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가 처음으로 해보는 노코드 자동화툴 사용기

안녕하세요. 노코드방 스터디에 참여하고 있는 김명규입니다.

개인적으로 직업이 개발자이다 보니까 너무 코드와 알고리즘 아닌 다른 시야로 AI를 경험해 보고 싶어서 노코드로 스터디를 참여하게 되었는데요. 생각보다 노코드 관련 서비스 프로그램들을 조사하다 보니까 정말 개발자가 아닌 일반인들도 쉽게 본인들의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우선 저는 처음으로 계획했던 부분은 주식을 하는 사람들이 아침마다 들어오는 블로그나 사이트 앱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세부 컨텐츠를 고민하다가 미국 증시에 영향력을 가진 유명 인사들의 발언이 유튜브에 올라오면 그 발언들을 요약 번역해서 올려주는 블로그를 계획했었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chatGPT에서 WebPilot플러그인을 이용해서 유명 인사들의 유튜브 영상을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링크를 눌렀을 때는 실제 유튜브 주소가 아닌 유튜브 메인으로 가는 링크만 제공되었습니다.

상세한 URL을 알고 싶었지만 chatGPT는 유튜브 링크에 대해서는 제대로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럼 유명 인사들의 발언이 아닌 미국 증시가 마감한 이후에 미국 주요 뉴스들을 정리해놓은 유튜브 채널이 있을까 질문을 해보았습니다.

아래 예제에서 나온 문구 말고도 상당히 다양한 문구를 적었는데도 원하는 콘텐츠를 받는 것을 실패해서 구글 바드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구글 바드가 확실히 같은 회사라서 그런지 유튜브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알려주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머니투데이의 미국 증시 마감 브리핑이라는 제목으로 마감 브리핑을 하고 있다는 바드의 내용에 따라 검색해보니 [美마감 브리핑]이라는 고정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GPTers에서 소개글로 보았던 유튜브 내용 요약 서비스를 하는 traw.ai에 가서 바로 요약을 해보았습니다.

이제 올릴 콘텐츠가 확정되었으니 이걸 어디에 어떻게 올릴까 고민하면서 GPTers를 뒤져보다가 AI와 노코드 연결하기에서 seakioh님 노코드 + GPT를 활용한 포스팅 자동화 2에서 자동화 툴 비교에서 자동화 툴 서비스인 자피어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올려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자피어를 이용해 보면서 온갖 서비스가 API가 연결이 되어있었고 상상하는 기능은 거의 대부분 제공해 주는 거 같았습니다. 물론 원하는 서비스를 찾기 위해서는 구글링을 조금 많이 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저도 처음에 자피어에서 유튜브 API가 있는지 모르고 zapier youtube 이런식으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그래서 유튜브 API를 연결하고 계정을 연동 한 다음에 이벤트로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찾은 머니투데이 채널은 다른 영상도 많이 올라오고 플레이리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영상이어서 New Video by Search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그리고 검색할 타이틀을 적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제가 지정한 제목인 mtn 머니투데이방송 [美마감 브리핑] 굿모닝 6:00 글로벌로 유튜브에 검색했을 때 새 영상이 올라오면 자동으로 이 시스템이 작동하게 됩니다.

작동된 시스템은 새로운 유튜브 영상의 URL을 가지고 오게 되고 가져온 URL은 아까 제가 실험했던 Traw에 제공되게 됩니다.

또한 Traw에서 요약한 자료는 서비스를 위해서 보관돼야 해서 대중적으로 많이 이야기가 나오던 Airtable을 이용해서 요약 자료를 보관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제 보관된 자료를 블로그에 올릴지 웹사이트에 올릴지 고민하다가 첫 주에 오세기 파트너님과 다른 분들이 이야기하셨던 버블, 아델로 등이 생각나서 구글에 노코드 빌더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자피어에서 노코드 빌더 베스트7을 소개한다고 해서 들어가 봤는데

베타라고 적혀있지만 자피어에서도 빌더 서비스를 한다고 적혀있어서 이번에 자동화툴로 잘 사용한 자피어를 통해서 서비스의 껍데기를 만들어보려고 했습니다.

자피어의 인터페이스에 들어가 보니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해주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원하는 템플릿이 없어서 Blank Interface로 아무것도 없는 기본 화면으로 시작했습니다.


10가지 정도의 컴포넌트를 제공해줬지만 그중에 2개는 유료 서비스였습니다.

그중에서 Airtable과 연동이 가능한 컴포넌트가 무엇인지 찾아봤지만 아쉽게도 Table과 Kanban 두 가지 밖에 없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제 서비스에서 쓸만한 컴포넌트는 Table 밖에 없었습니다.

테이블을 이용해서 Airtable에 연동했습니다. (이미지에서는 Airtable이 아닌 zapier Tables이 연동되어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히 베타서비스여서 그런지 테이블 표의 상세 디자인을 바꿀 수 있는 기능은 없었습니다.

처음에는 AirTable을 이용했지만 자피어 인터페이스 기능을 쓰다 보니 자피어에서 테이블 서비스도 베타서비스를 하는 것을 알게 되어 같은 서비스 안에서 관리하는 것이 편할 것 같아서 Zapier Tables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두 서비스를 오래 이용해 본 게 아니라서 모르겠지만 사용 방법은 AirTable이랑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자피어에서는 AirTable의 내용을 자피어 Tables로 가져오는 API 연동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서비스 페이지 접속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new-interface-95fe49.zapier.app/


서비스 오픈할 만큼의 퀄리티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노코드 서비스를 만들면서 이런 건 그냥 코딩해서 쓰면 편할 텐데 하고 생각이 정말 많이 들었던 거 같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이렇게 쉽게 연동해서 이 정도 퀄리티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고?라는 생각도 정말 많이 들게 한 첫 번째 노코드 프로젝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6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