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 셀프호스팅 실패와 구글클라우드 셀프호스팅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아이디를 여러 개 쓰는 걸 별로 안 좋아해서 처음부터 셀프 호스팅을 목표로 NAS에 다운로드하길 원했지만 실패로 인해 클라우드 버전을 쓰다가 내가 원하는 유튜브 링크 이용한 자동 요약을 하려면 커뮤니티 노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셀프 호스팅만 이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걸 알고 클라우드 서버를 구글 클라우드로 우회해서 진행.

진행 방법

NAS 네트워크를 직접 공부해서 다운로드하고 환경 구축을 했기 때문에 자신이 있었는데 NAS 설치 당시 맥북이라서 해결되지 않던 문제를 유료 프로그램인 mountain duck을 사용하여 해결했던 문제에서 막힘을 느끼고 포기.(추가 유료 결제 필요성과 하더라도 성공한단 보장이 없어서)

방법은 o1한테 물어보면서 진행, 요약하자면
1. Nas에 docker 다운
2. docker 폴더에 n8n 다운
3. n8n 폴더에 docker compose 설정 (GPT가 잘 알려줘요! 어렵지만...)
4. 도메인으로 열어줄 네트워크 포트 설정
5. 도메인 연결 및 방화벽 설정 역 프록시 설정
에서 방화벽 건들 시에 다른 파일들에 보안이 문제가 생길 것 같아서 중단.
그래도 터미널로 ssh 접속하여 설정에서 모든 파일 정상 다운 및 설정 되었음은 확인 되었습니다. 다만 방화벽과 프록시 문제가 있을뿐이였죠! 다른 데이터보안 아니면 계속 도전 했을 것 같습니다.

아마 윈도우만 사용한다면 쉽게 했을 것 같은데 맥 OS와 윈도우를 둘 다 써야 하는 입장에서 그냥 다른 클라우드를 사용하기로 생각. (맥이 이런 데서 힘들게 하더라고요...)

해서 구글 클라우드에 설치하는 유튜브를 발견해서 바로 진행 했는데 5시간 정도 걸려서 모든 설정 끝낸거 같습니다. 링크는 밑에 참조!

결과와 배운 점

이러다 시간은 엄청 쓰는데 사례글 하나 못쓸거 같아서 시행착오 적었는데 아마 윈도우만 사용하신다면 NAS에 셀프호스팅 설치도 고려해 보실만 할 것 같습니다 reidrive 같은걸로 연결 쉽게 되는걸로 봐서는(추측입니다만) 가능할 것 같아요. 혹시나 저처럼 훗날에 셀프호스팅 도전하시다가 머리 깨지실 것 같은 분들을 위해 자그마한 실패 경험담 써서 사례글 올려요

n8n 사용하다보면 커뮤니티 노드 한번씩은 사용 하실 것 같아서 셀프호스팅 고민에 대해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 이후 youtube URL 자동화 하는데 JSON 파일 import도 안돼서 머리가 얼큰해지는 중 입니다... 열심히 따라가 볼게요!

도움 받은 글 (옵션)

NAS 설정 과정 채팅 올려드리고 싶었지만 제 API와 개인정보들이 너무 뒤섞여있어서 제외했습니다.

https://youtu.be/kdt5J2bpchM

1
4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