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시디언 폴더 체계 구축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옵시디언 폴더 체계를 구축하여 획득 정보와 생성한 정보를 MOC와 연결하여 정보관리 체계 구축의 첫 시도입니다.
스터디 내내 옵시디언을 다루면서 성능 좋기로 소문이 자자한 전자제품을 구매하여 언박싱하고 나서... 사용 매뉴얼 읽다가 막힌 기분이었습니다. 알듯말듯하면서.... 알게된 부분이 막상 연결은 잘 안 되고, 패**캠퍼스 구요한님 기존 강의 외에 신규 강의도 등록하고 내년 1월 강좌 전에는 좀 익숙져야 겠다는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Tip: 사용한 프롬프트 전문을 꼭 포함하고, 내용을 짧게 소개해 주세요.

Tip: 활용 이미지나 캡처 화면을 꼭 남겨주세요.

Tip: 코드 전문은 코드블록에 감싸서 작성해주세요. ( / 을 눌러 '코드 블록'을 선택)

  1. 폴더 체계와 MOC 연결을 고민하고 게다가 인덱스, tag의 역할 까지 고려하다 보니, draft 만들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2. 결국 3주차 스터디 끝내고 나서, 폴더 와 MOC 우선 구축한다. 인덱스는 향후 사용하면서 추가 고려. tag는 체계 고려 없이 직관적으로 사용하기로 함. properties 는 MOC, 날짜등은 기본, 그 외는 추가하기로.

  3. 폴더 구축의 기준 정보가 흐르는 순서, 정형화된 노트 여부, 제텔카스텐의 일부 차용 (literature notes, permanent notes), 현재 중요하게 여기는 정보 영역 중심으로 구성한다.

  4. MOC : 구요한님 MOC를 참조하여

    1. Interests, Topics 은 그대로 사용

    2. 미리 추가 : Data, Methologies 는 미리 추가함.

    3. 통합 : creatives, output은 output 으로 통합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실패담도 괜찮아요. 시행착오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항목 목록이 포함된 메모장의 스크린샷
컴퓨터 화면에 표시된 항목 목록의 스크린샷

도움 받은 글 (옵션)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구요한님 CMDS 자료

1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