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8n 셀프호스팅 설치 뚝딱 해보기 (맥북, 도커)

소개

n8n 서버에 자꾸 크레덴셜을 넣어야하니 왠지 신경쓰이고
가만 보니 앞으로 많이 쓸 것 같아 언젠가는 하게될꺼 같은 셀프호스팅을 그냥 해보기로함.
원칙: 맥북(애플실리콘) 환경에서 최대한 간단히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 해보자.

진행 방법:

  1. https://github.com/n8n-io/n8n 에 있는 그대로 하되,

Google 검색 페이지의 스크린 샷

환경설정으로 고생하기 싫으니 npx보다는 걍 도커로 합니다.

  1. 도커가 없으니 도커부터 macOS에 설치

Mac OS에 Docker 설치 지침

맥북에 도커설치하는건 금방 뚝닥.

  1. 도커 설치후, 터미널 열어서 n8n깃헙에 있는대로 아래 명령어 실행시키면

    docker volume create n8n_data
    docker run -it --rm --name n8n -p 5678:5678 -v n8n_data:/home/node/.n8n docker.n8n.io/n8nio/n8n

알아서 도커에 n8n컨테이너 다운로드.

아래 같이 도커 데스크탑에 컨테이너가 설치된 걸 확인할 수 있었음.

Adwords 대시 보드의 스크린 샷

  1. 브라우저에 http://localhost:5678/ 를 넣고 이동하면

    '자체 계정을 설정하는 단어'가있는 계정 설정 페이지

    다른 서버들이랑 똑같은 계정화면이 나옴

  2. 이메일 등록하면 추가기능 활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키 보내준다함 (일단 스킵)

    이메일 목록에 가입자를 추가하는 버튼을 보여주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3. 혜미님이 주신 샘플파일 업로드하고 테스트 해봄

    Google Analytics의 흐름도 스크린 샷

    일단 로딩까지 OK

  4. 박카스님따라 크레덴셜 연결까지 하면 빨간 테두리 안녕~ OK. https://www.gpters.org/research/post/n8neseo-google-sheets-jadonghwareul-wihan-oauth2-yeondong-gwajeong-a-to-z-hrS4wXZqDkmRvrk

    고객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5. 실행까지 OK. 의도된 대로 구글시트에 기록까지 완료.

결과와 배운 점

처음 써봤지만 도커 설치나, 도커로 n8n 맥북에 설치하는 것 자체는 무척 간단했음. 아마 도커 컨테이너에 새로운 패키지 설치가 필요하거나 하면 진짜 어려운 문제들이 터져나오지 싶음. 상시동작을 위해선 저렴이 맥미니나 클라우드 서버에 호스팅해보는것도 재밌을 듯.

셀프 호스팅을 하니, 에러가 발생했을 때 터미널 화면에 상세 오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좋음. (셀프 호스팅 환경이 아닌 경우도 확인 가능한가요?)

도움 받은 글 (옵션)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1. https://github.com/n8n-io/n8n

  2. https://gabrielyj.tistory.com/223

  3. https://www.gpters.org/research/post/n8neseo-google-sheets-jadonghwareul-wihan-oauth2-yeondong-gwajeong-a-to-z-hrS4wXZqDkmRvrk

2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