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초보자의 Claude Code 활용기: Vooster × Cursor × Easynext로 개발 환경 구축

1. 소개

Claude가 코딩 능력이 뛰어나고 비용 효율적이라는 얘기를 듣고 직접 사용해보고 싶었습니다. 특히 Claude Code라는 터미널 기반 도구를 활용해 개발 워크플로우를 구성해보고자 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 Cursor 에디터의 터미널에서 Easynext를 이용해 개발 환경 구성

  • Vooster.ai로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TRD(Technical Requirements Document), 코드 가이드라인 작성

  • MCP(Model Context Protocol) 연동을 통한 태스크 관리

  • Claude Code를 활용한 실제 개발 작업

코딩 초보자 입장에서 직접 체험한 시행착오와 팁을 정리해 공유합니다.

2. 개발 환경 구축 과정

☑️ Claude Code 설정 (Windows 기준)

Claude Code는 별도 설치 없이 터미널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설정 완료 화면:

  • Claude Code 연결 성공 화면

    Claude 코드라는 단어가 강조된 창이 강조되었습니다

☑️ Easynext를 이용한 프로젝트 생성

Cursor 에디터의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들을 순서대로 실행합니다:

1단계: Easynext CLI 설치

npm install -g @easynext/cli

2단계: 새 프로젝트 생성

easynext create <project-name>

실제 생성된 프로젝트 구조:

BULDEST/
├── .claude/                    # Claude 설정 파일
├── .cursor/                    # Cursor 에디터 설정
│   └── rules                   # 코딩 규칙
├── next/                       # Next.js 관련 파일
├── .vooster/                   # Vooster.ai 연동 설정
├── claude-rules/               # Claude 작업 규칙
├── node_modules/               # 의존성 패키지
├── prisma/                     # 데이터베이스 ORM
├── public/                     # 정적 파일
├── src/                        # 소스 코드
├── supabase/                   # 백엔드 서비스
├── vooster-docs/               # 프로젝트 문서
├── components.json             # 컴포넌트 설정
├── eslint.config.mjs           # ESLint 설정
├── next.config.ts              # Next.js 설정
├── package.json                # 패키지 정보
├── tailwind.config.ts          # Tailwind CSS 설정
├── tsconfig.json               # TypeScript 설정
└── README.md                   # 프로젝트 설명

폴더 구조의 특징:

  • .claude/: Claude Code와의 연동을 위한 설정 파일들이 위치

  • .vooster/: Vooster.ai 프로젝트 관리 도구 연동 설정

  • claude-rules/: Claude 작업 시 따라야 할 코딩 규칙과 가이드라인

  • prisma/ + supabase/: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현대적인 백엔드 스택

  • TypeScript 환경: .ts 확장자 파일들로 타입 안전성 확보

이러한 구조는 Claude Code, Vooster, Cursor가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작업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Adobe Adobe Adobe Adobe에서 코드 편집기의 스크린 샷

☑️ Vooster.ai 연동: 체계적인 개발 계획 수립

Vooster.ai 활용 과정:

  1. PRD 작성: 제품 요구사항 정의

  2. TRD 작성: 기술적 요구사항 명세

  3. 코드 가이드라인: 개발 표준 및 컨벤션 설정

  4. 태스크 생성: MCP 연동을 통한 자동 태스크 관리

MCP 연동의 장점:

  • 태스크 상태가 자동으로 '진행 전 → 진행 중 → 완료'로 전환

  • Claude Code와의 원활한 작업 흐름 구성

  • 프로젝트 진행 상황 실시간 추적 가능

    정보가 많은 한국 웹 사이트 스크린 샷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 추천 도구 및 라이브러리

UI 라이브러리: HeroUI

  • React 기반의 직관적인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 다국어 지원 및 접근성 우수

  • 빠른 프로토타이핑에 적합

참고 자료: 커서맛피아님 홈페이지

  • awesome.dev 사이트에서 다양한 개발 도구 정보 확인

  • 커뮤니티를 통한 실사용 팁 공유

3. Claude Code 실제 활용 경험

👍 성공 사례

터미널 기반 개발의 효율성

  • 사전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Easynext를 통해 빠른 환경 구축 성공

  • Claude Code의 자연어 명령으로 복잡한 작업을 간단하게 처리

Vooster-MCP 연동의 효과

  • 태스크 상태 자동 관리로 프로젝트 진행 상황 명확히 파악

  • 체계적인 문서화를 통한 개발 방향성 확립

🤯 시행착오와 해결 과정

로컬 서버 구동 문제

  • 문제: npm run dev 실행 시 로컬 서버가 정상 동작하지 않음

  • 원인: 포트 충돌, 의존성 패키지 오류 등

  • 해결: Claude Code를 통한 단계별 디버깅으로 문제 원인 파악 및 해결

초보자로서의 학습 곡선

  • 터미널 명령어에 대한 이해 부족

  • 프로젝트 구조 파악의 어려움

  • Claude Code의 도움으로 점진적 학습 가능

4. 향후 학습 계획

📘 기술 스택 학습 로드맵

  1. 웹 개발 기초: HTML, CSS, JavaScript 심화 학습

  2. React 생태계: 컴포넌트 설계, 상태 관리, 라우팅

  3. 개발 환경: 폴더 구조 관리, 빌드 도구 이해

🔧 도구 활용 확대

  • GitHub 연동: 버전 관리 및 협업 워크플로우 구축

  • Obsidian-Cursor 연결: 지식 관리와 개발 환경 통합

  • CI/CD 파이프라인: 자동화된 배포 프로세스 학습

5. 참고 자료


결론: 코딩 초보자도 Claude Code와 적절한 도구 조합을 통해 체계적인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단계별 접근과 지속적인 학습인거 같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