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자동화 스터디 - 1. 팀원 생활 정보 관리 DB 실습

소개

이전 사례글 링크
https://www.gpters.org/nocode/post/community-automation-study-airtable-3MD6U6fR8zdD33m

열정 넘치시는 스터디장 닿님의 OT 와 지피터스 커뮤니티의 실제 활용 사례를 공유해주신 덕분에 기본 개념에 대해 확실하게 잡을 수 있었습니다.

함께 스터디에 참여하시는 커뮤니티 운영자분들의 자동화 구현에 대한 니즈가, 팀원들과의 정보 취합 및 관리의 니즈와 비슷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개발팀은 별도의 프로젝트 관리 툴을 통해 업무를 관리하고 있으며, 슬랙을 활용해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업무 외의 팀원 정보들 - 법인카드 지출 내역 관리, 청소 내역 관리, 회의실, 개인 일정, 상태 공유 등 - 을 관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 구현을 목표로 스터디에 참여하고자 합니다.

중요한 업무에 비하여 우선순위가 낮지만, 그렇기에 더욱더 관리가 필요한 중요한 정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진행 방법

  1. DB 정보 항목 정리
    평소 즐겨 사용하는 마인드맵을 활용해 DB 로 활용할 정보를 정리 했습니다.

    스터디장 닿 님의 DB 의 개념에 대한 가이드와, 간편한 사용법 덕분에 필요한 정보만 빠르게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DB
  2. DB 테이블 만들기
    DB 항목을 한글로 사용해도 문제 없다는 닿님의 가이드 덕분에, 훨씬 수월하게 DB테이블을 만들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데이터 항목에 대한 설정이 간편하고 쉽게 되어 있습니다.

    한국 캘린더는 컴퓨터 화면에 표시됩니다

    특히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와의 연동이 간편해서, 복잡할 수 있는 데이터의 관계와 통계에 대한 관리가 용이할듯 싶습니다.

  3. 폼 만들기

    생성된 DB 테이블의 내용을 기반으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폼을 생성했습니다.
    우선은 지출이 발생했거나, 청소를 수행 했을 때 설문 폼을 통해 등록할 수 있도록 폼을 만들었습니다.

    한국 및 중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지피터스의 스터디 나 설문을 입력할 때 익숙한 화면이 나타납니다 :)

  4. 폼 입력 테스트
    생성한 폼을 퍼블리싱해서, 테스트해보니 데이터가 잘 들어옵니다.
    많은 데이터가 쌓였을 경우를 대비해, DB 항목에 대한 설계와 폼 입력 데이터에 대한 관리가 중요할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중국어 텍스트가있는 웹 페이지의 스크린 샷


  5. 오토메이션 만들기
    업무용도로 슬랙을 사용하고 있어, 폼이 등록된 경우 트리거를 설정하여 슬랙과 연동했습니다.
    슬랙 계정만 입력하면 거의 바로 연동 되어, 채널과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한국 및 중국어가있는 웹 페이지의 스크린 샷

    슬랙과의 연동도 성공 🙂

  6. 인터페이스 만들기
    쌓인 데이터를 보기 쉽게 정리해주는 대시보드를 만들 수 있는 인터페이스도 만들었습니다.
    데이터만 정확하게 지정해준다면, airtable 의 AI 빌더를 활용하여, 바이브 코딩 과 유사하게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어떤 데이터를 관리하고 싶은지 명확하게 지정만 한다면 간단하게 대시보드도 생성이 가능합니다.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결과와 배운 점

airtable 의 기본적인 기능인, DB 설계와 테이블 생성, 폼 생성, 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 기본 생성까지 전체적으로 구현 해봤습니다.

엑셀과 같은 함수와 AI 기능까지 구현하면 실제로 활용 가능한 많은 기능이 구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 더욱 열심히 스터디에 참여하며, 닿님과 팀원님들께 많은 인사이트를 받으며 잘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
4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