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리 노션 퍼플렉시티로 뉴스레터를 자동화 (아주 간단한 시나리오)

소개

간단한 메이크 자동화와 노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뉴스레터 메시지 사례

  • 만들고 싶은 콘텐츠에 관련 키워드나 주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뉴스 콘텐츠를 검색‧요약‧전달하여 디스코드 채팅방으로 뉴스레터를 전송하는 워크플로우를 구현했습니다.

  • 설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게 정보를 수집‧가공하여 콘텐츠 제작 과정을 효율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다양한 색상이 있는 타임라인의 흑백 이미지

진행 방법

사용 도구

  1. 메이크(Make): 전체 워크플로우를 관리 및 자동화.

  2. Tally Form: 설문지가 아닌 키워드 주제 입력 페이지로 활용 (웹훅 기능 포함, 노션 설문폼으로 대체 가능).

  3. 노션(Notion): 퍼플렉시티와 클로드 3.5로 만든 뉴스 콘텐츠를 요약‧보관하는 데이터 컨테이너 역할 (구글 시트로 대체 가능).

  4. 퍼플렉시티(Perplexity): 입력한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여 답변 생성.

  5. 클로드 3.5 (Claude 3.5): 퍼플렉시티에서 수집한 정보를 요약해 뉴스레터 초안을 작성 (ChatGPT 4.0-mini로 대체 가능).

  6. 디스코드(Discord): 뉴스레터를 구독자가 모인 채팅방으로 전송 (텔레그램, 슬랙으로 대체 가능).

구체적 단계

  1. 키워드 입력:

    • Tally Form에서 키워드나 주제를 입력받고, 이를 메이크의 “Watch the Response” 모듈을 통해 처리합니다.

      주제 삽입이 표시된 페이지의 스크린샷
  2. 데이터 저장:

    • 메이크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노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합니다.

    • 노션의 “Create a Database Item” 모듈을 사용해 주제를 DB 항목의 제목으로 설정합니다.

  3. 프롬프트 관리:

    • 노션 프롬프트 라이브러리에서 관련 프롬프트를 확인한 뒤, 검색에 사용할 System/User 프롬프트를 준비합니다.

      한국사이트 스크린샷
  4. 뉴스 수집:

    • 퍼플렉시티 API를 사용해 입력한 주제와 키워드에 기반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 System/User 프롬프트를 분리해 신뢰할 수 있는 검색 결과를 얻도록 설정합니다.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보여주는 웹페이지의 스크린샷

    콘텐츠 요약:

    • 클로드 3.5를 활용해 퍼플렉시티 결과를 간단하고 읽기 쉽게 요약합니다.

    • 필요 시 카드뉴스 형식으로 SNS 배포용 콘텐츠를 추가 제작합니다.

  5. 콘텐츠 저장 및 전송:

    • 모든 요약 콘텐츠를 노션 DB에 적재합니다.

    • 디스코드 채팅방으로 전송하거나, 필요 시 버퍼(Buffer)로 배포합니다.

      한국 TV 채널의 스크린샷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

  1. 노션의 강력한 관리 기능:

    • 메이크에서 프롬프트를 직접 수정하는 것보다 노션에서 관리하는 방식이 훨씬 간편했습니다. 다만, 노션의 텍스트 속성은 글자 수 제한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 API 제약과 대안 모색:

    • 퍼플렉시티 API는 한 번에 하나의 뉴스만 가져오는 제한이 있어, 다수의 뉴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 중입니다. “다 가져와!”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아직 해결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3. 콘텐츠 재활용의 중요성:

    • 뉴스 콘텐츠를 작성하면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기 위해 기존 자료를 재활용하는 전략이 유용하다는 것을 재확인했습니다.

  4. 노션 설문 웹훅의 가능성:

    • 노션의 설문 웹훅 기능도 지원되기에, 탈리폼을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시행착오

  • 뉴스레터 콘텐츠 제작에 퍼플렉시티 프롬프트의 최적화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검색 결과를 더욱 다양화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도움 받은 글


이 사례를 바탕으로 디스코드 뉴스레터 자동화를 시도하실 분들께 유용한 힌트와 팁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11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