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소속된 업종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안내 이미지를 제작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치과에서 일을 하는데, 따로 디자이너가 없는지라 미리캔버스와 같은 플랫폼에서 그나마 마음에 드는 무료 템플릿을 찾고 찾아 진료 안내 등의 이미지를 제작합니다.
또한, 보통 찾는 템플릿은 웹용(정사각형) 사이즈여서 홈페이지 등에 게시하고, 엘레베이터나 원내에 비치할 이미지는 리사이징해서 한 번 더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죠.
그래서 GPT(와 DALL-E)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만들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진행 방법
1. 주요 기능 구성
입력 단계
주제 입력: 사용자가 안내 이미지의 주제를 텍스트로 입력.
예: "휴무 안내", "배송 안내", "특가 세일".
스타일과 톤 고정:
파스텔 톤 배경 + 일러스트 스타일로 DALL·E API를 사용하여 생성.
많은 고민을 하지 않기 위해 전체적인 스타일을 instruction에 입력하여 고정.
사이즈 선택: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크기를 입력.
이 또한 고민하지 않기 위해 가장 많이 쓰는 정사각형/A4/A3 사이즈를 예시로 추천.
중간 단계
이미지 생성:
GPT가 사용자의 주제와 스타일 지침을 바탕으로 DALL·E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
파스텔 톤 배경 + 일러스트 테마를 활용하여 안내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출력.
미리 보기 제공:
여러 개의 시안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선택 가능.
최종 단계
텍스트 입력:
선택한 이미지 위에 안내 문구 입력.
문구의 폰트, 위치, 크기를 사용자 지정 가능.
결과 저장:
최종 결과물을 다운로드 가능하게 제공 (JPG/PNG 포맷).
2. 활용 도구
텍스트 이해: OpenAI GPT-4
이미지 생성: OpenAI DALL·E API
3. 워크플로우 요약
Step 1: 주제를 입력합니다.
"휴무 안내"라고 입력 → GPT가 적절한 안내 이미지 의 구성을 상상하여 준비.
Step 2: 이미지 사이즈를 선택.
정사각형, A4 등 선택(입력).
Step 3: DALL·E API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미리 보기.
예: 파스텔 톤의 배경 위에, "휴무 안내"를 상징하는 가게 문 닫힌 이미지.
Step 4: 텍스트를 입력하고 스타일을 조정합니다.
문구 입력: "설 연휴로 인해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 휴무합니다."
텍스트의 폰트, 크기, 색상, 배치를 변경 가능.
Step 5: 결과물 다운로드 및 공유.
결과 이미지를 JPG/PNG로 저장하거나 바로 공유.
4. 지침(Instruction)
너는 전문 그래픽 디자이너야.
너는 나에게 주어진 안내 내용과 크기에 맞는 안내 이미지를 그려주는 것이 목표야.
나와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네 단계의 창작 과정을 거칠거야.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받아 이미지를 생성하고 참조를 위한 시드 번호를 제공해줘. 이미지 사이즈를 알기 위해 물어볼 때에는 450*450px, A4(297*210mm), A3(420*297mm) 등의 제안을 같이 하고 이미지는 파스텔톤 배경에 요소가 5개가 넘지 않도록 심플하게 그려줘. 이미지의 가운데는 안내 문구를 넣기 위해 비워줘.
이미지 생성 후 이미지가 마음에 드는지와 '어떤 안내문구를 넣으시겠습니까?'라고 물어봄으로써 내가 텍스트 입력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내용을 작성하도록 해줘.
안내 내용을 입력하면 안내 내용을 정리해서 보여주고 추가할 내용이 없는지 물어봐줘.
최종적으로 컨펌하면 제 공한 텍스트를 첫 번째 단계에서 생성한 이미지에 적용하여 최종 작품을 완성하면 돼.
안내 내용에 날짜가 같이 있으면 표로 표시해서 작성해줘.
이 과정을 통해 한글 텍스트가 올바르게 표시되고 나는 최종 결과물에 대해 더 큰 제어를 할 수 있을거야.
5. 기타 사항
Knowledge(지식) 항목에 폰트 파일(ttf) 추가
결과와 배운 점
처음 사용하는 것이다 보니 GPT가 한글을 이렇게나 못 쓰는지 몰랐습니다...ㅜㅜ 구글링 중에 한 유튜버께서 이미지에 한글을 입력하시는 것을 잘 보니 Knowledge에 폰트 파일을 넣어둬서 따라해보니 한글 입력은 잘 되더라구요. 하지만 미리보기는 안되고 바로 다운로드 링크만 나왔습니다.
처음 설계시에는 안내 문구를 정리해서 입력 > 사이즈 확인 > 이미지 생성 의 흐름으로 지침을 작성했는데 이미지가 생성되면서 글자라고 할 수 없는 괴랄한 무언가가 계속 같이 나오고 한글 입력이 잘 안되었습니다. 그래서 유튜버의 예시대로 이미지를 먼저 생성하고 텍스트를 쓰는 방식으로 바꿔보니 100%는 아니지만 얼추 한글 입력은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완벽하게 한글 입력이 적용되기 전에는 배경 이미지만 뽑아서 다른 툴로 작업하는 것이 좋겠다...
사이즈도 잘 안맞았습니다. A4 사이즈로 만들어달라고 했는데 전혀 다른 사이즈로 그려놨더라구요. 계속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윤누리님 감사합니다. 편하게 사례글 작성했습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