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 툴 MAKE로 '키워드' 뽑아내기 도전

지난주에는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지피터스 뉴스레터’에서 ‘AI활용사례’를 Zapier로 발췌하는 자동화를 시도했었습니다. 이렇게 걸러진 메일 내용에서 MAKE와 챗GPT로 키워드를 뽑아내는 자동화를 도전해봤습니다.


  1. 시나리오 설정 및 트리거


구글드라이브 →my drive→스프레드쉬트를 선택하고 트리거로 ‘Watch New Rows’를 지정했습니다. 스프레드쉬트에는 zapier를 통해 발췌한 ‘AI 활용 사례’가 들어있습니다.(아래)



2. 시나리오 진행 및 액션

챗GPT에게 발췌된 ‘AI 활용사례’ 중에서 5개의 키워드를 뽑아달라고 요청합니다.(아래)

모델은 챗GPT 3.5, 토큰은 최대 10개 지정했습니다.




3. 시나리오 진행 결과→스프레드쉬트 (Paste Completion)

트리거와 액션을 통해 진행된 결과를 새로운 스프레드쉬트에 다시 정리를 해봤습니다.(아래)


아쉽게도 새로 붙여넣기는 되었지만, 5개의 키워드를 뽑아내는 것은 원하는 대로 이행되지 않았습니다(다섯가지 키워드를 뽑아달라는 요청을 글자 그대로 ‘5 keywors’로 인식해버렸네요^^). 향후 프롬프트를 다듬어서 여러번 시도해 본다면,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결론 : Make를 활용하기 위해선 API연동 및 ‘Oauth’인증 절차(기초세팅)를 반복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쉽지만 11기 과정을 통해 자동화 툴 Zapier와 Make를 동시에 비교해서 공부해 본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재도전을 위하여 : 자동화 툴 Make와 API연동을 위한 셋업


1) G메일 및 구글 드라이브 api →https://console.cloud.google.com/apis/library

2)사용자인증을 위한 과정→https://console.cloud.google.com/apis/credentials?project



3)ChatGPT api를 연동하기 위해 →https://platform.openai.com/api-keys

바닥부터 섬세하게 지도해 주신 파트너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6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