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앱 "스크린샷" 을 찍어서 이를 좀더 전문적(?) 으로 변경하는 것이 목적 이었습니다.
피드백 주신 사항 처럼 "정보 밀도와 콘텐츠를 최적화해서 인지부하를 낮출 수 있는 방법" 를 실행해 보았습니다.
Figma Make 에 아래와 같은 프롬프트를 작성하여 페이지 생성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림상의 "앱의 차별화 목적"은 아래와 같아.
1.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쉽게 디지털로 꾸겨 넣기
2. AI 가 의도를 파악하여 단순 이벤트/목표설정/목표달성을 위한 상세할일 을 도출하기
3. 캘린더 타임슬롯에 자동배치하고, 일정을 실행하면서 "쉽게~쉽게~" 피드백하기
4. 쌓인 피드백으로 나에 대해 AI 가 이해하고, 이번달동안 목표 달성의 빨간불을 AI 가 적절하게 알람/챌린지/응원 주기 ~
5. 나의 성공 사례는 커뮤니티로 공유 하고 다운 받을 수 있도록 하기 (비즈니스 모델)
정보 밀도와 콘텐츠를 최적화해서 인지부하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줘
결과 입니다.
https://native-slogan-34620095.figma.site/
Page1. Todo 중심으로 심플해지고, 총 목표가 한눈에 보여 졌습니다.
페이지 마지막에 AI 코치 조언 이 취향 저격 이었습니다.
보완점: 아래로 쭉..... 길어 지는 것이 무엇인가 아쉽? 그리고 쭉 내리면서 .... 내가 원하는 정보가 단계적으로 구체화 되고 있는지.. 확 와닿지 않는 느낌?
Page2. AI 할일 이라고 하는데...
보완점: "AI가 당신의 목표와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할일을 제안" 이라는데 해당 내용만 보고 어떻게? 를 모르겠음. 이는 기획 구체화가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Page3. 스마트 캘린더
만족한점: " 빠른 아이디어 캡처 " 가 마음에 듬.
보완점1: 스마트 하지 않다?
보완점2: 현황이 위로 와야 하나? 모든 페이지가 아래로 쭉.... 이라 단조롭다?
Page4. AI목표 관리
느낌: 해당 페이지가 가장 마음에 듬.
보완점: 사용자를 너무 힘들게 하는 것 아닌가? 앱의 근본적인 방향성에 대해 고민이 필요할 듯?
보완점2: 챗봇이 너무 뜬금 없다? 챗봇의 목적이 뚜렷해야 할 듯.. 해당 페이지에 대해 상세 질문을 할 수 있어야 하나? 고민이 필요
Page5. 커뮤니티 허브
보완점1: 다른 사람의 성공 사례를 받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
보완점2: 사용자들이 놀이처럼 느낄 수 있도록 추가 기획이 필요할 듯?
보완점3: 따라했을 때, 어떤 benefit 이 있을까? "AI 토큰 (AI 사용가능횟수)" 을 제공해 주나? 챌린지 버튼을 달아주나?
위에 정리한 보완 사항들을 프롬프트로 구체화 하는 과정을 진행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