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K
DECK
🏅 AI 마스터
⚔️ 베테랑 파트너

제미나이 딥리서치로 공모전 분석부터 기획까지 한번에 끝내기

안녕하세요 DECK (육대근)입니다.

지피터스는 언어모델, 얼마나 사용하고 계신가요? 경쟁적으로 내놓은 딥리서치 잘 쓰고 계신가요?

영상 공모전 스터디인데 시작부터 이미지나 영상이 아닌 LLM부터 이야기하는게 이상하다 느낄 수도 있지만,

모든 콘텐츠 제작의 시작은 기획입니다.

기획이 탄탄하지 않으면 결국 제작이 흔들리면서 방향을 잃게 되는 법이지요.

그래서 기획 단계에서부터 AI를 적극 활용하여 기획을 하는 법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여기서 왜 딥리서치까지 필요할까요? 사실 여러번 나눠서 조사를 하면 못 할건 아니지만, 그것들을 한번에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우리는 딥리서치를 이용해 아래 사항들을 한번에 조사 할 것입니다.

1. 공모 개요
2. 공모처(기관, 기업, 브랜드 등) 배경 정보
3. 경쟁 기관(기업, 브랜드) 정보
4. 관련 트렌드
5. 전년도(존재시) 수상작 경향
6. 공모처의 핵심 철학, 슬로건 등

이 내용들을 종합해 아래 내용을 한번에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1. 조사 내용을 반영한 기획 의도 등 기반 기획 내용
2. 구체적인 시나리오
3. 이미지, 영상 생성 방향
4. 생성 프롬프트

모든 공모전은 주제만 맞추면 내가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면 되는 것 같지만
저는 공모처가 원하는 핏을 참가자가 맞추어 찾아가는 것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개인 생각입니다)


그래서 해당 공모처의 철학이 반영되어야하고, 최신 트렌드에 핏되어야 하죠.
그 외에 경쟁 브랜드나, 해당 브랜드의 관련 콜라보, 관련 작업물들을 참고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전년도 수상작들의 경향을 분석 하는 것 즉, 작년도 정답지를 참고하는겁니다.

그럼 뭘 질문해야 하냐?
공모 요강(+ 있다면 심사기준)을 복붙해옵니다.

그리고 저는 간단하게 이정도 프롬프트를 입력했습니다.
(예시로 삼을 공모전이 뷰티 광고 공모전이기 때문에 광고 분석을 요청했습니다)

위 공모전에 제출할 영상을 만들거야. 해당 주최처의 기존 광고 분석 및 뷰티 분야 경쟁 브랜드의 광고 최신 트렌드를 조사하고, 생성 AI 기술과 뷰티분야의 협업 사례도 충분히 조사한 뒤 해당 공모전에 제출하기 위한 영상의 시나리오를 기획해줘. 

AI로 만들거기 때문에 씬은 세부적으로는 5초 단위로 잘게 쪼개서 정하고, 이를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미드저니 영문 프롬프트를 시각적 요소에 집중해서 영어로 생성해줘. (파라미터는 제거)

요정도로 넣으시면 됩니다. 딥리서치는 어차피 스스로 소스를 긁어다 보고서 형태로 나오기 떄문에, 조사할 내용과 보고를 받을 내용만 구체적으로 요청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고혼진 공모전 정보를 예시로 넣어봤습니다.

공모전 명

“Timeless Beauty” 고혼진 AI 영상광고 공모전

목적

화장품 브랜드 고혼진과 함께하는 ‘시간을 거스르는 아름다움’ 주제의 AI 영상 광고 공모전을 개최합니다.이번 공모전은 AI 기술을 활용해 브랜드의 방향성과 미래상을 창의적으로 상상하고 표현하는 기회입니다.영상의 완성도뿐만 아니라, 브랜드 철학을 담아낸 스토리와 카피의 창의성이 주요 평가 요소이며,우수작은 실제 광고 캠페인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공모전 슬로건

◦ 시간을 거스르는 아름다움 , 타임리스 뷰티 고혼진

◦ 자연에서 유래된 성분과 독자적인 성분으로 압도되는 아름다움

◦ 고혼진으로 시작하고 끝내는 하루 온종일의 아름다움



위 공모전에 제출할 영상을 만들거야. 해당 브랜드의 기존 광고 분석 및 뷰티 분야 광고 최신 트렌드를 조사하고, 생성 AI 기술과 뷰티분야의 협업 사례도 충분히 조사한 뒤 해당 공모전에 제출하기 위한 영상의 시나리오를 기획해줘. AI로 만들거기 때문에 씬은 세부적으로는 5초 단위로 잘게 쪼개서 정하고, 이를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미드저니 영문 프롬프트를 시각적 요소에 집중해서 영어로 생성해줘. (파라미터는 제거)

여기에 더해서 공모전 심사요강을 복붙해서 이미지로 넣어줬습니다.

나온 결과물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d/1zAfr18TE6dZ0Wp1A_JjiZEx4Ba1Y4lleWZJPatpUueE/edit?usp=sharing

보이는 것처럼 기본적인 기획부터 상세 프롬프트까지 제작해줍니다.

내용이 별로 마음에들지는 않아서 조금 코믹하게 미이라를 발굴했는데,
고혼진을 사용해서 얼굴이 그대로인 미이라가 나온다는 설정으로 바꿔봤습니다.

딥리서치 버튼이 활성화 된 상태로 수정을 요청하면, 수정된 보고서를 다시 제공해줍니다.

해당 보고서를 시각화 해보았습니다.

저는 요즘 모든 기획의 시작을 제미나이 딥리서치로 하고 있고,(물론 여기서 디벨롭은 해야 합니다)

다른 툴은 안되고 꼭 제미나이여야 하나요?

  • 제미나이의 딥리서치 특성이 말이 많다는 점인데, 정확한 조사 내용 + 기획까지 받아야하는 경우 이 특성이단점이 아니라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 챗지피티나 퍼플렉시티로 조사할 때는 사전 조사 한번, 기획안 작성 한번 두번으로 나누는게 결과물을 봤을 때 효율적이라 느껴졌습니다.

사실 위 기획 기반 조사는 꼭 공모전에만 해당 하는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응용 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 정부 부처 자문 화의에서 감동과 반향을 일으킨 적이있으며...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