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 gpt와 rUNaWAY/kLING/lUMA///elevenlabs/mIDJOURNEY로 3분길이의 영상제작후기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쇼폼제작은 건너뛰고, 중편???제작에 돌입해봤습니다.

역시 문제는 일관성유지가 어려웠습니다.

우리가 영상을 볼 때, 옷차림새, 머리길이, 의상색깔등 몇가지만 충족되면, PASS하듯이 최대한 이미지가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조치아닌 조정에 노력했습니다.

제가 AI툴들을 접하면서,특히 미드저니를 배우면서 난제라고 할 수 있는 일관성유지를 해볼려고 도전하였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먼저, 챗GPT에서 저의 싸부님이 만들어서 배포하신 GPTs를이용해서 “초단편용 영화제작용”을 가지고서, 15단계에 맞춰서 제목부터출품할 AI영화제용으로 작업을 했고, 여기서 단계별로 만든다음, 스토리에 맞는 미드저니용 프롬프트를 생성해서, 이 이미지를 동영상제작AI툴(rUNaWAY/kLING/lUMA)에 기본적인 기능만을 이용해서,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만들었습니다.

총평을 하자면, 루마가 제일 제가 생각하는 영상의 근사치에 부합했고, 그다음은 런어웨이가 맞춤형 영상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었고, 좀 색다른 영상은 클링에서 뽑은 것 같습니다.그리고 쬐끔씩 이상한 영상을 만들어 준 것은 클링입니다. 3컷정도 본편에 이용을 했는데, 영상의 내용이 마음에 들어서 사용하였습니다. 제가 가장선호한 AI영상툴은 루마였던 것 같습니다.

Tip: 사용한 프롬프트 전문을 꼭 포함하고, 내용을 짧게 소개해 주세요.

미드저니에서 사용한 프롬프트입니다.

 

Holy celestial realm, golden clouds, divine light beams, Buddha and Mara facing each other on ancient thrones, mythical atmosphere, cinematic lighting

화면사이즈는 16:9로 하였습니다.

 

이 프롬프트를 이용해서 루마나 기타 AI툴들을 이용해서 영상을 뽑아냈습니다.

영상툴은 시작영상과 끝영상이미지를 넣어서 만든것도 있고, 시작영상만 넣어서 만든것도 있는데, 어느것은 시작용 이미지만 넣었을때가 더 마음에 드는 영상이 나오기도 한 것 같습니다.

Tip: 활용 이미지나 캡처 화면을 꼭 남겨주세요.

구름 한가운데에 앉아 부처 동상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 🛠 함께 사용한 도구들

 | 도구명 | 역할 |

| Midjourney | 환상적이고, 몽환적 배경 및 감성 장면 이미지 제작 | 이미지 생성 |

 | lUMA | AI 기반의 영상 편집 및 생성 |

 | rUNaWAY-3 | AI 기반의 영상 편집 및 생성 |

 | Kling | AI 기반의 영상 편집 및 생성 |

 | Canva | 엔딩크레딧작성용 템플릿이용, 텍스트 작업 |

 여기서 캔바하고 일레븐렙스를 이용한 편집내용은 두 번째 vER_0.2에서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

다.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처음으로 감독데뷰용 영상을 만들어봤습니다. 선배님들이 무조건 한작품이라고 완성해보라고 조언들을 해주셔서 불이났게 만들어 봤는데, 전체적인 완성의 레이아웃을 알수 있었습니다.

즐거운 경험들이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2번째 작품을 만들어 볼 생각인데, 이번엔 애니메이션에 도전해 볼 생각입니다. 많은 응원부탁드립니다.

찰라의 패스워드.mp4
21.5MB

5
6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