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특정 서비스명에 'GPT'를 붙일 수 없게 됐다. 챗GPT를 개발한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AI가 상표권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생성형 AI 주도권을 잡으려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술 독점에 이어 상표권 출원까지 나섰다는 분석이다.
- 24일(현지시간) 오픈AI는 회사 홈페이지에 브랜드 가이드라인을 게재했다. 오픈AI 사명과 챗GPT, GPT-4, 달리(DALL·E) 등 자사 AI 모델명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명시했다.
-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특정 서비스명에 GPT를 붙일 수 없게 한 것이다. 'GPT-4로 구동되는 서비스(powered by GPT-4)', 'GPT-4에 기반한 서비스(built on GPT-4)' 등으로 쓸 수 있지만 'GPT', '챗GPT 기반(ChatGPT-powered)'을 서비스명과 함께 쓰지 말라고 권고했다. 아울러 오픈AI 공식 파트너가 아닌 경우 협력이나 파트너십이라는 표현도 제한했다.
- 오픈AI가 브랜드 사용을 제한한 것은 상표권을 출원했기 때문이다. 오픈AI는 지난해 12월 미국 특허청(USPTO)에 상표권을 출원했다. USPTO가 지난 13일 이를 인정하면서 GPT는 오픈AI 소유가 됐다.
- 서비스명에 GPT를 쓴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들은 이를 바꿔야 한다. 지난해 11월 챗GPT가 출시된 후 전 세계적으로 이에 기반한 서비스가 쏟아졌다. 네이버는 차세대 검색 프로젝트명으로 '서치GPT'를, 카카오는 한국어 특화 언어모델로 '코(Ko)GPT'를 사용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의 시황 요약 서비스 '투자 GPT', 페르소나AI의 챗봇 서비스 'KGPT' 등 여러 분야에서 GPT가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23.04.25] ○○GPT 못 쓴다…오픈AI 상표권 출원
1
2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