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생성형 AI 비교(ChatGPT, Claude, Gemini)

 

AI Ground 뉴스레터에 발송된 전문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콘텐츠 목차

  1. 생성형 AI 시대의 도래: LLM 강자 ChatGPT, Claude, Gemini의 대결

  2. ChatGPT: LLM의 표준, 데이터 분석의 강자

  3. Claude: 기능은 부족해도 텍스트 생성 능력은 탁월

  4. Gemini: 구글 앱 연동 및 2TB 저장공간까지, 훌륭한 가성비

  5. 공통 기능 비교(1) - 어조 변경하기

  6. 공통 기능 비교(2) - 이미지 인식하기(OCR)

  7. 마치며

 

 

생성형 AI 시대의 도래: LLM 강자 ChatGPT, Claude, Gemini의 대결

생성형 AI가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스스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AI는 우리의 일상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는데요. 특히 텍스트 분야에서는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이라는 기술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LLM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간처럼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현재 LLM 분야에서는 OpenAI의 ChatGPT, Anthropic의 Claude, Google의 Gemini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ChatGPT, Claude, Gemini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실제로 같은 작업을 수행했을 때 어떤 결과를 보여주는지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 LLM 기술의 현주소와 각 서비스의 장단점을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챗GPT: LLM의 표준, 데이터 분석의 강자

ChatGPT는 LLM 분야에서 '표준'으로 통하는 서비스입니다. 뛰어난 성능과 폭넓은 인지도로 인해 수많은 사용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죠. ChatGPT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들이 온라인상에 공유되고 있어, 간단한 검색만으로도 ChatGPT 활용 실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OpenAI 포럼에서는 ChatGPT와 관련된 다채로운 활용 사례와 질의응답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OpenAI 포럼 - 이곳에서 다양한 활용 사례, 질의응답을 찾아볼 수 있다)


ChatGPT가 제공하는 기능은 실로 광범위합니다. 텍스트 생성을 비롯하여 웹 검색, 코딩,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음성 인식 및 출력, 이미지 해석과 생성, GPTs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ChatGPT의 '데이터 처리 및 분석' 기능은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사용자가 원본 데이터를 입력하면 ChatGPT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데이터를 편집하고 분석 작업까지 수행해줍니다. 데이터 분석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라도 ChatGPT를 활용하면 손쉽게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ChatGPT는 사용자가 자연어로 작업을 요청하면 자동으로 파이썬 코드를 생성하여 결과물을 도출해냅니다. 오류가 발생하면 스스로 디버깅 작업까지 수행하므로 매우 편리합니다. 코드 작성뿐만 아니라 결과물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 역시 ChatGPT의 강점으로 꼽힙니다.

ChatGPT는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체적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여 분석 보고서까지 생성해내는 놀라운 능력을 보여줍니다.


(챗GPT 데이터 분석 예시 - 스스로 코드를 작성해서 실행한 후 보고서를 작성해준다)

 

ChatGPT4 Token Limit

  • Context : 128,000

  • Output : 4,096

 


 

Claude: 기능은 부족해도 텍스트 생성 능력은 탁월

Claude는 챗GPT를 만들던 OpenAI 개발자들이 나와서 만든 LLM 서비스예요. 원래는 OpenAI에서 함께 일하던 사이였는데,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의 투자를 받으며 영리화되자 의견 충돌로 개발자들이 하나둘씩 떠나가게 된 거죠. 그렇게 만들어진 회사가 바로 Anthropic이에요. 여기서는 공익을 추구하는 기업을 표방한다고 해요.

Claude는 처음 출시될 때만 해도 여러 면에서 챗GPT나 Gemini보다 뛰어나다고 주장했어요. 하지만 아직 챗GPT4에 비하면 제공하지 않는 기능들이 많아요. 웹 검색이 안 된다는 점이 가장 아쉽고, 이미지 생성이나 Custom Instruction, GPTs 같은 기능도 없죠.


(Anthropic 공식 페이지에 소개된 Claude와 다른 LLM 서비스 간의 성능 비교)


그래도 Claude의 가장 큰 강점은 바로 '기본기'에요. 텍스트를 생성하는 능력이 정말 탁월하거든요.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로도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고, 어조나 분위기도 잘 살려내죠.

또 Claude는 말실수를 할 때가 거의 없어요. 설령 실수를 해도 챗GPT처럼 뻔뻔하게 넘어가지 않고 솔직하게 인정한다는 점도 특징이에요.


(실수를 하더라도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는 Claude)


챗GPT4에 비해 Context Token Limit이 많다는 점도 장점이에요. 대화가 길게 이어지더라도 앞에 나눴던 대화 내용을 잘 반영해줘요.



Claude3 Token Limit (Opus, Sonnet, Haiku 공통)

  • Context : 200,000

  • Output : 4,096




ChatGPT, Claude, Gemini. LLM 기술을 선도하는 이 세 가지 서비스의 특징과 성능이 궁금하신가요?

저희는 이번 콘텐츠에서 ChatGPT, Claude, Gemini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실제 활용 사례를 통해 각 서비스의 성능을 비교 분석해보았습니다.

LLM 기술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나에게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가 가득한 이번 글, 지금 바로 아래 링크를 클릭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2024년 생성형 AI 서비스 높아보기 - 챗GPT, Claude, Gemini]

4
1개의 답글

(채용) 콘텐츠 마케터, AI 엔지니어, 백엔드 개발자

지피터스의 수 천개 AI 활용 사례 데이터를 AI로 재가공 할 인재를 찾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