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이미지가 가져올 앞으로의 '임팩트'

※ 이 글은 GPTers 9기 AI 임팩트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자료 조사를 목적으로 작성됐습니다.

  •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기술, 예를 들어 Chat GPT, DALL·E, 또는 Midjourney와 같은 도구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1. '디지털 휴먼' 영역의 확대 및 가속화

1) 인간의 경험 및 기억 디지털 부활


2) 역사의 부활


2. 비전문가의 예술과 창작물 생성 시대

  • AI를 활용하여 개인이나 기업은 맞춤형 예술작품, 그래픽 디자인, 애니메이션 등을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됨

  • 창작의 장벽을 낮추고, 더 다양하고 창의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할 것


1) 개인 맞춤형 예술작품

  •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어나 감정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예술작품을 AI에 의뢰할 수 있게 됨

  • 특정 감정, 색상, 스타일을 조합해 독특한 예술작품을 창출하도록 요청할 수 있음


예) 저자가 제작 움직이는 이미지 ‘락희드래곤(네잎클로버 + 청룡)’

  • 청룡의 해를 맞아 지인들에게 보내는 연하장을 직접 제작

  • 청룡이라는 크고 딱딱한 이미지보다 귀여운 이미지로 생성 + 행운의 네잎클로버도 넣음

  • 사용 툴 : 미드저니 + 포토샵 + 런웨이 + VITA 편집기 + GIF 생성기

  • AI 이미지 생성 + AI 수정 + AI 통한 움직임 + 말자막 + 동영상 GIF 파일로 변환 과정을 거침

  • 제작시간 약 3시간 + 비용은 미드저니 매월 10달러 + 약간의 광고 시청

락희드래곤.mp4


2) 창작물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전통적인 예술 교육이나 기술이 없는 사람들도 AI를 통해 자신의 창작 욕구를 표현할 수 있게 됨

  • 예술 창작의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창작 활동을 촉진

  • 2023년 한국AI작가협회(https://kaiart.or.kr) 설립, 작품 전시 및 교육


3. 공적 및 보도 영역

1) 교육과 학습

  • 교육 분야에서는 AI 이미지 생성 기술을 활용해 학습 자료를 보다 풍부하게 만들 수 있음

  • 역사적 사건이나 과학적 개념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 과학 연구 및 시뮬레이션: 복잡한 과학적 개념이나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연구자들이 새로운 발견을 하거나 가설을 검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


2) 뉴스 영역

  • MBN, 2020년 11월, 국내 최초 AI 앵커 도입. 취약 시간 즉각 재난방송 등 가능하지만, 감정 구현 등은 쉽지 않다는 한계

    (2020년 11월 6일 TV 화면에 첫 등장한 김주하 AI 앵커, 오른쪽은 당시 민경영 기자. 사진=MBN 리포트화면)


  • 중국 원광그룹 항저우TV, 24년 2월 10일, 11일 AI 앵커 ‘샤오위’를 오후 7시 30분 메인뉴스에 세움

  • AI 앵커 항저우 원광그룹이 개발한 생성형 AI 앵커로, 500자 뉴스 대본을 음성으로 바꾸는데 30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소개.

  • 중국에서 AI 앵커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18년이지만, 뉴스 전체 진행을 맡은 건 이번이 처음

(사진=항저우TV 보도 캡처)


  • 보도의 한계 극복하는데 AI 기술이 사용될 것으로 보임. 모자이크 대신 가상의 얼굴로 대체되거나, 사진기자들의 취재가 제한된 영역의 이미재를 ‘AI 재현 이미지’로 보도돼 독자 궁금증 해소


4. 기업의 영역 : 대부분 영역에 AI 도입

1) 디지털 패션과 디자인

  • AI를 이용해 새로운 패션 트렌드나 제품 디자인을 예측하고,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

  • 이를 통해 디자인 과정을 가속화하고, 시장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게 함

  • 과거 옷을 갈아 입는 아바타 기술에서 진일보해 디자이너들은 실제 제작에 앞서 다양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신속하게 시험해 볼 수 있으며, 가상 현실이나 게임 내에서 사용할 의상을 창조할 수도 있음

  • 현대홈쇼핑의 경우 가상 피팅 기술 등을 활용해서 옷을 직접 입어보지 않고 피팅할 수 있음 ('가상 피팅부터 소리 인식 판촉까지…이제는 'AI 마케팅 시대'', 2023.12.13, MBN)


2) 게임, 영화 및 웹툰 분야

  • 게임 개발에서 AI는 개별 사용자의 취향에 맞춘 캐릭터, 환경, 스토리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보다 개인화되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


  • 영화 및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캐릭터 디자인, 배경 생성, 시각적 효과 등 영화나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AI가 자동으로 생성. 제작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이고, 더욱 창의적인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함

  • 최근 넷플릭스 '살인자ㅇ난감' 주연 손석구의 어린 시절 등장한 아역 배우 AI 딥페이크 기술로 구현, JTBC 드라마 ‘웰컴투 삼달리’에서는 고인이 된 송해 방송인이 젊었을 때의 진행 모습을 구현


  • 웹툰의 경우 AI 라는 새로운 전환점을 만나 반복작업을 AI가 대체하고, 기존 작가의 화풍을 AI에 학습시키는 실험도 진행 중

  • AI을 활용해 웹툰을 만드려는 움직임도 나오고 있음.

  • 웹툰 작가들은 업무 강도를 낮추고 제작 비용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AI를 활용하고 있음.


3) 건축 및 인테리어 디자인

  • AI 기술을 사용하여 건축가나 디자이너, 빠르게 다양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고객의 맞춤형 솔류션 제안

  • 건축 분야에서 AI는 건축법규와 지형, 주변 건물의 높이 등을 고려해 용적률, 일조권, 조망권을 최대치로 높일 수 있는 설계를 자동으로 생성, 이 설계안은 기존 설계안의 가구보다 약 100가구가 늘어났고 용적률, 건폐율, 조망권, 일조량이 모두 개선


4) 광고 및 마케팅

  • 맞춤형 광고 콘텐츠 생성이 용이해짐에 따라, 기업은 타겟 고객에게 더욱 개인화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됨. 고객 참여도를 높이고, 광고 효율을 개선하는 데 기여


<출처>

5
5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