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SNS를 감시하는 나만의 시그널 봇 만들기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어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THIS IS A GREAT TIME TO BUY!!! DJT" 글 이후로 미국 시장이 급등하는 것을 보고

아 이제 이 형이 글로벌 리딩방 시작하는구나 싶어서

주요 인물들의 SNS 발언을 추적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하지만 매번 직접 새로고침하며 확인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 자동화 방식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1. 준비

  • 사용한 도구:

    • Make: 전체 자동화 시나리오 구성

    • RSS 모듈: 트럼프 TruthSocial RSS 피드 감지

    • OpenAI GPT-4o: 한국어 번역 및 투자자 시각 해석

    • Telegram Bot: 결과 메시지를 알림 형태로 자동 전송

  • 환경 설정:

    • RSS 피드 주소: https://trumpstruth.org/feed

    • GPT 모델: gpt-4o-2024-11-20

    • 텔레그램 봇: 개인 채널로 메시지 전송

  • 소요 시간 및 이슈:

    • 사례글 제출 기한 임박과 단순하게라도 빨리 만들어서 써먹어야겠다는 생각에 업무중 최대한 단순화하여 만들었습니다.

2. 실행 (프롬프트, 코드 등 상세 과정)

  • 프롬프트 전문:

다음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Truth Social에 올린 게시글입니다.  

아래 지침에 따라 번역 및 투자자 해석을 제공해주세요.

📌 [작업 지시]

🔸 [🇺🇸 원문]  

원문 텍스트를 그대로 표기해주세요.

🔸 [🇰🇷 번역]  

트럼프가 직접 한국어로 쓴 것처럼 자연스럽고 명확하게 번역해주세요.  

기계 번역이 아닌, 트럼프 특유의 화법과 강조를 살려주세요.

🔸 [🧠 AI 해설]  

해당 발언이 정치, 경제, 글로벌 시장, 원자재, 특정 산업,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측면에서  

투자자에게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3줄로 요약해 분석해주세요.  

→ 조지 소로스와 드러켄밀러의 매크로적 시각을 기준으로 해석해주세요  

→ 단순한 메시지(ex: thank you)도 현재 시점의 경제 분위기에서 어떤 의미인지 분석해주세요

🔸 [🌐 URL]  

{{1.url}}

🔸 [ 🕒 글 작성시각]  

🇺🇸 미국 시간:  {{1.rssFields.pubdate}}  

🇰🇷 한국 시간: {{now}}

📌 [응답 포맷] — 아래 형식 그대로, 이모지 포함해서 작성해주세요:

[🇺🇸 원문]  

{원문 텍스트 그대로}

[🇰🇷 번역]  

{트럼프의 글 번역본}

[🧠 AI 해설]  

{투자자 시각에서의 해석 요약 (3줄)}

[🌐 URL]  

{{1.url}}

[ 🕒 글 작성시각]  

  • 진행 순서 요약:

    1. RSS 모듈이 새 글을 감지합니다.

    2. 해당 내용을 GPT-4o에 프롬프트와 함께 요청합니다.

    3. 응답 결과를 텔레그램 채널에 전송합니다.

  • 이미지 / 캡처:

    • 다른 유형의 전보를 보여주는 일련의 아이콘

      초 단 순... 입니다

      한국에서 트럼프의 트윗 스크린 샷

    아.... 살껄...😢

  • 정량적 결과:

    • 감지부터 전송까지 약 1~2분 이내로 처리됩니다.

    • 현재는 트럼프 한정 발언에 대해 실시간 반응이 가능해졌습니다.

  • 정성적 결과:

    • 수동으로 체크할 필요가 없어져 스트레스가 줄었고,

    • 중요한 발언을 놓치지 않고 대응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아졌습니다.

배운 점

초보인데다 현생핑계대면서 꾸준히 안하니 하루라도 만져보지 않으면 금방 까먹어버렸더랍니다. 꾸준하게 하는 습관이 중요할 것 같아요.

  • 시행착오 & 극복 방법:

    • 원래 만들던건 아이디어 벽과 능력부족으로 전량 폐기하고 당장 써먹을수있는 단순한 것 부터 시행해보자 했습니다.

  • 핵심 교훈 및 꿀팁:

    • 프롬프트에 "트럼프의 말투대로 한국말" 지정하니, 품질이 향상되었습니다.

    • 초기에는 AI 해석이 너무 일반적이었는데, "조지 소로스와 드러켄밀러의 매크로적 시각"이라는 구체적인 관점을 제시하니 더 실용적인 분석이 나왔습니다

  • 어려웠던 점 / 도움이 필요한 부분:

    • 국내 정치인이나 다른 인물들의 발언도 자동화하려 했지만, RSS나 피드 형식이 없어 접근이 어려웠습니다.

앞으로의 계획

  • 확장 아이디어:

    • 다양한 SNS 플랫폼 통합: 트위터(X)와 같은 다른 플랫폼도 모니터링하고 싶습니다

  • 다음 시도:

    • 만들다 실패한 국내 정치인 발언들을 수집하여, 6월까지 정치테마와 관세테마를 즐길 예정입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 GPTers 커뮤니티의 강의를 반복 수강하며 전체적인 개념을 다질 수 있었습니다.

6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