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지피티를 갈궈서 AI로 포카리스웨트 광고 영상 만들어보기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AI를 활용해서 광고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굳이 왜 포카리스웨트냐?

  1. 한달 넘게 손을 놨던 상황이라 크리에이티브 한 건 무리!!!

  2. 실제 광고주 영상을 만들면 완성도 집착으로 언제 마무리 될지 모름

  3. 전국민이 아는 확실한 컨셉, 포카리스웨트

챗지피티만 사용하기

  1. 생성형 AI (이미지, 영상)를 처음 만지는 분의 대부분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 기획 단계부터 막힘.

  2. 광고 영상이든, 상세페이지 작업이든 가장 필요한 건 이미지와 상품 합성, 이건 어떻게 하는거지?

이런 이유로 이번에는 모든 것을 챗지피티에서 계획을 잡고 프롬프트도 뽑고 갈궈가며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결과물부터...

총 제작 기간은 이틀이구요, 시간으로는 대략 6시간 정도 들었던 것 같습니다.

만들어 놓고 마음에 안 들었던 영상도 있고 해서 마지막 일부 영상과 편집은 좀 날림으로 진행했습니다.

진행 방법

사용한 도구와 워크플로우

  • 컨셉 & 시나리오 기획:

    • ChatGPT로 광고 컨셉, 시나리오, 필요한 이미지 및 영상 프롬프트 작성

    • 외부 GPTs 없이 ChatGPT를 전방위로 활용

  • 이미지 생성:

    • Midjourney를 사용해 캐릭터와 배경 이미지 생성

  • 상품 이미지 합성:

    • 힉스필드(Hicksfield)를 활용해 포카리스웨트 상품 이미지 삽입

  • 영상 제작:

    • Kling 2.1: 메인 영상 생성 툴

    • Hailuo 02: 서브

모든 작업은 챗지피티를 통해 진행했습니다.

챗지피티 답변 그대로 진행했고 필요 시 역으로 질문을 하고 플랜을 수정해가며 갈구고 조져가며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프롬프트 GPTs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기본 대화창에서 모든 것을 마무리하였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한국 소녀의 두 장의 사진이 포함 된 페이지의 스크린 샷

이런 식으로 상호간의 대화와 필요한게 있는지 여러가지 의사소통을 진행했습니다.

  1. 챗지피티가 제안한 캐릭터 프롬프트로 미드저니에서 캐릭터 이미지를 만들고,

  2. 챗지피티에 만든 이미지를 업로드 하고 이 이미지의 기본 특성을 캐릭터에 반영해 프롬프트 생성 시 캐릭터 일관성을 맞추도록 지시했습니다.

  3. 그 과정에서 캐릭터를 좀 더 세세하게 디테일을 잡아줘 프롬프트에서 잡을 수 있는 일관성은 모두 잡는 쪽으로 시도했습니다.

  4. 마지막으로 캐릭터 A의 영상 컷과 그에 필요한 이미지를 정하고, 영상 생성을 위한 이미지 프롬프트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5.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챗지피티에게 더 좋은 결과나 대답을 위해 나에게 필요한 질문을 허락한다는 것입니다.

캐릭터 일관성 확보 전략

캐릭터 일관성이 AI로 제작 시 큰 문제였습니다.

Midjourney로 다양한 레퍼런스 이미지 수집해봤는데... 역시 뭔가 좀 모자랍니다.

챗지피티와 서로 고민하다가 캐릭터를 두 명으로 나눠 외모적 특징을 부여하고 교차 편집으로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꼼수를 생각해 봤습니다.

  1. 캐릭터 A는 백금발에 핑크빛이 섞인, 하얀 반팔 라운드넥 티셔츠, 청반바지로 외모와 복장에 특징을 줬고

  2. 캐릭터 B는 검은 히메스타일 머리에 라운드넥 민소매 원피스로 특징을 잡았습니다.

  • 여기서 실수가 생겼는데 제가 한달 넘게 이쪽을 등한 시 하다 보니 최근에 나온 옴니레퍼런스 기능을 깜빡 해버렸어요.

    영상은 이미 만들어버렸고... 옴니 레퍼런스를 이용해 캐릭터 A의 이미지를 따로 만들어 봤습니다.

    금발 머리를 가진 소녀가 해변에서 웃고 있습니다.
    긴 금발 머리를 가진 소녀가 바다에서 웃고 있습니다.
    해변에 핑크색 머리카락을 가진 소녀
    해변에 분홍색 머리카락을 가진 소녀
    한 여자가 해변에 서 있습니다

100% 동일하다고는 못해도 얼추 캐릭터가 유지됩니다.

왜 옴니 레퍼런스가 이제서야 기억난 건지;;;;;

상품 이미지 합성

원래 챗지피티로 상품 이미지를 합성할 생각이었습니다.

챗지피티가 한글에 좀 약하긴 해도 제법 이미지 합성을 잘 하는 편이라 맡기려 했는데...

higgsfield.ai

스레드에서 소개를 보고 접해봤습니다.

해변에 물 한 병을 들고있는 소녀
해변에 물 한 병을 들고있는 소녀
물 한 병은 나무 벤치에 있습니다
물 한 병은 나무 벤치에 있습니다

상당히 깔끔하게 합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상 생성

여러 사진을 보여주는 비디오 화면의 스크린 샷

영상 생성은 클링으로 진행했습니다.

처음 시작부터 모든 걸 챗지피티에게 맡기기로 한 상황이라 클링 2.1 모델, 프로페셔널을 사용한다 정도만 미리 전달했고 나머지 부분은 처음 협의된 컨셉에 따라 영상 프롬프트를 제작해 달라고 하였습니다.

크게 어색하거나, 기괴한 동작 몇개 제외하면 대부분 그냥 사용했습니다.

본 습작의 목적이 기본 챗지피티 만으로 콘티부터 이미지, 영상 제작까지 다 하는 쉽고 빠르게 따라하는 상업 영상이 목적이기에 가능한 프롬프트 추가 수정 없이 진행했습니다.

이건 유일하게 문제가 되었던 씬인데요.

보시는 것 처럼 캐릭터가 역광을 받으며 달려갑니다.

일반적인 영상이면 괜찮은 퀄리티인데, 문제는 포카리스웨트의 톤에 맞지 않는다는 거죠.

후편집을 통해 조명을 쏴주거나... 뭐 이런걸 챗지피티가 제안했습니다만 습작의 목적에 맞게 다른 툴로 해결했습니다.

몇가지 최근 업데이트된 툴위주로 테스트해봤는데 Hailuo 02가 가장 괜찮은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물론 시간 여유가 있고 실제 사용할 영상으로 만든다면 콘티를 수정해서 컷을 바꾸는게 가장 편하긴 합니다.

결과와 배운 점

  • 캐릭터 일관성: Flux1. 컨텍스트 기능을 활용하지 못해 여전히 한계가 있었음, 교차 편집으로는 아직까지 짧은 호흡의 광고 영상에서는 쉬운게 아니다. (아니다 내가 모자란 거였다...)

  • 상품 삽입: AI 이미지에 상품 자연스럽게 삽입하는 건 어느 정도 해결이 되고 있는데, 이걸 영상으로 돌릴때 아직 뭉개지는 경우가 많고 특히 페트병의 뚜껑을 열고 자연스럽게 마시는 행동이 예상외의 복잡함이 있었음.

  • 조명/자연광: Kling 2.1의 경우 전반적으로 영상 퀄리티가 좋고 자연스러웠으나 자연광 표현에서 배경이 어두워지는 문제가 발생. 특히 움직임이 커지면서 조명 시점이 변하는 경우 높은 확률로 캐릭터가 역광으로 들어가며 어두워짐...

  • 대안: Hailuo 02에서 비교적 자연광 표현이 잘 되었음. 여러가지 툴을 사용하는 편이라 그럭저럭 해결...내 돈...

  • 새로운 모델 탐색: Hicksfield와 Hailuo 02의 테스트가 큰 수확. 문제는 대부분의 영상 툴이 확 와닿는 기능 개선 없이 모델만 바꾸면서 비용을 올리고 있다는 점...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그래 잘하자.

대부분의 일은 챗지티피를 조지면 해결됩니다.

사실 이게 핵심입니다.

기본 챗지피티만 조져서 대부분의 작업과 프롬프트를 만들수 있었습니다.

맞아요, 대부분의 일은 챗지티피를 조지면 해결됩니다.

2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