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자동화 만들다 늙어 죽을 듯한 Make 도전기(Feat. Flux, Notion, Buffer 등)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SNS는 해야 되겠는데 항상 지속성이 떨어져서 자동화를 만들어보자 싶어서 시작했는데,
매일 매일 에러와의 사투가 시작되었어요;;

이럴꺼면 수동 업로드하자! Make가 결투 신청을 해오는 느낌이었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Tip: 사용한 프롬프트 전문을 꼭 포함하고, 내용을 짧게 소개해 주세요.

Tip: 활용 이미지나 캡처 화면을 꼭 남겨주세요.

Tip: 코드 전문은 코드블록에 감싸서 작성해주세요. ( / 을 눌러 '코드 블록'을 선택)

https://youtu.be/TeTSoKc28uk?si=97XeWWd4XeZ6sqiV

https://youtu.be/6t7m8f-WYWY?si=HuE0rThwg9TRkSyF

https://youtu.be/LWL8j6eFaa4?si=jioO-fGm-HsXrBR_

아마도 이 3개의 영상을 조합해서 나온 시나리오가

서로 다른 색상이 있는 일련의 원

이렇게 나왔습니다!

원래 기획대로면 지금 맨 마지막 모듈인 노션 DB에서 post 버튼을 누르면
buffer로 업로드 되게 하는 게 시나리오의 끝이었는데
그냥 여기서 시마이하기로 합니다.


괜히 노션으로 DB를 잡는 바람에 원하는 대로 핸들링이 안되는데
더 하기엔 시간이 부족하네요 ㅠㅠ

먼저 시나리오 계획은

종이에 손으로 쓴 메모

이렇게 창대하게 시작했지만, 아직 기술이 부족하다는 걸 깨달았어요 ㅎㅎ
위에 올린 유튜브 3개를 까보면서 열심히 따라하면서 약간씩 변형을 해봅니다.

① 제가 구독하고 있는 Medium에 여러 분야의 글을 가지고 와서

② 인스타에 맞는 제목, 캡션, 해시태그를 만들고

③ 이미지 프롬프트를 만들어서 Flux로 이미지를 만든 뒤 노션에 적재

④ 쓰레드에 맞는 글을 써서 노션에 적재

⑤ 적재한 글 중 맘에 드는 글만 post 버튼을 눌러서 ready 상태로 만든 다음

⑥ Buffer로 한방에 다 업로드해준다

이렇게 수정을 했는데요.

여러 가지 고난과 맞닥 들이게 되었어요 ㅠㅠ

1번째, http 모듈로 불러온 Flux가 자꾸만 에러가 났고,

2번째, 라우터를 써서 인스타그램과 쓰레드를 따로 관리하고 싶었는데
따로 관리하지만 같은 row에 넣고 싶었거든요.

근데 Router를 돌고 나면 새로운 시나리오처럼 인식한다는 슬픈 사실을 오늘에야 알게 되서..
이럴 꺼면 Airtable로 하는 건데..
새로운 모듈을 붙여본다고 하다가 이 난리통을 겪게 되었어요;;

한 5년은 늙은 거 같아요 ㅎㅎ
클로드, 퍼플렉시티랑 진짜 대화 많이 했는데..
결국은 노션에 적재하고 끝내버렸습니다!

여기 시나리오에서 핵심은 Flux를 http 모듈로 붙일 때 형식이었는데요.
프롬프트는 정상적인 게 Flux로 만든 GPTs는 정상적으로 이미지를 만들어줬거든요.

애드워즈 대시보드의 스크린샷

Flux 1.1-pro는 형식을 엄청나게 많이 타더라고요.

위에 이미지 프롬프트에 넣은 프롬프트 양식이에요!

Return only a valid JSON object in this exact format: {"prompt": "YOUR_PROMPT_HERE", "image_size": {"width": 1080, "height": 1080}}. Based on this Instagram content: {{3.result.instagram_content}}, create an image prompt that includes a beautiful Korean person as the central element, makes the scene visually striking and relevant to the content, uses vivid language, and remains concise yet detailed.

JSON 형태로 프롬프트를 뱉고, parse JSON으로 http에 넣어줘야 에러가 안났고요.

http에 들어간 Request content에 들어갈 때도
다른 양식 없이 캡쳐된 부분처럼 넣어야 에러가 안 났어요!

그리고 같은 row에 Thread 글 만든 걸 넣으려면
시나리오를 계속 돌려야 되니까 Flux에서 돈이 타고 있었습니다 ㅎㅎ

오늘 1달러 결제했다고 문자 오더라고요 ㅎㅎ
이거 시작하기 전에 0.13달러였는데;;

전에 했을 때는 airtable에서는 set/get variable이 정상 작동했는데
노션은 그게 작동을 안해서(제가 잘못한 걸 수도 있어요 ^^;;)
결국은 시나리오를 펼쳐서 값을 가져 오는 걸로 바꿨어요

이거 라우터로 해보겠다고 거의 2시간은 매달린 거 같은데.. 허무하던;;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실패담도 괜찮아요. 시행착오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역시 이미지 프롬프트 깎는 건 쉽지 않은 영역이고,
http로 붙일 수 있는 건 다양하다고는 하지만
서비스 별로 다 1:1로 붙어야 되는 거라서 공부할게 참 많다 싶었습니다.

유튜브를 따라할 때 약간만 설정값을 바꿔도 바로 헬에 진입한다는 교훈을 얻고
그래도 Make의 능력치가 +1 상승하였습니다 😄

결국 목표했던 제안서 자동화는 3주차 때 집안일 케어의 여파로 하질 못했네요;;
다음 번엔 조금 더 속도를 낼 수 있기를 바라며!!

3
5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