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API 검색"을 클로드에 MCP로 연결하기

네이버API, MCP SERVER 연결을 했습니다.

노션API 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두번째 연결입니다.

진행 방법

네이버 개발자센터 가기--> https://developers.naver.com/main/

컴퓨터의 한국어 페이지의 스크린 샷
  • 상단에 메뉴바 중에 products를 눌러서 네이버 오픈API 항목 확인

컴퓨터의 한국어 페이지의 스크린 샷
  • 애플리케이션 등록을 신청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작성한 후, 사용 API를 선택합니다.

    • 검색관련 3가지 API만 연결 합니다--> {검색} {데이터랩(검색어트렌드)} {데이터랩(쇼핑인사이트)}

    • 환경추가는 -->{WEB 설정}

    • 도메인 주소는 클로드로 주소를 기재합니다--> { https://claude.ai }

    • 다른 API 설정은 조금더 복잡해서 나중에 하기로 함.

  • 이름 작성과 선택이 끝나면 {Client ID} 와 {Client Secret}를 발부 받습니다.

  • {Client Secret} 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조심, 보기 버튼을 눌러서 활성된 비밀번호를 복사 해 놓습니다.


  • MCP 서버를 제공하는 스미서리 가기--> https://smithery.ai/

  • 스미서리를 다양한 MCP SERVER를 제공하는 곳 중 하나입니다.

  • 로그인은 "깃허브"로 로그인 합니다 (깃허브에 계정이 없으면 이번 기회에 깃허브에 계정을 만듭니다. 만들어 놓으면 나중에 또 유용하게 쓸일이 있습니다.)

  • 네이버 서치 MCP SERVER를 찾아서 연결합니다. 아래 주소를 따라 가세요.

    https://smithery.ai/server/@isnow890/naver-search-mcp

  • Install 메뉴중에 {}JSON 선택-->Configuration 작성합니다.

  • 네이버api에서 받아온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넣고 [Connect] 를 선택합니다.

  • 3가지 운영체계 mac / window / WSL 중에 선택합니다.

  • 코드가 나옵니다. 코드를 복사하세요. 저는 윈도우용을 복사했습니다.

  • 로컬에 설치한 클로드를 활성화 합니다.

    (mcp 연결은 로컬에 셋업한 클로드 앱에서만 가능합니다. 웹과 모바일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로컬마다 별도로 셋업해야 합니다. 회사 컴퓨터, 개인 컴퓨터 각각 셋업을 따로 해야 합니다.)

  • 설정편집을 선택한 후 {claude_desktop_config.json}을 활성화 합니다.

  • 활성화하면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합니다. 메모장으로 열어서 사용하셔도 되지만, 저와 같이 초심자는 보기가 불편합니다. 그래서 코드를 편집할 수 있는 vs code를 다운받아서 설치합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

    또하나 코드 실행이 안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node.js도 다운받아서 설치합니다. https://nodejs.org/ko

블루 스크린이있는 컴퓨터의 스크린 샷
  • vs code 와 node.js 를 각각 설치합니다.

코드 편집기를 보여주는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 샷
  • {claude_desktop_config.json}을 활성화 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열립니다. 활성화 할때 프로그램을 {vs code} 을 선택해야 합니다.

  • 화면이 열리면 저번에 설치한 노션 mcp server 의 코드가 보입니다.

  • vs code가 편리한 점은 "괄호"의 시작과 끝이 같은 줄과 컬러로 표시되어 있어서 코드를 읽기 편하게 되어 있습니다.

  • 아래에서 두개의 괄호를 선택해서 지웁니다. -->맨 마지막에 남은 파란색 괄호 뒤에 {,}쉼표를 넣습니다.

  • 스미서리에서 복사한 코드를 붙여 넣기 합니다.

  •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스미서리의 코드는 독립코드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위 "mcpServers"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윗부분을 삭제한 후 붙여 넣기 해야 합니다.

    {

    "mcpServers": {

    "naver-search-mcp": {

    "command": "npx",

    "args": [

    "-y",

    "@smithery/cli@latest",

    "run",

    "@isnow890/naver-search-mcp",

    "--key",

    "-----------------------------------",

    "--profile",

    "agreed-camel-YD9x6y"

    ]

    }

    }

    }

  • {

    "mcpServers": {

    를 삭제해야 합니다.

  • 저장합니다. 그리고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서 활성화되어 있는 클로드를 강제 종료합니다.

    검은 배경이있는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 샷
  • 강제 종료해야 최종 셋업이 완료됩니다.

  • 노션과 네이버 검색 셋업을 확인합니다.

  • 연동할때 처음에는 연결허용을 해야 합니다.


  • 이렇게 클로드 mcp를 이용해서 네이버api를 연결했습니다.

  • 로컬 컴퓨터마다 새롭게 셋팅해야 됩니다. 이점은 웹과 모바일 버전에 사용이 안되는 것과 같습니다.

  • mcp server를 추가할때마다 { "mcpServers": { 를 삭제하고 마지막 괄호에 쉼표를 해야 계속 연결됩니다.

  • 네이버 검색은 활용도가 많을 수 있지만 클로드 정보를 긁어오는 한계도 있고 토큰 소비도 많아서 효용성 있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롬프트를 고민하는게 좋겠습니다.

3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