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들은 매학기 새로운 시험문제를 출제해야 하는 부담을 앉고 있다.
강의자료는 물론 지식기술 환경 변화를 반영하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과거 학기에 출제한 문제와 다른, 업그레이드된 문제를 출제해야 하는 의무감(?)을 갖고 있지요.
이에 저는 기존의 오늘 GPT를 토대로 시험문제를 빠르게 출제해 보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를 토대로 더 많은/다양한 문제를 접하게 되면 선생님들의 시험출제 시간이 줄어 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먼저 Prompt 작성의 핵심은 CORE 원칙에 따라 작성해야 한다고 합니다(출처 유튜브?).
C: Context (맥락, 역할 수행의 위치, 흐름을 지정)
O: Objective (이용자가 하고자 하는 바, 목표를 제시)
R: Reference (이용자의 목표에 맞게 답을 구할 때 GPT가 참조해야 할 형식/틀)
E: Example (사례, 관련 내용 제공으로 범위를 좁히기)
아래 내용은 객관식(오지선다) 문제를 출제하고, 답 번호 선정도 랜덤으로 지정할 뿐만 아니라, 문제의 답에 대한 해설도 함께 제시해 주는 Prompt입니다.
[Prompt 입력]
지금부터 당신은 <경영기획> 수업 평가를 담당하는 강사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아래 강의한 내용[A]에 대해 객관식 시험문제 2개를 출제해줘
이때, 5가지 보기[①②③④⑤ ] 중 가장 거리가 먼 것(틀린 것)을 찾는 거야.
정답은 ①②③④⑤ 중에서 랜덤으로 1개를 답하게 만들 것
문제 밑에 정답을 표시하면서, 정답인 이유도 함께 설명할 것
내용[A]
위 Prompt를 실제 <경영기획>강의 내용을 삽입하여 실행한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A] 부분은 ppt 내용을 긁어다 삽입함
이에 대한 답변은 아래와 같이 두 개의 문제를 출제하고 5가지 답 중 랜덤으로 한개의 답을 선정하도록 하며 동시에, 답 풀이도 함께 제시해 준다.
(아래 참조)
결론적으로 GPT를 활용하면 선생님들의 문제 출제 시간을 줄여줄 수 있고, 또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이질적인 내용을 함께 제시하여 창의적인 문제를 출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 경영 + 마케팅 + 상품기획 강의 등을 혼합한 창의적인 문제 출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