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욱영
김욱영
Moderator
🌿 뉴비 파트너

회의 녹음하고 내가 만든 회의록 형식에 맞게 정리하기

지피터스 뉴스레터는 모두가 AI 발전 속도에 뒤처지지 않도록 커뮤니티의 가장 흥미로운 AI 활용법을 전합니다.

  • 회의 녹음하고 내가 만든 회의록 형식에 맞게 정리하기

  • 비개발자가 커서로 팀원을 놀라게 하는 웹앱 만들기

  • 논문을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만든 클로드

  • 언어모델로 코드를 생성할 때는 변수명과 예상 결과를 명확하게 하

지피터스 뉴스레터를 구독해서 뉴스레터를 편지함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회의 녹음하고 내가 만든 회의록 형식에 맞게 정리하기

요약: 회의를 Whipser를 통해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한 텍스트를 내가 만든 회의록 형식에 맞도록 변환한 촬스(신철승) 님의 사례입니다.

단계별 방법:

  1. 문서를 정리할 수 있는 툴인 옵시디언에 Whisper를 설치했습니다. Whisper는 음성을 텍스트로 바꾸어주는 OpenAI의 도구입니다.

  2. 옵시디언에서 회의록 양식을 만들었습니다. 옵시디언의 Smart Composer 기능(옵시디언에서 챗GPT와 같은 언어모델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해 회의록 양식을 언어모델과 함께 구체화했습니다.

  3. 옵시디언의 Smart Composer 기능에는 문서를 멘션해서 언어모델과 대화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Whisper로 변환한 텍스트와 회의록 양식을 멘션하여 회의를 회의록에 양식에 맞게 정리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흥미로운 점: 내가 만든 회의록 템플릿에 맞게 녹음된 음성이 자동으로 정리되는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나에게 필요한 형태로 회의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사례 자세히 보기 →


커뮤니티 행사

뉴스레터에 소개된 모든 사례들이 지피터스 AI 스터디에서 나왔습니다.

대기 신청하면 얼리버드 10% 할인 혜택을 드려요.

대기자 신청하기 →


비개발자가 커서로 팀원을 놀라게 하는 웹앱 만들기

커서 아이콘이 있는 화면

요약: 비개발자인 JINJIN 님이 사진을 업로드 하면 의약품의 종류를 자동으로 식별해주는 웹앱을 만들었습니다. 커서와 대화하는 것만으로 서비스를 완성했습니다.

단계별 방법:

  1. 커서에게 만들고자 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2.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커서에게 계속 질문하며 기능을 구체화해 나가기

흥미로운 점: 개발 관련 배경지식이 없이도 커서의 도움만으로 전문적인 UI를 갖춘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다는 지점이 흥미로웠습니다. 현직 PM인 JINJIN 님이 새로운 앱 아이디어를 개발자 도움 없이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회사 팀원들을 놀라게 했다고 하네요!

사례 자세히 보기 →


콘텐츠 플라이휠로 고속 성장할 팀원을 찾습니다

✅ PM: 스터디 프로그램의 데이터 분석, 개선안 기획, 실험 설계 및 진행

✅ 그로스 마케터: 스터디 판매 퍼널, 홍보 캠페인 기획 및 실행, 데이터 분석

✅ CRM 마케터: 지피터스 커뮤니티 멤버 대상 CRM 마케팅 진행

✅ AI 엔지니어: 콘텐츠 재가공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AI 에이전트 구현

✅ UX 디자이너: 게시판-채팅방-스터디 멤버의 여정 UX 개선

✅ 유튜브 PD / 크리에이터: 스터디의 발표 영상을 편집, 재가공, 유튜브 채널 운영

✅ SNS-뉴스레터 크리에이터: Al 활용 사례 분석, SNS 포스팅, 뉴스레터 자동화


논문을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만든 클로드

버튼을 가리키는 화살표가 있는 한국어 앱

요약: 권투나 격투기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은 뇌 관련 질병을 겪는 경우가 흔합니다.(전문용어로 만성 외상성 뇌병증이라고 합니다.) 권투 경력별로 뇌 관련 질병을 겪을 확률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클로드로 만든 사례입니다.

흥미로운 점: 클로드가 만든 프로그램이 아무런 근거 없이 만든 것이 아니라, 뇌 관련 질병에 관한 연구에 근거하여 만들었습니다. 특히나 정확한 논문을 근거로 클로드 스스로 가중치를 설정한 부분이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사용한 프롬프트:

권투나 격투기에서 활용했던 은퇴 선수들이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 Chronoic Traumatic Encephalopathy) 증상을 경험하는 경우를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줘.

시뮬레이션의 각 증상 분석에 대한 가중치와 시뮬레이션 근거가되는 자료도 설명해줘.

사례 자세히 보기 →


언어모델로 코드를 생성할 때는 변수명과 예상 결과를 명확하게 하기

한국인

요약: 개발 코드 생성을 챗GPT와 같은 언어모델(LLM)에게 부탁할 때, 문제에 대한 설명 없이 변수명과 예상 결과를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이 가장 성능이 좋았습니다.

세부 내용:

  • 밴더빌트 대학에서 코드 생성을 위한 4가지 프롬프트를 비교했습니다. 1) 문제 상황 2) 문제 상황 + 예시 케이스 3) 명확한 변수명 + 예시 케이스 4) 일반적인 변수명 + 예시 케이스

  • 명확한 변수명 + 예시 케이스를 입력하는 것이 가장 성능이 좋았습니다.(231/315)

흥미로운 점: 언어모델에게 문제 상황을 설명해 주는 것보다 예시 케이스를 전달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명확한 테스트 케이스를 전달해 주는 것이 언어모델과 코드 생성을 하는 데 중요합니다.

가장 효과적인 프롬프트 예시:

다음 테스트를 통과하는 파이썬 함수를 짜주세요 :

```*def test_sort_even_numbers():
assert sort_even_numbers([5, 3, 2, 8, 1, 4]) == [5, 3, 2, 4, 1, 8]
assert sort_even_numbers([0, 1, 2, 3, 4, 5]) == [0, 1, 2, 3, 4, 5]*
```

커뮤니티 소식

요약: 지피터스 AI 스터디 - ‘AI로 만드는 나만의 Zoom 배경화면’ 이벤트에서 수상한 김이언 님의 이미지입니다. ImageFx 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했습니다.

흥미로운 점: 미드저니, Ideogram, Dreamina를 이용해 이미지를 생성해 보았지만, 무민과 스누피 그리고 토토로를 제대로 그려준 툴은 ImageFx 였습니다.

프롬프트:

A whimsical forest scene in Studio Ghibli style. In a sun-dappled forest clearing, characters from different universes gather: a Moomin, Snoopy, Totoro, and a young girl in a red dress with bunny ears headband sitting together on lush green grass. Warm sunbeams filter through tall forest trees, creating a magical atmosphere with floating particles of light. A MacBook laptop sits open nearby, and some books are scattered on the grass. A circular wooden sign reading 'Gpters' is visible in the background. The color palette features rich forest greens, warm golden lighting, and soft shadows. The art style combines the gentle, rounded character designs of Ghibli with clean digital illustration techniques. The overall mood is peaceful and dreamy, with attention to small details like grass texture and atmospheric lighting effects.

2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