 질 낮은 일자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