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를 이용한 기능 구현 1주 – 유튜브 요약 페이지 만들기 - 작성중

소개

AI와 자동화 도구를 활용한 백엔드 기능을 구현 해보고 싶습니다. 글서 먼저 따라하기로 유튜브 영상을 정하였고, 특히 유튜브 영상은 길고 정보도 많아서, 요약만 잘하면 지식 아카이빙에 딱이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그래서 Make를 이용해 "유튜브 링크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요약 페이지가 생성되는" 기능을 스터디장님의 사례를 보면서 따라하면서 구현해보게 되었습니다. 💪

진행 방법

방법

🔧 사용한 도구

  • Make (구 Integromat)

  • ChatGPT (API 활용)

  • Notion

  • YouTube Data API

🧩 자동화 워크플로우 구성

  1. Trigger: 유튜브 링크를 특정 Notion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면 Make 시나리오가 시작돼요.

  2. 유튜브 API 호출: 영상의 제목, 설명, 트랜스크립트(가능한 경우)를 가져옵니다.

  3. ChatGPT에 요약 요청

  4. 결과 저장: 요약된 결과를 Notion 페이지로 정리해서 보여줍니다.

📸 캡처 (예시) ** 작성중

  • Make 시나리오 구성 화면

  • Notion에 자동 생성된 요약 페이지

결과와 배운 점

💡 시행착오와 깨달음

  • Make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시간이 좀 걸렸지만, 일단 연결되기 시작하니 재미있게 느껴졌어요.

  • 특히 스터디장님이 공유해주신 벤치마크 자료 덕분에 따라하기가 훨씬 수월했어요. 혼자였으면 포기했을 수도... 😅

  • Prompt의 길이, 트랜스크립트 길이 제한, 요약 내용의 품질 등 조절할 부분이 많다는 걸 느꼈습니다.

🚀 다음 계획

  • 요약뿐만 아니라 "카테고리 분류", "핵심 키워드 추출"도 같이 자동화해보고 싶어요.

  • 다른 콘텐츠 (예: 블로그 글, 뉴스 기사)에도 동일한 자동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도움 받은 글 (옵션)

  • 스터디 리더님의 워크플로우 예제 자료

  • Make 커뮤니티 포럼의 유튜브 연동 관련 질문답변

마무리 한 마디

백엔드 기능 구현을 Make로 구현하면 쉽게 초기버전의 앱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는 희망이 생겼어요. 자동화 도구는 개발자뿐 아니라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강력한 무기라는 걸 느낀 시간이었습니다. 🙌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