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와 하일루오를 활용한 명리학 십성론의 상생상극도 시각화 강의자료 제작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명리학 강의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십성론의 상생상극도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십성의 상호 관계와 영향력을 직관적으로 이해시키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시각적 자료가 개념 이해에 큰 도움이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AI를 활용해 십성론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강의 자료를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진행 방법

Tip: 사용한 프롬프트 전문을 꼭 포함하고, 내용을 짧게 소개해 주세요.

Tip: 활용 이미지나 캡처 화면을 꼭 남겨주세요.

Tip: 코드 전문은 코드블록에 감싸서 작성해주세요. ( / 을 눌러 '코드 블록'을 선택)

1. 클로드로 십성론 개념 정리: 먼저 클로드를 활용해 십성론의 핵심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사용한 프롬프트:

```

다음 명리학 개념에 대한 교육용 설명문을 작성해주세요:

개념: 십성론

대상: 중급자

길이: 1000자 내외

포함할 요소:

1. 개념의 기본 정의와 한자 표기

2. 역사적 발전 과정과 중요성

3. 실생활에서의 적용 사례 2가지

4. 초보자가 자주 혼동하는 부분과 명확한 설명

5. 관련된 다른 명리학 개념과의 연결점

설명문은 비유와 예시를 풍부하게 사용하고, 학술적 정확성과 이해하기 쉬운 설명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주세요.

```

2. 클로드로 십성 관계도 생성: 오행과 십성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기 위해 클로드를 활용했습니다.

 

5행에 사용한 프롬프트:

```

 “전통 동양 철학적 미학을 바탕으로 한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다이어그램을 그려주세요. 오행 요소(木, 水, 火, 金, 土)를 특정 배치로 위치시켜 주세요. 木은 상단 중앙에, 水는 왼쪽 중간에, 火는 오른쪽 중간에, 金은 왼쪽 아래에, 土는 오른쪽 아래에 배치합니다. 각 오행 요소는 전통적인 색상(목-청색, 수-흑색/회색, 화-적색, 금-백색/은색, 토-황색)으로 표현합니다. 상생 관계(수생목,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는 녹색 화살표와 '생' 글자로 표시하고, 상극 관계(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는 빨간색 화살표로 연결하며 중앙에 '상극' 글자를 배치합니다. 제목은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으로 표시하고 한지 질감의 배경을 적용해 주세요."

 

```

결과 ===> 성공작으로 활용은 가능하지만 원본 PPT보다 수준이 낮으므로 채택하지 않음.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10성에 사용한 프롬프트:

```

전통 동양 철학적 미학을 바탕으로 한 명리학 십성 관계도를 생성해주세요. 구체적 요구사항:

1. 중앙에 일간을 배치하고 주변으로 십신(비견, 식신, 재성, 관성, 인성 등)을 배열

2. 각 십성은 전통 오방색으로 구분(수-검정/청색, 목-청색/녹색, 화-적색, 토-황색, 금-백색/은색)

3. 십성 간의 생조, 억제 관계를 화살표로 표시

4. 각 요소에 한자와 한글 표기 포함

5. 배경은 가볍게 낡은 한지 질감 적용

6. 전체적으로 미니멀하면서도 동양 철학적 품격이 느껴지는 디자인

7. 교육용 강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깔끔하고 가독성 높은 구성

```

결과 ==== > 실패작으로 사용 및 채택하기는 어려움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웹 페이지의 스크린 샷

 

3. 하일루오 시각화: 인트로 동영상 화면 뒤의 1 번째 화면에 나오는 ‘새가 날아가는 영상은, 하일루오 프로그램이 텍스트 자료를 삭제한 뒤 동영상자료로 작성해 주어 처음으로 성공한 자료인데, 나머지 명리학 PPT자료의 동영상들은 아무런 반응이 거의 없어서 이 자료만 활용하였습니다.

 

4. VREW로 영상 편집: 생성된 시각 자료와 설명 내용을 VREW를 통해 동영상으로 편집했습니다. AI 자동 편집 기능을 활용하여 적절한 음향과 음악, 자막 수정을 적용했습니다.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명리학의 십성론을 시각화한 자료는 학생들의 이해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특히 오행 색상을 활용한 관계도는 복잡한 십성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시행착오로는 처음에 ChatGPT에게 너무 복잡한 요구사항을 한 번에 전달했을 때 일부 요소가 누락 및 생략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클로드에게 프롬프트 작성을 요구하여 진행하는 방식이 효과적이었으나, 이 또한 활용할 수 없을 정도의 실패로 인하여 내가 가지고 있는 PPT 원본을 활용하여 영상 편집하였습니다.

또한 클로드가 작성해 준 내용도 기본 개념 파악이 안되어 AI명리 선구자로서의 내용 수정이 너무 많아, 향후 GPTs와 API와의 연동 등 갈길이 험난할 것이라는 예측을 해 봅니다.

https://files-us-east-1.t-cdn.net/files/NGWhvJhZfn9budHKBbNQr

오행의 상생상극도 - 2.mp4
45.25MB

앞으로는 이 시각 자료를 기반으로 인터랙티브한 학습 도구를 개발할 계획이며, 특히 고객들이 자신의 사주를 입력하면 십성 관계를 자동으로 시각화해주는 도구를 만들어볼 예정입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 김이언 스터디장님의 '몽타주 기법을 활용한 자기소개 영상 만들기' 문서

 - 지피터스 선샤인 버디님과 동료, 청강생분들의 카카오톡 피드백 자료

 

5
8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