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쓰레드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라인봇(Line bot) 서비스 - (Make.com)활용

제목: 인스타그램, 쓰레드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라인봇(Line bot) 서비스 (Make.com)활용

지난주 동안 저는 메이크(Make.com)를 활용하여 인스타그램을 자동화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작업을 진행하면서 몇 가지 한계에 부딪혔습니다.

[한계점 및 문제점]

  1. 인스타그램 자동화의 시작점이 에어테이블(Airtable)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이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게 만들어, 대중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2. 카드뉴스 자동화에서 자동 줄바꿈이 제대로 되지 않아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카드뉴스의 내용이나 단어 길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Placid에서 영어는 단어별로 줄바꿈이 가능하지만, 한국어의 특성상 단어 중간에 줄이 바뀌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3. 원소스 멀티채널 전략이 아직 부족합니다. 현재 인스타그램 카드뉴스만 자동화하고 있으며, 다른 채널에서도 동일한 작업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작업을 재구성했습니다.

[에어테이블 데이터베이스 구성]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에어테이블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입니다. 다음은 주요 기능들입니다:

  • 컨텐츠 내용 관리: 직접 작성한 컨텐츠나 라인봇에서 받은 내용을 관리합니다. 라인으로 받은 컨텐츠는 검토 후 '라인' 체크를 합니다.

  • 캡션 작성: 적절한 캡션을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기능을 포함합니다.

  • 카드뉴스 컨텐츠 구성: 캡션과 전체 글 내용을 기반으로 5장으로 나뉜 카드뉴스 컨텐츠를 자동 생성합니다.

여러 장의 사진이 표시된 웹페이지의 스크린샷
  • 카드 뉴스 사진 만들기

  • 이미지 프롬프트

  • [사진생성] 버튼 : 카드 뉴스의 사진을 5장 생성

  • [카드생성] 버튼 : 생성된 사진과 각 부분별 문구를 결합하여 카드뉴스 5장 생성

  • [인스타그램 발행] : 인스타그램과 쓰레드를 발행

한국 검색 엔진의 스크린샷

  • 문제점 : 한글 단어 짤리는 현성 : 에어테이블에서 함수를 사용하여 줄 바꿈

[Make.com 시나리오 4단계 - 4버튼으로 구성]

다양한 아이콘이 있는 한국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 [버턴1, 컨텐츠 생성] : 인스타그램 캡션을 생성하고 카드 뉴스를 글을 생성하여 에어테이블에 저장한다.

[라인봇 추가]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라인봇을 추가하여, 에어테이블에 직접 컨텐츠를 입력하거나, 라인을 통해 입력된 컨텐츠를 인스타그램과 쓰레드에 자동으로 게시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라인 디벨로퍼 계정을 활용해 비즈니스 계정을 생성하고, 라인봇을 제작했습니다.

  • 라인 디벨러퍼 계정

일본어가 포함된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웹 페이지에 qr 코드가 표시됩니다

  • 라인 디벨로퍼 계정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계정 생성, 라인봇을 만들수 있으며, api로 make와 바로 연결이 가

  • 일정 트래픽 까지 무료

[라인(Line) 소개]

LINE은 일본, 대만, 태국 등 여러 나라에서 인기가 높은 메신저 앱입니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LINE은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9,900만 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약 8,600만 명이 LINE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일본 인구의 약 68%에 해당합니다. 대만에서는 약 2,100만 명이 LINE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대만 인구 2,300만 명에 거의 해당합니다. 태국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약 5,000만 명의 사용자가 LINE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LINE은 인도네시아와 같은 다른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도 강력한 사용자 기반을 가지고 있어, 이 지역에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 기반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팁쓰리 라인 챗봇]

휴대전화의 문자 메시지 스크린샷

=> 라인에 계정 추가 , 궁금한 컨텐츠 물어보면, 인스타그램, 쓰레드 발행하고, 안내를 해드림

[2번버튼 카드뉴스 배경사진 만들기]

다양한 유형의 아이콘을 보여주는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Leonardo.Ai 설정

현재로서는 Leonardo.Ai 가 가장 편리한거 같음. Dall-E는 퀄리티에서 한정적임,

레오나르도 API의 스크린샷

[버튼3, Placid로 카드뉴스 만들기]

Azure Portal의 스크린샷

⇒ 각 장별로 제작하여, 5장의 카드뉴스 작성

다양한 유형의 아이콘을 보여주는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 인스타그램용 캡션으로 스레드 문구로 변경하는 ChatGPT 모둘활용

ubuntu 서버 설정을 보여주는 ubuntu 대시보드 스크린샷

=> 쓰레드 발행을 위해, Buffer 활용

[결과물]

한국 소셜 미디어 앱의 스크린샷

⇒ 카드 뉴스에 줄바꿈이 완벽하게 되는 카드 뉴스로 변경완료

한국 트위터 계정 스크린샷

쓰레도로 추가하였습니다.

[인사이트 및 결론]

  • 자동화의 편리성: 라인, 카카오톡, 에어테이블 설문 등의 편리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 퀄리티 유지: 수작업에 가까운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해 사진 제작 프롬프트의 고도화가 필요합니다. 미드저니, Flux 등을 활용하여 이를 강화했습니다.

  • 원소스 멀티채널 전략: 현재 2개의 채널만 자동화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채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원소스 멀티채널 전략이 필요합니다.

  • 영상 콘텐츠의 필요성: 인스타그램에서는 카드뉴스보다 릴스, 유튜브, 틱톡의 쇼츠 영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작업을 통해 자동화의 편리성과 퀄리티를 유지하면서도 멀티채널 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방향성을 유지하며 작업을 더욱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시간에 쫒겨, 글 내용이 부실한점 느그럽게 이해 부탁드립니다.

또한, 샘호트만님의 카리스마와 셔니 님의 친절한 설명: 일요일 2시부터 하는 모각메 (모여 각자 메이크)의 시간과, 함께 열정적으로 멤버분들의 학습하는 분위기 때문에 어떨결에 여기 까지 온 거 같습니다. => 이제 메이크 약간 알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Make 2408

9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