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저는 건축 실무를 하며 쌓은 생각과 노하우를 정리해두고 싶었습니다. 단순한 글 모음이 아닌, 하나의 구조화된 책으로 만들기 위해 Obsidian의 Longform 플러그인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130 blog 건축가 배상범’ 폴더에는 제가 수년간 정리해온 짧은 에세이, 실무 메모, 강연 준비 노트 등이 있는데, 이들을 단순히 모으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메시지를 관통하는 ‘건축가의 지식관리’라는 주제의 책으로 엮어보고자 했습니다.
.
.
.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주요 도구: Obsidian (옵시 디언) + Longfrom 플러그인
- 지식 관리 및 연결을 위한 메인 도구
- 그래프 뷰를 통한 지식 네트워크 시각화
- 양방향 링크를 통한 지식 간 연결
보조 도구:
-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 : 130 blog 건축가 배상범
.
.
소재 수집과 정리
130 blog 건축가 배상범
폴더 내 노트들을 확인하며 ‘책에 넣을 글’ 태그 추가.
.
지식카테고리 구조화
100 Sangbeom Bae/
├── 130 Blog 건축가 배상범/ # 블로그 콘텐츠
├── 131 Obsidian Essay/ # 에세이 형태 지식
└── Longform/ # 장문 프로젝트
└── 롱폼 프로젝트-1_건축가의 OO이야기/
└── 롱폼 프로젝트-2_건축가의 지식관리/
개략적인 목차구성
.
.
세부목차구성
.
.
.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Obsidian의 장점은 '생각의 단편'을 '구조화된 책'으로 엮을 수 있는 힘
Longform은 글의 구조와 흐름을 시각적으로 관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것 같음
(아직은 설치만 하고, 제대로 사용해보지 못함)
하루에 정해진 글쓰기 목표를 설정해두면 부담 없이 꾸준히 쓸 수 있음
앞으로의 계획
Obsidian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책 출간까지 진행해보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