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시디언에 입문한 건축가, 'Obsidian 폴더구조 및 지식관리'에 대해 일래븐랩스 음성으로 사례발표

소개

안녕하세요! 페이퍼비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배상범 대표입니다.

첫째, 제가 사용하고 있는 폴더구조 공유 (+템플릿 이용)

둘째, Gpters Study 노트 관련하여 노트간 연결하는 방식을 공유

셋째, Claude 활용법 : 위 두 가지 내용을 스스로 분석 / Claude에서 음성을 생성하고, 그 과정을 자동으로 옵시디온에 기록하기.

위 내용을 공유해보고, Obsidian을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사례는 일래븐랩스의 'Professional Voice Clone'을 활용하여 발표드릴 예정입니다.

(첫번째 음성은 v3모델로 싱크로율이 낮은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

.

진행 방법

1. 현재 사용하고 있는 Obsidian 폴더구조

1.1 현재 사용하고 있는 폴더 구조 체계

100: 개인폴더

200: 회사폴더

300: Study - Gpters 및 Obsidian 등

400: Record - 각종 기록

500: Reference - 각종 참고자료

600: Temp - 임시폴더 (1단계)

700: Idea - 흥미로운 아이디어 (2단계)

800: Document - 정리된 자료 (3단계)

900: Private Project - 보관필요성이 있는 자료 (4단계)

1000~2000: 기존 빈 폴더 삭제

2100: Clippings - 웹 임시자료 (분류전)

2200: Attachments - 첨부파일

9900: Etc - 미분류 자료

.

.

.

2.Template 사용

2.1 현재 사용하고 있는 템플릿 종류 : Book, Essay, Record, Reference, Study

2.2 템플릿 세부구성 : 템플릿명 앞에 특수기호를 사용하여 빠르게 검색되도록 하고, type, tag 등 자주사용하는 부분은 미리 입력하여 필요없는 내용만 지울수 있도록 함.

한국에서 템플릿 연구의 스크린 샷

(위) 기존 사용하던 템플릿

.

(아래) 속성값을 추가하여 노트명을 줄이기 위한 템플릿

템플릿 연구 페이지의 스크린 샷

.

.

.

3. 폴더 체계 및 노트간 연결기능 사용

(310 Gpters 지피터스 노트를 사례로)

3.1 300번대 폴더인 Study 폴더의 '301 Study연결노트'에 10단위 노트를 연결시키고,

3.2 '310 Gpters' 하위에 각 기수별 연결노트를 생성하여 스터디 사례 내용을 연결시켜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 '지피터스 노트'의 연결방식 (Depth 1단계)

.

.

(아래) '지피터스 노트'의 연결방식 (Depth 2단계)

.

.

(아래) '지피터스 노트'의 연결방식 (Depth 3단계+tag)

.

.

3.3 연결노트 구성

다수의 gtters가있는 한국 앱의 스크린 샷

.

.

.

.

3.4 Graph View를 통해서 본 Gpters 노트간 연결구조

한국 사람들의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4. 현재 Obsidian 이용에 대한 자가진단

4.1 '폴더구조 / 템플릿 사용 / 노트간 연결기능' 사용에 대한 자가진단

4.2 Claude에 아래 프롬프트 입력

나의 Obsidian을 통해서 아래 내용을 분석해줘.

1. 나의 Obsidian 폴더구조 분석.
2. Template사용방식에 대한 분석 ('601 Template'폴더 내 5개파일)
3. 폴더체계 및 노트간 연결기능 사용에 대한 분석 
  ('300 Study' 폴더와 그 하위폴더만 확인해서 분석해줘)

.

4.3 아래는 클로드가 응답한 내용입니다.**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

.

4.4 클로드에 일래븐랩스에서 음성을 생성하고,

그 진행과정을 옵시디언에 생성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위) 옵시디언에 자동으로 생성된 노트.

.

.

.

결과와 배운 점

1.배운 점과 인사이트

- 옵시디언의 폴더구조와 연결기능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고 있습니다.

- 사례발표를 위해 내용을 정리하면서 많이 배우게 됩니다.

- 피드백을 적용해보면서도 조금씩 성장하는 것을 느낍니다.

.

2.시행착오

  • 무작정 진행해보고 있습니다. 모든 것이 시행착오이자, 성장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

3.앞으로의 계획

  • 스터디 진행 중 피드백을 통해 개선점을 반영하려고 합니다.

.

.

.

도움 받은 글 (옵션)

  • 스터디 중 스터디장님들의 피드백

4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