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증권사 PB로 근무중입니다. 빠르게 이슈를 포착하고 트렌드를 읽어야 하는 직업인데 유튜브 영상은 길다보니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하는 영상만 빠르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봇을 만들어 투자판단에 도움을 받고 싶었습니다.
진행 방법
Make.com에서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텔레그램 봇을 만들었습니다. 이 봇은 유튜브 URL을 보내면 자동으로 영상의 트랜스크립트를 추출하고, GPT-4o-mini를 통해 테마주 투자 관점에서 분석 결과를 제공합니다.
사용 도구:
Make.com (노코드 자동화 플랫폼)
Telegram Bot API
YouTube 트랜스크립트 추출 모듈 (매직밀키트)
OpenAI의 GPT-4o-mini 모델
워크플로우:
텔레그램에서 봇에게 유튜브 URL 전송
유튜브 영상 타입 확인 (동영상인지 확인)
영상 트랜스크립트 추출 (한국어 텍스트)
GPT-4o-mini로 트랜스크립트 분석하여 투자 인사이트 생성
분석 결과를 텔레그램으로 회신
GPT 프롬프트 핵심 구성:
페르소나: 한국 주식시장 20년 경력의 테마주 트레이딩 전문가
입력: 유튜브 영상 URL, 제목, 트랜스크립트
출력 형식: 핵심 키워드, 핵심 요약, 관련주 분석, 과거 수익률 분석, 종합 투자 의견
프롬프트를 여러번 수정하며 만들었는데 주절주절 써내려가니 적당히 원하는 답변이 왔던 것 같습니다.
결과와 배운 점
완벽하진 않지만 적당히 참고할 수준의 답변을 해줘서 간단하게 쓸 수 있는 봇이 만들어 졌습니다.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첫사례부터 아이디어를 크게 잡았다가 시간만 잡아먹고.. 결국 단순한게 최고구나 싶었습니다.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려는 것보다 핵심 가치에 집중해 빠르게 구현하는 것이 중요함을 배웠습니다.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이 결과물도 당장 투자 판단에 사용할 수준은 아니지만 프롬프트와 툴에 따라서 결과물이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았습니다. 여러번 도전해서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서를 만들어야겠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과거나 현재 유명한 투자자의 투자 기법들을 학습시켜 각각의 페르소나를 만들어 투자에 참고하고 나아가 투자자문, 운용사 창업 아이템을 만들어보려 합니다.
워렌 버핏, 피터 린치, 짐 로저스 등 유명 투자자들의 스타일을 분석한 다양한 페르소나 구축
동일한 투자 정보에 대해 각 페르소나별 분석 결과 비교 기능 추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페르소나의 투자 전략 성과 검증 시스템 구축
궁극적으로 AI 기반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로 발전시키기
내가 성공했던 투자 마인드와 패턴을 학습시켜 출근 안하기
도움 받은 글 (옵션)
수업 여러번 돌려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