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레퍼런스체크 서비스 기획하기

레퍼런스체크 (평판조회)를 아시나요?
기업에 입사 지원할 때, 최종적으로 지원자의 이력서와 포트폴리오 외에 같이 일한 동료 혹은 지인을 통해 검증하는 방법입니다.

경력직 이직이 대세인 요즘, 이 레퍼런스체크에 대한 수요가 올라가면서 니즈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GPT로 서비스 기획을 해보았습니다. (레퍼런스 체크를 링크로 진행해서 이름을 레퍼링크로 지었습니다.)
여기서 나온 결과물들 먼저 보시고 바로 GPT 질문 리스트 보시죠!

서비스 IA 및 플로우


랜딩페이지 와이어프레임

기업담당자의 확인페이지

GPT에게 질문

  1. 먼저 경쟁사를 리서치 합니다.

  2. 아이디어를 얻고, 비즈니스 모델을 뾰족하게 할 아이디어를 추가로 얻습니다.

  3. 내친김에 최소기능을 갖춘 기능정의서까지 요구를 합니다!

  1. 초기 제품으로는 볼륨이 너무 큰 것 같아요. 최소한의 기능만 갖춰서 다시 요청을합니다. 저는 간단하게 메일로 인증하고 링크로 레퍼런스를 미리 준비하여 기업에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어요!

  1. 이에 대한 기능정의를 다시 요청합니다.

  2. 아이디어를 얻은 저는 다음과 같이 추가로 질문을 했고, 추가로 간단하게 볼 수 있도록 표로 기능정의를 요구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각각 지원자, 작성자, 기업인사담당으로 구성된다. IA구성은 아래와 같다. 1. 지원자의 1depth: 메인 메인의 2depth: 평판 공유하기, 평판 작성요청, 마이페이지 마이페이지의 3depth: 요청한 평판, 작성한 평판, 회원정보 2. 작성자의 1depth: 평판 작성요청 인증 평판 작성요청 인증의 2depth: 평판 작성페이지 3. 기업인사담당의 1depth: 평판조회 인증 평판조회 인증의 2depth: 평판 조회페이지 기능적으로는 - 지원자의 평판공유하기 기능을 통해 기업인사담당자에게 평판조회 페이지 url을 공유한다. - 지원자의 평판작성요청 기능을 통해 작성자에게 평판작성 페이지 url을 공유한다. - 작성자가 공유받은 평판작성 페이지에서 지원자의 평판 작성을 완료하면 이는 지원자의 요청판 평판으로 들어가게 된다. 해당 서비스의 요건정의서를 상세하게 작성해줘


  3. 평판체크 리스트 형태를 준비하기 위한 질문을 합니다.

  1. 아이디어를 얻었으므로, UI를 고민해봅시다.

  1. 마음에 들지 않아요 추가로 더 요청합니다


이외에도 개인정보로 민감하기 때문에 우회적으로 레퍼런스 체크 질문 문항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물어봤지만 내용이 너무 길어 생략했습니다.

이제 전체적인 프로세스만 알고 있다면 누구나 챗GPT로 서비스를 기획할 수 있다는게 너무 편해졌습니다.

머릿속에서만 생각했던 서비스가 있다면 챗GPT를 통해 바깥 세상 구경을 시켜주는게 어떨까요?

6
4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