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피터스 뉴스레터는 모두가 AI 발전 속도에 뒤처지지 않도록 커뮤니티의 가장 흥미로운 AI 활용법을 전합니다.
책 대신 독서 유튜브로 책에 대한 GPT 만들기
최신 논문을 RSS로 받아볼 수 있는 Scholarcy
Sora로 무한 반복되는 영상 만들기
자료를 나의 노트 형태에 맞게 재가공 자동화
지피터스 뉴스레터를 구독해서 뉴스레터를 편지함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책 대신 독서 유튜브로 책에 대한 GPT 만들기
요약: 김영균 님은 AI를 활용해 독서모임의 변화를 시도했습니다. 독서모임의 주제가 될 책에 대한 영상을 학습한 GPTs 챗봇을 만들어 토론 발제문을 만들고, 토론 주제를 뽑은 사례입니다.
단계별 과정:
독서모임에서 진행할 책에 대한 웨비나를 유튜브에서 찾고, 그 영상 스크립트를 추출했습니다.
추출한 스크립트를 파일로 넣고 클로드에게 챗봇의 인스트럭션을 작성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챗봇을 만들 수 있는 GPTs에 스크립트 파일과 클로드가 작성해 준 인스트럭션을 넣어 챗봇을 완성했습니다.
챗봇을 이용해 독서모임의 발제문을 만들고, 토론 주제를 뽑았습니다.
흥미로운 점: 저작권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책 대신,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상을 기반으로 챗봇을 만든다는 관점은 이전에 볼 수 없던 참신한 사례였습니다.
2025년 첫 지피터스 AI 스터디 (⏰ ~1/3 얼리버드 마감)
2,600명 멤버, 8천+ AI 사례로 증명된 학습법으로 함께 성장해요
최신 논문을 RSS로 받아볼 수 있는 Scholarcy
요약: 연구에서 최신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연구 논문을 요약해주는 AI 툴인 Scholarcy를 이용하면, 최신 논문을 RSS로 구독해서 이메일로 받아올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 내가 원하는 주제의 논문을 RSS를 이용해 받아본다는 것은 상상만 해본 일이었습니다. Scholarcy를 이용하면 별도의 개발 없이도 이를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AI 뉴스
OpenAI는 AGI가 1,000억 달러 수익을 낼 수 있는 AI라고 생각합니다:
OpenAI와 마이크로소프트는 최소 1,000억 달러 수익을 낼 수 있는 AI 시스템이 AGI(인공 일반 지능)라 정의했습니다. 이전에 OpenAI는 2029년까지 연 간 1,000억 달러의 매출을 낼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지금 최고의 오픈소스 AI모델은 DeepSeek V3입니다: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DeepSeek V3은 메타의 Llama 3.1, OpenAI의 GPT-4o보다 성능이 뛰어납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모델을 개발하는데 든 비용이 81억 원($5.5M)에 불과했습니다.
구글 CEO는 2025년에 Gemini AI에 가장 집중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12월 18일에 열린 구글의 2025년 전략 회의에서 구글 CEO는 소비자 측면에서 Gemini 확장에 가장 집중할 것이라 이야기했습니다. 또한, 경쟁과 규제 장벽으로 인해 2025년이 큰 위험이 될 해라고 이야기합니다. 올해 11월 미국 법무부는 구글의 크롬을 매각하라고 강요했습니다.
30년차 개발자가 AI로 제2의 전성기, 챗사피엔스
소개: 벅스뮤직 COO출신, 30년 경력 개발자인 챗사피엔스님은 60대 은퇴 후 AI를 가르치며 제2의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지피터스 스터디장인 챗사피엔스님이 지피터스를 활동하며 인상 깊게 보았던 사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스터디장이 뽑은 사례:
장원근 님은 행정사이신 친척분을 위해 클로드를 이용해 랜딩페이지를 제작했습니다. GPTs를 활용해 페르소나 분석부터 카피라이팅, 디자인까지의 전 과정을 진행하여 실제 고객 DB까지 확보하는데 성공했습니다.(링크)
코딩 경험이 전혀 없던 하이젠버그 님이 에드센스 수익화 특강의 랜딩페이지 제작에 도전했습니다. 인기 유튜브 채널들의 댓글을 분석해 잠재 수강생들의 페르소나를 도출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클로드의 도움을 받아 랜딩페이지의 디자인을 만들어 리드젠에서 전문 적인 수준의 랜딩페이지를 완성했습니다.(링크)
더 깊게 만나세요: 챗사피엔스님의 유튜브 채널에서 AI로 영상 만들기 등 새로운 시도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ora로 무한 반복되는 영상 만들기
기본기: Sora의 AI 비디오 생성을 이용하면 짧은 영상을 무한 반복되는 영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단계별 과정:
챗GPT 구독이 되어있는 계정으로 Sora에 로그인합니다.
Sora에서 연속적인 동작을 하고 있는 영상을 생성합니다. (예시: 초원 위를 달리는 말)
우측 하단에 Loop를 클릭한 후 무한 반복할 구간을 선택합니다.
생성된 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SNS에 공유해 보세요!
자료를 나의 노트 형태에 맞게 재가공 자동화
요약: 우리는 흥미로운 자료를 보면 카카오톡 나에게 보내기에 넣어두고 다시 찾아보지 않습니다. @타이칸 님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를 보내기면 하면 관련 자료를 찾고 노트에 정리하는 것을 노코드 자동화 툴 Make를 이용해 구현하셨습니다.
단계별 과정:
내가 흥미롭게 여긴 자료를 텔레그램에 전송합니다.
그러면 구글에서 해당 자료를 찾아 본문을 추출합니다.
찾은 내용이 클로드가 정리 및 요약하고 내가 사용하고 있는 노트 형태에 맞게 재가공 해줍니다.
클로드가 정리한 노트를 웹훅으로 보내, 내가 사용하고 있는 노트 앱(사례에서는 옵시디언)과 연동합니다.
흥미로운 점: 카카오톡 나에게 보내기에 넣어두고 정리하지 않은 자료가 100여 개가 넘습니다. 내가 원하는 형태로 정리하는데 시간이 걸려서 발생한 문제인데요. 이걸 텔레그램에 보내기만 하면 내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노트의 형태로 정리해준다는 부분이 문제를 제대로 해결한 것 같아 인상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