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가 과학 논문 작성에 끼친 세부 사례

@김지수 님이 쓰신 글을 보고 최근에 신기한 뉴스를 봐서 간단하게 소개드립니다.

2024년 3월 ScienceDirect에 게재된 ‘The three-dimensional porous mesh structure of Cu-based metal-organic-framework - aramid cellulose separator enhances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thium metal anode batteries’ 라는 논문에서 ChatGPT를 사용해 논문 문구를 작성했다는 의혹이 퍼지고 있습니다.


  • 해당 Introduction을 확인해보면 “Certainly, here is a possible introduction for your topic”이라는 문구가 보이는데, 이는 gpt를 사용해서 특정 정보를 검색할 때 gpt가 내뱉는 주요 문구 중 하나입니다

    • 현재까지도 자료 검색이나, insight 제공 등 다양한 방면에서 gpt를 논문에 적용해왔지만, 이번 사례처럼 copy and paste가 된 경우는 흔치 않았습니다.

    • 그럼에도, ChatGPT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근 지식 업데이트 기준”이라는 문구가 포함된 논문이 꽤나 많다고 하네요.

    • 즉, gpt를 통해 내용을 작성하고 이를 바로 논문에 apply해버린 사례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닌 듯 합니다.

  • 제가 있는 커뮤니티에서는 이러한 문구가 있음에도, peer 평가 등을 통과한 것이 어이 없다라는 의견이 있는데, 저 역시도 궁금하네요… 저 논문을 읽을 만한 도메인 지식이 없어 명확한 판단은 내리지 못하겠지만, 아마도 초고 내용을 gpt에게 넘긴 후 다듬은 문장을 바로 넣어 버린 것이 아닐지…

4
2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