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이어 아이디어 구체화해보기

소개

지난번 발로뛰엇던 리서치 (일명 발서치)를 구체화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킴과 동시에 외국의 비슷한 사례를 찾고, 어떤 전략을 했는지, 어떤 시행착오를 거쳤는지, 해결책은 없었는지 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내 시장의 pain point 그리고 아이디어가 실현화 되려면 현지이 어떻게 맞춰야 하는지도 알아보았다

진행 방법

챗지피티와 클로드, 제미나이의 리서치를 30개정도 모았다. 국내 피트니스 시장, 사업의 기술적부분, 법령, 외국의 사례와 그에따른 국내전략 등등 30개정도 리서치를 노트북 lm에 넣어서 여러가지 뮬어보고 잰스파크로 ppt를 만들기전에 정말 말그대로 싹싹 긁어보았다.

개인의 경험을 녹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한마디로 정의하먼 ai가 접목된 1인 혹은 소규모 헬스장이다.

주요 타겟 세그먼트와 그들의 니즈는

일명 헬린이라고 불리는 운동초보, 바쁜 직장인, pt를 이용하지않는 편하게 운동하고싶은 고객 이다

운동초보자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그리고 잘못된 기구사용으로 인한 타인의 시선, 게다가 헬스장을 가는게 막연히 부담스러운 느낌까지 있는데 이는 공간에 대한 불편함이 있음

바쁜직장인들은 말그대로 시간부족의 강력한 장벽, 짧고 효율적이면서 간단한 운동을 원함

일반퍼블릭고객 pt를 받지않지만 합리적인 가격이라면 니즈가있음





헬스장 차릴때 투입되는 창업비가 많이 들어가고, 더욱이 최근 트렌드가 점점 비싼기구 더 좋은 기구로 몰아가는 경향이있지만 정작 소수의 헬스전문인들의 트렌드이머 일반적인 생활체육인 들에게는 오히려 어렵고 복잡하며 피티를 배우지않으면 기구를사용하기 어렵다는 딜레마에 놓임

레스토랑이 아닌 저렴하면서 간편한 편의점같은 헬스장으로 니즈를 충족





피트니스의 블루오션

기존 헬스장 산업은 대형센터가 잇으면 근처에 오픈을 하는게 큰 리스크.

게다가 헬스장이 밀집된 곳은 후발진입자의 초기 프로모션으로 목적으로 가격경쟁력을 하지않으면 살아남기힘듬 또한 비집고 들어가기도 어려움. 전국의 헬스장 1만개 시대에 어에나 잇는 헬스장산업이 레드오션으로 생각될 수 잇지만, 조금만 다르게 생각하먼 판만 뒤집고 타겟만 명확하다면 어디든지 비집고 들어갈수있다는 결론 나옴

게다가 초기투자비용의 부담을 줄인다면 리스크또한 낮아지고, 초기 가능성만 입증된다면 빠른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








기술적 접근은 무인화+ai접목 개인데이터화

기존 헬스장에는 인원이 많아 한사람 한사람을 추적해서 비전기술을 사용하기 어렵지만 소규모 힐스장은 1-3명뿐이기에 조금더 수월하게 데이터 수집가능 - ex 운동끝나고 집에 가는길이 오늘 운동의 부족한 부분 피드백-스쿼트시 무릎을 나가지않기, 어깨운동시 팔꿈치릉 좀더 앞으로 빼기 등 - 이어 보완할수잇는 운동 추천-집에서 할수잇고 기록해서 내 데이터화 할수잇게 함

ex 2 운동을 안올시 간단한 격려 메세지나 초기 설정한 목표이 도달하기위한 계획을 세워줌 ,

예시화 같은 내용들과 인바디 정보들을 종합하여 대시보드화

추가로 qr출입통제와 간단한 어플로 운동추천 (기존 운동어플 시장을 오프라인 활용의 편의성으로 앱사용자를 끌어올수잇음) , 무인화의 단점을 스트레칭존에 tv로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소도구 사용법을 매주 다르게 컨츠츠화해서 재생

헬스장 가격경쟁의 치열함으로 부가수익의 현금흐름이 필요한데 이부분은 운동끝나고 나오는 길에 간단한 제로관련 자판기나, 학상상권이나 외국인 상권, 빌라 상권에서 코인세탁기를 설치해 운동시간에 큰 빨래들을 할수있기 함, 또는 셀프 제모기 설치

결과와 배운 점

아직은 많이 부족히겟지만, 도전 하면서 계속 구체화 시켜나갈예정,

포기하면 변명을 찾게되고, 도전하면 방법을 찾게된다

굽힘 팔이있는 노란색 이모티콘

도움 받은 글 (옵션)

사업계획서 스터디 화이팅!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