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로 경제 기사 가져와서 요약하여 블로그 포스팅하기

소개

RSS 피드를 활용해 뉴스 기사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AI를 통해 유사 기사를 선별하여 요약한 후 블로그 포스팅으로 재가공하는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축해보았습니다. 매일 쏟아지는 뉴스 중에서 관련성 있는 기사들만 모아 일관성 있는 포맷의 블로그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진행 방법

사용한 도구:

  • MAKE (자동화 플랫폼)

  • RSS 피드

  • Claude (기사 선별용, 블로그 포맷화)

  • ChatGPT (기사 요약용)

  • Airtable (데이터베이스)

활용 방법:

  1. MAKE의 RSS 모듈로 뉴스 사이트에서 기사를 자동 수집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2. 수집된 기사 제목을 Claude에게 전달해 유사한 주제의 기사들을 선별 요청

한국어는 페이지에 나와 있습니다
  1. 선별된 기사들을 크롤링해서 본문 수집 : 이건 수작업으로 했습니다

  2. ChatGPT로 기사 요약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3. 요약된 내용을 Claude에게 전달해 일관된 블로그 포스팅 포맷으로 재구성

  4. 블로그 포스팅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

  • RSS 피드의 한계를 명확히 파악했습니다. 대부분의 RSS는 최신 1-2일치 기사만 제공하므로 과거 데이터 수집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AI 도구별 특성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Claude는 텍스트 분석과 선별에, ChatGPT는 요약에 각각 장점이 있었습니다.

  • 비용 효율성의 중요성을 체감했습니다. 모든 기사를 ChatGPT로 처리하려다가 비용 부담을 고려해 단계별로 AI 도구를 분산 활용하는 전략을 세웠습니다.

나만의 꿀팁:

  • AI 도구를 역할별로 분담해서 사용하면 비용과 효율성을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

  • Claude로 먼저 필터링하고 ChatGPT로 상세 작업하는 2단계 접근법이 효과적이었습니다.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1. RSS 데이터 범위 제한: 과거 기사 수집이 불가능해 실시간 데이터에만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2. 비용 관리 실패: 초기에 모든 기사를 ChatGPT로 처리하려다가 예상보다 높은 비용이 발생할 것을 깨닫고 전략을 수정했습니다.

  3. 필터링 자동화 실패: Airtable에서 유사 내용을 자동으로 필터링하는 방법을 찾지 못해 수동으로 크롤링 했습니다.

  4. 콘텐츠 품질 불일치: ChatGPT 요약 결과가 너무 짧고 문체가 일관되지 않아 Claude로 재가공하는 단계를 추가했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 Airtable에서 텍스트 유사도 기반 자동 필터링 구현 방법

  • RSS 피드 외에 과거 기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대안 방법

  • MAKE에서 조건부 필터링을 통해 수동 크롤링을 줄일 수 있는 방법

1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