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14일 주요 뉴스

[생성 AI시대, 우리는]〈4〉'AI 일상화' 앞당긴다 | https://www.etnews.com/20230210000126 | 생성형 AI는 일의 생산성, 효율성을 높여준다는 게 전문가들 입장. 앞으로 인간의 역할은 좀 더 고차원적인 일을 하거나 감성적인 일자리를 갖는 형태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

마인즈랩 '마음GPT'와 생성AI 연동 플랫폼 '마음AI 2.0'... 챗GPT 기반 제3세대 '인공인간' 공개한다! | https://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7343 | 마인즈랩은 오픈 AI,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가 이끌고 있는 대형언어모델. 대화형 AI에 경쟁하기보다는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어에 특화된 언어 모델로 차별화와 더 특별한 한국형 대화형 AI를 선보이겠다는 전략이다. 마인즈랩은 이번 행사를 통해 수집한 도메인 데이터로 학습한 '마음GPT'를 공개하고, 이를 마음오케스트라와 연동하여 근거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정보추출엔진과 결합한 파이프라인을 maum.ai 플랫폼에 탑재할 예정이다.

독립 검색 엔진 플랫폼 CEO “AI가 생성한 콘텐츠, 가장 큰 문제는 신뢰성·투명성 부재" | https://www.codingworld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26 | 팻 콘도(Pat Condo)는 블룸버그 뉴스 채널인 블룸버그 테크놀로지에 출연, 인공지능(AI)이 생성하는 거짓 정보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콘도는 챗GPT와 같이 텍스트 생성 능력을 갖춘 AI의 기본 개발 목적은 최대한 많은 콘텐츠를 생산한다.

[AI혁명, 챗GPT] "내 일도 뺏길라"...미래 AI가 대신할 직업 10가지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213000155 | 새로운 기술의 혁명"이라며 "향후 5년 안에 챗GPT가 전체 노동인구의 20%를 대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AI가 모든 직업을 대체할 순 없겠지만 "일상 업무에 AI 활용이 큰 도움이 될 숙련을 요구하지 않는 직업군에서 1차 대체의 물결이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AI에 어떻게 입력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천차만별...'AI 통역가'도 뜬다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20711100002151 | 바로 생성 AI를 활용해 이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결괏값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다.

내 과거 다 아는 상담사, 사람 아니네?…기업도 꽂힌 '일상혁신' 정체는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1222041965182 | 과기정통부는 "새로운 AI 경쟁을 하기엔 한국은 AI 기술성장 정체, 인력 부족 등의 한계가 있다"며 "국내 확산과 세계로 나가는 킬러 AI·유니콘 기업 부족, 국민·기업의 AI 활용도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 대학교수는 "초거대 AI 개발 기업의 연구가 원활하도록 정책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게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의 역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올거나이즈 CTO "한국, 생성 AI 기술 전망 밝다" | https://www.msn.com/ko-kr/news/techandscience/%EC%98%AC%EA%B1%B0%EB%82%98%EC%9D%B4%EC%A6%88-cto-%ED%95%9C%EA%B5%AD-%EC%83%9D%EC%84%B1-ai-%EA%B8%B0%EC%88%A0-%EC%A0%84%EB%A7%9D-%EB%B0%9D%EB%8B%A4/ar-AA17pJCf | 올거나이즈가 기존에 개발한 알리에 오픈AI의 언어 모델 GPT-3.5 버전을 접목한 최신 솔루션이다.

용의자 캐리커처 생성해주는 AI 프로그램 나왔다 | https://techrecipe.co.kr/posts/50446 | 개발자 2명이 오픈AI 이미지 생성 모델인 달리2(DALL・E2)를 이용해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용의자 캐리커처를 만드는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개발자는 보통 2∼3시간이 걸리는 스케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전문가는 리얼한 게 오히려 수사 방해가 될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독립 검색 엔진 플랫폼 CEO “AI가 생성한 콘텐츠, 가장 큰 문제는 신뢰성·투명성 부재" | https://www.codingworld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26 | 시커(Seekr) CEO 팻 콘도(Pat Condo)가 블룸버그 뉴스 채널인 블룸버그 테크놀로지에 출연, 인공지능(AI)이 생성하는 거짓 정보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오늘날 AI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그래픽뉴스] 초거대 AI 시대, GPT-4…다중 감각을 인지하는 형태될까 | http://kidd.co.kr/news/231299 |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주간기술동향-‘초거대 AI 모델 연구 동향’ 보고서(이하 보고서)는 ‘기존 언어 모델은 수천억 개의 파라미터를 활용해 토큰의 분포, 의미 등을 모델링했다면, 최근에는 외부 지식의 접근을 통해 필요한 지식을 활용하거나 기존의 지식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초거대 언어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다’라고 했다.

[SEN]폴라리스오피스·셀바스AI ‘맞손’…AI 음성인식 활용 글로벌 AI 오피스 SW 개발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LQGXVI4M | 양사는 △오피스 엔진 원천 기술 개발 △AI 기반 음성인식, 음성합성, 필기인식 등 적용 △AI 융·복합 기술 적용 △서비스 개발 협력 및 사업화 △공동 사업 추진 및 홍보 마케팅 등 폴라리스오피스의 생산성 기반 오피스 SW에 다양한 AI 기술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고맙다 챗GPT···네이버 'AI 아바타'도 쾌속질주 | https://news.nate.com/view/20230213n09096?mid=n0600 | 네이버 '스노우앱' 유료 기능 흥행;출시 한달 만에 이용자 60만 돌파;기술 고도화에 대중 신뢰 높아져;카카오 '비디스커버' 1분기 출시;라이언로켓 등 스타트업도 도전 국내 양대 빅테크 네이버와 카카오도 자사 기술을 활용한 유료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챗GPT 금지는 집단 히스테리… 年학비 2억원 학교의 AI활용법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1215432213978 | 가데만에 따르면 로젠베르크 연구소에서는 학생들이 오픈AI가 만든 챗GPT와 달리(DALL-E, 이미지 생성용 AI)를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챗GPT 씌운 검색 앱 다운로드 폭발… 구글 시총 200조 날아갔다 |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3/02/13/DT4MYWVM7JDZHB2USV3SNCWYGE/ |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의 챗GPT를 탑재한 검색엔진 빙을 공개한 후 빙의 스마트폰 앱 다운로드 수가 폭증하고 있다.

세미콜론] 챗GPT와 국세청의 AI 세금비서 | https://www.sejun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1582 | 한층 진화된 챗GPT의 등장으로 국세청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세행정에는 어떠한 큰 변화로 다가올지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챗GPT, 내 일자리도 뺏어갈까…직장인들 '긴장'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LQG9USWG |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컴퓨터공학과 교수)은 “챗GPT는 알파고보다 파장이 더 클 것”이라며 “높은 전문성이 필요한 일자리를 AI가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겠지만 단순 사무직 등 소위 ‘중간 일자리’는 빨리 위협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챗GPT로 교육도 바뀔까… 교육부, 공개토론회 개최 |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302130043 | 교육부는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부내 직원들 대상으로 챗GPT를 체험하고 토의하는 디지털 게릴라 공개토론회를 개최한다. 교육부는 이번달 중 공개토론회를 한 번 더 개최한다. 또 챗GPT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학계, 기업, 학교 현장 등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디지털 교육 학술회의도 개최한다.

주요 웹 브라우저, ChatGPT 같은 대화형 인공지능 통합 추진 | https://m.bodnara.co.kr/article/view.html?num=184067 | 오페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