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배우지 못하고, 시간도 없을때는 ChatGPT 와 Sora의 배합도 참 괜찮네요.

소개

영상프로토타입 스터디 그룹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시도를 할려고 했지만, 시간과 노력의 부족으로 실패. 어떤 간단한 액션이 있을때 홍보영상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러다가 생각한것이 챗지피티를 이용해서 소라의 프롬트를 만들고, 필요한 영상이 나오면 그곳에 말풍선을 집어넣고, 이미지와 다른것들을 넣어서 그리면 되겠다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결국은 자기가 잘 아는 것을 처음에 이용해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할듯합니다. 지난번에는 소라를 모르고 건드렸다가 내용물에 완전히 실망. 이번에는 그래도 좀 건졌습니다.

진행 방법

챗지피티를 이용해서 하고 싶은 시나리오를 만들게 했고, 그다음에는 그내용을 소라에 맞게 프롬트를 지어 달라고 했습니다. 소라는 영어에 최적화가 되어 있어서, 그 프롬트를 보고 고치고 싶은 내용을 고쳤습니다. 내용이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필요한 동영상이 나왔습니다. 소라의 크레딧이 한달에 10,000 크레딧이 나오는데. 영상 20초를 만들면 약 300 크레딧이 소요가 되는 것 같습니다. 그렀다면 약 33개의 영상을 만들 수 있는듯 합니다. (그런가?) 그리고 크레딧을 다 써도 트래픽이 낮은 시간대에는 무제한으로 영상을 만들 수 있다고 하네요. 제대로 배워서 잘 만들면 될듯합니다.

처음에 다음의 질문을 했습니다.

"Sora 를 이용해서 커뮤니티매핑센터의 다양한 스토리를 캐릭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겠어요?"

그랬더니 아주 장황한 설명.

Sora를 이용해 커뮤니티매핑센터의 다양한 스토리를 캐릭터 기반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애니메이션 기획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전에 기획을 탄탄하게 해야 합니다.
먼저 스토리와 캐릭터 설정을 정리하세요.

  • 목표 설정:

    • 커뮤니티매핑센터에서 전달하고 싶은 핵심 메시지는 무엇인가?

    • 대상 시청자는 누구인가? (학생, 교사, 시민, 연구자 등)

  • 스토리라인 개발:

    • 커뮤니티매핑을 통해 어떤 이야기를 전달할 것인가?

    • 실화 기반인가, 창작 스토리인가?

    • 에피소드별로 분리할 것인가, 아니면 한 편의 단편 애니메이션인가?

  • 캐릭터 설정:

    • 중심 캐릭터는 누구인가? (예: 학생, 연구자, 지역 주민)

    • 커뮤니티매핑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정리하기

    • 성격과 역할 설정 (예: 열정적인 활동가, 신중한 데이터 분석가 등)


2. Sora를 이용한 영상 제작 준비

OpenAI의 Sora는 텍스트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AI 도구입니다.
현재 Sora는 직접 사용할 수 없으며, OpenAI 파트너 또는 연구 기관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준비할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텍스트 프롬프트 작성 (Prompt Engineering)

    • Sora는 텍스트 입력을 통해 영상을 생성하므로 정확한 설명이 중요합니다.

    • 예시:

      css

      CopyEdit

      A young community activist in a vibrant city, using an interactive map on a tablet to highlight environmental issues. She walks through the streets, talking to people, marking pollution spots, and engaging local residents in mapping efforts. The animation has a soft, painterly style with smooth transitions, cinematic lighting, and detailed urban environments.

  • 스타일 설정

    • 원하는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정리해야 합니다.

      • 2D vs. 3D?

      • 현실적인 vs. 만화 스타일?

      • 단순한 선화 vs. 세밀한 그래픽?

    • 예제 스타일을 찾아 참고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영상 길이 & 장면 구성

    • 하나의 프롬프트로 10~30초짜리 클립이 생성될 가능성이 큼

    • 스토리별로 장면을 나누어 여러 개의 클립을 제작하고 편집해야 함

    • 장면별 텍스트 프롬프트를 미리 작성해둠


3. 추가 도구 활용

Sora를 직접 사용하지 못할 경우, 대체 AI 도구와 편집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AI 애니메이션 도구 활용

    • Runway ML: 텍스트 기반으로 영상 생성 가능

    • Kaiber: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 Pika Labs: 텍스트에서 영상 생성 가능

  • 비디오 편집 & 추가 요소 삽입

    • Adobe Premiere Pro / DaVinci Resolve: 클립 편집, 자막 추가

    • Canva / After Effects: 애니메이션 효과 추가

    • ElevenLabs: AI 보이스오버 활용해 내레이션 삽입


4. 커뮤니티매핑 데이터 활용

스토리에 실제 커뮤니티매핑 데이터를 활용하면 현실감이 더해집니다.

  • Mappler에서 시각화된 맵 데이터를 삽입

  • 애니메이션 내에서 지도 UI를 등장시키고 캐릭터가 데이터를 조작하는 장면 연출

  • 실제 현장 사진과 애니메이션을 결합해 다큐 형식으로 구성


5. 완성 후 활용 방안

  • YouTube, Instagram, TikTok에 짧은 영상 공유

  • 강의나 워크숍에서 교육자료로 활용

  • 커뮤니티매핑센터의 웹사이트에 삽입해 홍보


결론

  1. 스토리와 캐릭터 설정을 먼저 확실히 정리합니다.

  2. Sora 프롬프트를 자세히 작성하여 원하는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반영합니다.

  3. 다른 AI 영상 제작 도구를 활용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추가 편집을 진행합니다.

  4. 커뮤니티매핑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여 실감을 더합니다.

  5. 완성 후 SNS 및 교육 자료로 활용하여 확산합니다.

그래서 다음 질문을 했습니다

"소라의 프롬트중 가장 멋있는 프롬프를 영어로 만들어줘요. 자막은 나오지 않게 하구요. 한국남자 장애인 약 50세 먹은 사람이 한국 여자 8살인 딸과 같이 다니면서 한국 북촌을 구경하다가, 높은 계단을 보면서 좌절하는 순간을 그린 동영상을 감동이 있게 그려주겠어요?"

그랬더니 다음의 프롬프트를 제공

A middle-aged Korean man with a physical disability, around 50 years old, is exploring the traditional Bukchon Hanok Village in South Korea with his 8-year-old daughter. The father, wearing a subtle yet warm smile, moves carefully with his daughter by his side, enjoying the beauty of the historic alleys. The girl, full of energy and curiosity, holds his hand tightly, pointing at the hanok houses with excitement.

As they continue their journey, they come across a steep flight of stairs leading to a higher part of the village. The father gazes up at the long, daunting staircase, his smile fading into a moment of hesitation and sadness. His daughter, unaware of his inner struggle, gently tugs at his hand, looking up at him with innocent eyes.

The camera captures the emotional contrast—his longing to continue the journey versus the physical barrier before him. A soft breeze rustles the trees, and the golden sunlight reflects off the tiled rooftops, enhancing the poignant atmosphere.

The scene is deeply cinematic, with slow-motion shots highlighting the father’s emotional expression, the child’s hopeful gaze, and the beauty of Bukchon. The camera subtly focuses on the man’s clenched hand, trembling slightly as he makes a silent decision.

The video has a warm, film-like quality with soft natural lighting, dynamic depth of field, and a powerful yet delicate background score that evokes deep emotions. The scene ends with a close-up of the father's face, reflecting both pain and determination, as his daughter’s small hand rests firmly on his.

돌려보니, 원래 휠체어에 탄 중년 어른을 생각했었는데, 휠체어 이야기를 빼먹었습니다. 그래서 영어로 휠체어 부분을 다시 넣고 나서 나온 동영상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sora.com/g/gen_01jkyap2edeayrfsd9zpsa4cwe

조약돌 거리를 걷는 휠체어의 남자와 여자

이정도 영상이면 쓸만한 것 같아요. 이곳에 말풍선과 글을 잘 덧붙이면 될듯합니다.

두번째는 똑같은 개념으로 해양쓰레기 커뮤니티매핑 장면을 만들어 봤습니다. 오~~ 너무 괜찮아요.

https://sora.com/g/gen_01jky93bhjf269v6fee00bzb64

두 사람이 바위 같은 해변에서 쓰레기를 집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 영상을 가지고 캠타지아 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가지고 말풍선을 넣어 봤습니다.

해변에서 바위를 청소하는 사람들의 비디오

그랬더니 처음 치고는 괜찮은 영상이 나왔습니다.

https://youtu.be/S_gTh9DhnSM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일단 너무 무서워 말고, 본인이 할수 있는 범위내에서 시도를 해서 결과를 만들어보자!!!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어렵게만 생각했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많지요!! 일단 이미지와 동영상 기본 AI 를 배워야 겠습니다. (두가지 툴 이름이 있었는데 벌써 이름을 잊어버렸음. 하나는 미드 저니 (이미지)? 두번째는 클링(동영상)? )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지금 알고 있는 것을 제대로 잘 써보고 다음 진도를 나가겠습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14기 영상 프로토타입 스터디장님의 격려, 그리고 멤버들의 활동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

(내용 입력)

1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