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마이크로소프트)의 Word파일을 markdown파일형식으로 변경하여 저장소를 만들어서 Obsidian에서 활용하여 순삭으로 논문작성하기

소개

지금은 AI툴 사용이 대세가 되어 가고 있지만, 이전에 저희는 MS사의 word파일 또는 아래 한글 hwp파일을 활용하여 대부분의 정보, 지식, 그 외 text 정보(=즉 data)을 기록해서 보관하고 있었고, 지금도 여전히 이용은 하고 있어요.

저희팀은 기존에 word 파일에 기록한 많은 정보들을 md파일 형식으로 변경하는 우리만의 Agent을 만들고, Obsidian을 활용해서 md로 변경된 축적된 지식과 정보들로 순식간에?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workflow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저희팀의 ACE님께서 논문을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번 사례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MD 파일 형식은 "Markdown" 파일 형식으로, 주로 텍스트 기반의 간단한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MD는 "Markdown"의 약자로, 주로 개발자, 블로거, 기술 문서 작성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MD 파일은 텍스트 편집기에서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HTML과 비슷한 방식으로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지만 훨씬 간단한 문법을 사용합니다. [ChapGPT4.o]

Obsidian은 특히 생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긴밀하게 연결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도구로, 개인적인 지식 관리, 프로젝트 관리, 그리고 창의적 작업에 강력한 도구입니다. [ChapGPT4.o]

진행 방법

Tip: MarkItDown MCP을 클로드에 설치하려고 했습니다. (타이칸님이 절대적인 도움을 가능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Tip: 클로드에 워드파일을 제공하고 md파일로 변경해 달라고 요청했어요. (성공 못 했어요)

Tip: 변경된 md파일을 Obsidian에 제공해서 논문을 하나 만들어 보았어요. (실행하지 못했어요 😞 )

결과와 배운 점

  1. MarkItDown mcp 설치가 쉽지 않았어요. 스터디장님의 도움을 받기 전에 일주일 이상 설치하는데 헤맸어요.

    스터디장님들과 설치를 여러번 해 보았지만, 클로드에서 tool이 생기지 않더라구요.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2. Obsidian mcp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경로에 한글이 있는 경우, 에러가 나서 C드라이브에 바로 볼트를 만들어서 설치 가능했어요.

옵션 목록을 보여주는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 샷
  1. 클로드에서 워드 파일을 바로 올려서, md 파일로 변경해 달라고 했더니, file system MCP이용해서 md파일로 변경 해 (파이썬 라이브러리 중에서 워드 파일을 텍스트 파일로 변경하는 툴을 자체적으로 찾아서 변경해 준 것 같다는 타이칸님의 말씀 !)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1. 클로드에서 mcp을 만들 때, 로컬의 경로를 지정할 때, 에러가 발생해서 최소한의 코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느꼈어요.

  2. 결론 중 하나는 MarkItDown MCP는 아직 사용하기에는 완전하지 않다. 입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운 좋게도? 상대적으로 저희팀은 AI에 익숙하지 않은 맴버들로 구성이 되었는데, 열정만큼은 용광로 수준이라서, 무대뽀로 스터디장님들의 도움을 요청했어요.

개발자 F님, 댕댕이멍멍님, 타이칸님, 넘 감사해요

노트북을 들고 안경을 가진 아시아 소년
머리에 왕관이있는 남자 만화
머리에 왕관이있는 테디 곰

@ 최원혁 @원샷 @조앤킴

2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