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vily mcp를 활용해서 내 사업계획에 대한 정보도 얻고 토론도 시켜 보기.

Tavily MCP와 세 명의 페르소나가 펼친 ‘MemoryTalk’ 사업 토론기 🎬

소개

어느 날, 저는 어르신들의 소중한 기억을 AI로 보존하고 치매 예방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구독형 플랫폼 MemoryTalk를 떠올렸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ChatGPT, Gemini, Claude 등 딥 리서치 툴들은 무겁고, 검색 흐름이 바뀔 때마다 제한된 호출 횟수로 비효율을 느꼈습니다.
이때 Tavily MCPClaude Desktop의 연동을 통해 빠르고 직관적인 딥 리서치를 시도해보기로 했습니다.

[아이디어 개요]

MemoryTalk 서비스 개요

서비스 개요

  • 이름: MemoryTalk

  • 형태: 구독형 플랫폼

  • 목적: 생성형 AI로 어르신의 음성·텍스트·사진을 분석해 감성 동영상(EMO 콘텐츠) 자동 생성, 치매 조기 진단·예방 인사이트 제공, 세대 간 추억을 뜻깊게 보존

핵심 기능 & 차별화 포인트

  • 멀티모달 AI 분석: 음성, 글, 사진 데이터를 통합해 깊이 있는 기억 매핑

  • 감성 동영상 생성: 사진 기반 스토리텔링 무비 자동 편집

  • 맞춤형 예방 프로그램: AI가 기억 패턴 학습 후 최적화된 질문·콘텐츠 제공

  • 진단 연계: 일정 점수 미달 시 초기 치매 진단→예방 가이드·의료 연계

  • 의료 기관 파트너십: 치매예방협회·병원·요양원과 협업


진행 방법

1. 도구 셋업 ⚙️

  1. Tavily 홈페이지에서 API 받기

  2. GitHub에서 저장소 클론

    git clone https://github.com/tavily-ai/tavily-mcp.git
    cd tavily-mcp
  3. Claude Desktop 설정 파악

    • claude_desktop_config.json 위치 확인

    • JSON 포맷으로 tavily_api_key와 엔드포인트 설정

  4. Genie 페르소나 활용 검색 전략 구상

    • 아이디어 단계별 필요한 쿼리 예시를 Genie에게 요청

  5. Claude Desktop에서 tavily-mcp 호출

    • claude_desktop_config.json을 통해 검색 실행

  6. 결과 Markdown 파일로 저장

    • 클로드에게 지금까지의 문서를 마크다운 양식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

  7. 팩트체크 요청

    • o3 모델 사용, 빡세게 비판하기

    • 프롬프트:

      "너는 치매 예방 관련 시장 전문가야. 위 내용은 스타트업 대표가 시장 분석을 한 문서야. 웹사이트 출처도 첨부했으니, 위 내용을 팩트 체크 해 줘."

  8. 다중 페르소나 평가 다중 페르소나 평가

    • 긍정적, 비판적, 전략적 페르소나로 결과 검토

  9. 결과 반영 및 개선 🚀

2. 페르소나 구성 👥

// 긍정적 코치
"서비스의 강점을 강조하고 용기를 북돋아 주세요."
// 비판적 검증자
"약점과 리스크를 엄격히 지적해 주세요."
// 전략적 분석가
"포지셔닝과 피봇 전략을 제안해 주세요."

3. 토론 진행 💬

  • MemoryTalk 개요 전달 후, 순서 없이 자유로운 의견 교환

  • 장점: 멀티모달 AI 분석, 감성 동영상 자동 생성

  • 단점: 기능 복잡성, 가격 부담, 규제 리스크

  • 피봇 포인트: MVP 단순화, 가격 조정, B2C 우선 검증

  • 보완 제안: UX 개선, 파트너십 확대


4. Tavily MCP 검색 프롬프트 📑

[1] 시장 및 성장 동향 쿼리

“대한민국 치매 예방 서비스 시장 규모 2025”
“한국 노인용 AI 헬스케어 플랫폼 성장률 전망 2025~2030”
“치매 진단·예방 구독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동향”
“멤버십 기반 시니어 케어 플랫폼 시장 성장률”
“글로벌 감성 AI 동영상 생성 서비스 시장 규모”
“한국 요양원·재가복지센터 디지털 솔루션 도입 현황”
“치매 예방용 AI 인터랙티브 콘텐츠 수요 트렌드”
“연도별 한국 노인 인구 증가율 및 헬스케어 지출 전망”
“디지털 헬스케어 B2B 라이선스 모델 매출 규모 비교”
“치매 예방 시장 주요 플레이어 및 차별화 전략 사례”

가장 최신 정확한 데이터를 경영 전문가 입장에서 검색 요청

[2] 경쟁사 분석 쿼리(앞의 검색에서 얻은 내용을 포함했어요)

시장 내 경쟁 정도 (레드오션/블루오션, 진입 장벽 등)
주요 경쟁사 (3~5개) 예: 국내 세븐포인트원·브레인케어AI, 글로벌 Altoida·Cognetivity
각 경쟁사별 특징, 가격, 기술력, 차별화 포인트, 수익성 & 시장점유율, 소비자 인식

Tavily MCP로 연관 데이터 검색 후 비교 분석 요청

[3] 종합 평가 및 피봇팅 요청 쿼리

--- 자사 서비스 개요 ---
이게 우리 회사 서비스야. 지금까지의 조사를 통해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고, 종합적인 아이템의 매력도를 평가해 줘. 그리고 피봇팅이 필요한 경우 알려줘.

페르소나:
- 긍정적인 사고를 하며 고객의 서비스의 장점을 이끌어내는 사람
- 비판적인 사고를 하여 고객의 서비스의 단점을 잘 집어내는 사람
- 종합적으로 전략적 분석을 하여 어떤 포지셔닝에 있는지, 피봇팅이 필요한지 따지는 사람

만약 정보가 더 필요하다면 Tavily MCP를 활용해서 추가 검색 요청해 줘.

Claude Desktop 결과 요약 📋

  • 기술적 차별화 유지: 감성 분석 정확도 업계 최고, 실시간 개인화 AI 학습 강조

  • 사용자 경험 최적화: 시니어 친화적 UI/UX 및 가족 모두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설계

  • 데이터 기반 검증: 임상 결과 통한 의학 효과 입증, 만족도·리텐션 모니터링

  • 종합 매력도 평가: B+ (총점 37/50)로 ‘매우 유망’ 판정

  • 최종 권고사항: 서비스 단순화, 가격 재조정, B2C 검증 우선, 채널·데이터 파트너십 집중


시장 분석 요약 📊

  • 치매 예방 시장: 2025년 국내 약 3,600억 원, 연평균 7% 성장

  • AI 헬스케어 시장: 2025년 국내 50%↑ 성장, 2030년 9조 원 예상

  • 시니어 헬스케어: 2030년 25조 원 규모 전망

  • 경쟁: 세븐포인트원, 이모코그, 뉴로엑스티, 브레인닥터 등과 기술·규제 경쟁

  • 진입 장벽: 규제 승인, 데이터 확보, 임상 검증 필요


결과와 배운 점 🌱

  1. 빠르고 직관적인 인사이트 확보

    • 기존 툴 대비 50% 이상 시간 절약

  2. 페르소나별 평가로 얻은 총체적 시각

    •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구분하는 도움이 됨

  3. MVP 집중 피봇팅 전략 도출

    • 감성 동영상 중심 B2C 검증 → B2B 확장 로드맵

  4. 팩트체크를 통한 신뢰성 확보

    • 시장 데이터 및 경쟁사 정보 재확인

  5. 이후 확정된 시장 내용으로 Deep Research에 심층 정보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도움 받은 글

  • Tavily 공식 문서

  • MCP 활용 가이드 튜토리얼

  • 시장 분석 보고서: 치매 예방 및 시니어 헬스케어 시장 (2025년 기준)


메시지: 새로운 툴과 다양한 관점을 통해, 사업 아이디어의 가능성을 극대화하세요! 💡

P.S 관련 결과물 pdf를 첨부합니다. 한 번 보시고 평가해 주세요😄

메모리톡_시장분석보고서(Tavily+Claude).pdf
1.58MB

만든 사람: 지피터스 [https://www.gpters.org********]* × 개발자F [https://litt.ly/ekwak]*

1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