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기 스터디] 사업리서치 활용 방안

챗지피트 초보자이며, 자동차 인더스트리 리서치를 하려고 현대자동차와 테슬라 실적을 여러 측면으로 분석해보려 했습니다.

1. 지표 서치: 먼저 두 회사를 기본적인 판매증가율, 영업이익율, 누적수익율로 비교하고자 했습니다.
한국기업은 DB에 아직 업데이트가 안되어있어서 웹서치를 통해 지표를 찾는게 수월했습니다. 특이사항은, 두 회사의 판매증가율을 비교해달라니 현대자동차의 데이터는 찾지 못했지만, 판매량을 통해 증가율을 계산하는 것으로 결국 성공했습니다.

2. 기사 서치: 테슬러 실적발표 기사본문의 내용을 가져와서 긍정/부정 표현을 나누어 점수화 해달라고 했습니다. 
아래는 그 답변으로 긍정/부정 7개씩 총 0점 입니다. 컨텐츠 속성을 구분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향후 여러 방면으로 활용 가능해 보입니다.
3. 그래프: 파이선코드를 만들어준다고 하여 현대차/테슬라 영업이익율, 판매증가율, 누적수익율 차트를 요청해봤습니다. 특이사항은 생각보다 에러가 꽤 발생했으며, 에러를 알려주면 코드를 수정해 주었습니다. 
영업이익율을 비교하는 차트 파이썬코드에 에러가 발생하여 다시 수정받았습니다.
파이썬코드를 코랩에서 구동한 결과 그래프입니다.
4. 미래전략: 현대자동차의 인수합병 상대로 어떤 회사가 적합한지 질문해 보았는데, 스마트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라는 미래전략에 기반한 인더스트리를 소개해줬습니다. (전기배터리, 자율주행, 모빌리티, 텔레메틱스, AI펌 등). 실제 방향성 측면에서 맞는 분야이기는 하나 일반적 설명에 그친 구체성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만약 본인이 속한 인더스트리 외에 서치를 하는 측면이라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결론, 사업리서치의 정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오는데는 한계는 있으나, 추이를 대략적으로 빠르게 엑셀을 쓰지 않고 이해하는데는 효과적이며 아직은 미국기업의 데이터에 국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에서는 전기차 매출이나 판매대수를 공시하고 있지 않기에 테스라와 비교하기엔 어렵다고 답변이 있었고, 링크를 실시간으로 읽어오는 것도 아직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정량적인 것 외에, 비즈니스 전략을 논하거나, 기사 내용을 정성적으로 속성을 분석하여 분류해주는 기능은 잘 활용한다면 효과적이라 보입니다. 
5
1개의 답글

(채용) 유튜브 PD, 마케터, AI엔지니어, 디자이너

지피터스의 콘텐츠 플라이휠로 고속 성장할 팀원을 찾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