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개발자도 원클릭! 어디서든 Cursor 개발 가능한 최적의 풀스택 환경 만들기 설계 시도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 어디서든(새 PC, 노트북, 맥, 윈도우) 동일한 개발환경으로 Cursor 작업을 하고 싶었음

  • Cursor 설정이 매번 귀찮고, 초보자에게는 어렵기 때문

  • 프로젝트마다 다른 룰과 기술스택을 표준화하고,
    모든 설정이 자동으로 완료되는 ‘원클릭 개발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였음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진행 방법: 사용한 도구, 기술, 자동화 과정

  • AI 기획 + 코드 설계

    • vooster.ai, easynext, GPT, Gemini, Claude를 통해 PRD/TRD 문서 기획

    머리속 생각을 노트에 적어서 만들어 본 내용;

    개발 워크플로우의 완성

    Vooster.ai (기획/설계) → Easynext.org (초기 설정) → Cursor (구현/개발) → Coderabbit.ai (리뷰/품질 관리)

    • 위와 같이 AI 기반 개발의 전체 사이클에서 Coderabbit은 비어있는 '리뷰' 단계를 완벽하게 채워주며 전체 워크플로우의 완성도를 높임

  • 기획1단계: 프롬프트 만들기, 레포지토리 설계

    <Instructions>

    - 이 프롬프트는 새 GitHub 레포지토리 커서_풀스택개발_인프라설계(moonsoo-kim724 계정) 를 생성하고  
    Cursor-Core + 3개 전문 레포(cursor-medical‧webapp‧agents)를 통합·자동 배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원-클릭 인프라 부트스트랩” 가이드이다.  
    - GPT는 다음 AI 기반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해야 한다.  
      **① Vooster.ai(기획) → ② Easynext.org(초기 설정) → ③ Cursor‧Claude(코딩) → ④ Coderabbit.ai(리뷰)  
      → ⑤ GitHub 자동저장 → ⑥ Supabase(DB) → ⑦ Vercel/Netlify(배포)**  
    - 주요 요구사항  
      1. quick-install.ps1 / quick-install.sh – Windows PowerShell·macOS(zsh/bash)용 원-클릭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 Git‧NodeJS‧PNPM‧Go‧WSL(Ubuntu)·Google Cloud CLI 등 필수 도구 자동 설치  
         - .env.example ➜ .env 복사 후 API 토큰 입력 프롬프트 제공  
           (필드: VOOSTER_TOKEN‧EASYNEXT_TOKEN‧CODERABBIT_TOKEN‧OPENAI_KEY‧SUPABASE_URL‧SUPABASE_KEY‧VERCEL_TOKEN‧NETLIFY_TOKEN)  
         - vooster/easynext/coderabbit CLI 자동 로그인 & 설정  
         - git init → add → commit → branch main → remote add origin → push -u origin main 까지 자동 수행  
      2. Idempotent · 오류 발생 시 즉시 로그 후 종료 설계  
      3. cursor-medical 첫 실행 시 n8n 워크플로 템플릿 JSON(https://n8n.io/workflows/) 자동 다운로드  
      4. GitHub Actions CI/CD(`.github/workflows/ci.yml`) 을 제공하여 ➜ Supabase → Vercel/Netlify에 자동 배포  
      5. 모든 산출물(README, 스크립트, yml)은 한국어 주석 포함·플랫폼별 코드 블록 분리 제공  
    
    - GPT가 반드시 출력해야 할 결과 (**모두 한국어 주석**):  
      • README.md 설치 절차 스니펫  
      • quick-install.ps1 & quick-install.sh 예시  
      • .env.example 샘플  
      • scripts/connect-ai-tools.ps1 & .sh 템플릿  
      • supabase.config.json 기본값  
      • .github/workflows/ci.yml(Vercel·Netlify 동시 배포)  
    - 최종 답변은 반드시 한국어로만 작성해야 한다.
    </Instructions>
    
    <Persona>
    DevOps & AI 통합 풀스택 인프라 아키텍트+ 20년 경력 DevOps·풀스택 엔지니어 & 25년 전략·마케팅 전문가
    </Persona>
    <Role>
    - 커서_풀스택개발_인프라설계 레포의 디렉터리/스크립트 표준 정의  
    - Windows·macOS 양쪽에서 동작하는 원-클릭 설치 스크립트 구현  
    - Vooster.ai, Easynext.org, Coderabbit.ai API 연동 자동화 로직 설계  
    - Supabase·Vercel·Netlify CI/CD 파이프라인(yml) 작성 및 오류 처리 정책 수립  
    - 사용자 추가 질문 시 단계별 커스터마이징 가이드 제공
    </Role>
    <examples>
    예시1) 사용자 입력:  
    새 맥북에서 커서_풀스택개발_인프라설계를 곧바로 설치하고 싶어. 어떻게 해?
    GPT 예상 출력:  
    1️⃣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을 복사해 실행하세요. (zsh/bash)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moonsoo-kim724/커서_풀스택개발_인프라설계/main/quick-install.sh | bash
    ✔️ /Users/…/CursorProjects/ 커서_풀스택개발_인프라설계 구조가 생성되며
    Homebrew & 필수 CLI 설치
    .env 파일 생성 후 토큰 입력 요청
    vooster/easynext/coderabbit CLI 설정 및 로그인
    Supabase 프로젝트 초기화, vercel/netlify 로그인
    첫 커밋과 GitHub 원격 푸시까지 자동 완료됩니다.
    예시2) 사용자 입력:  
    윈도우 노트북에서 cursor-core를 처음 설치하고 싶어. 어떻게 해?
    GPT 예상 출력:  
    1️⃣ PowerShell 관리자 모드에서 아래 한 줄을 복사-붙여넣기 후 엔터하세요.
    iwr -useb [https://raw.githubusercontent.com/moonsoo-kim724/cursor-core/main/quick-install.ps1](https://raw.githubusercontent.com/moonsoo-kim724/cursor-core/main/quick-install.ps1) | iex
    📂 C:\CursorProjects\cursor-core 디렉터리가 생성되고,
    * WSL(Ubuntu-22.04) 설치·업데이트
    * Git/NodeJS/PNPM/Go 설치
    * .env.example ➜ .env 변환 후 API 토큰 입력 프롬프트
    * vooster/easynext/coderabbit CLI 연결
    * Supabase 프로젝트 초기화 및 vercel login
    * 첫 커밋·원격 푸시까지 자동 완료됩니다.
    
    <Chain of Thought>
    1.  요구 분석  
       - 레포 4종 구조, AI 툴 3종, CI/CD 2종, DB 1종, OS 2종(PowerShell‧bash)에 대한 자동화 필요.  
       - 새 레포 이름, 4-레벨 아키텍처, AI 도구 3종, CI/CD 2종, DB 1종, OS 2종 요구 파악.  
    2. 적합 역할: DevOps & AI 통합 인프라 아키텍트 → 인프라·자동화 청사진 제공에 최적.  
    3. 지시사항 구성: 필수 단계·제약·산출물 구체화, 한국어 고정, 오류/재실행 고려 포함.  
    4. 예시 설계: 
        - 사용자가 즉시 따라 할 수 있는 설치 명령·결과 시뮬레이션 제공.
        - 실제 사용자 질문-응답 형태로 원-클릭 사용법 시연, 신뢰도↑. 
    5. 세부 절차 도출, 단계별 추론  
       a) 설치 스크립트 작업 순서 → 도구 설치 → .env → AI CLI → GitHub 초기화 → 푸시  
       b) .env.example 필드 정의 및 설명  
       c) n8n 템플릿 자동 다운로드 함수화  
       d) GitHub Actions yml에 Supabase 마이그레이션 → Vercel·Netlify 병렬 배포 단계 포함
       e)  GitHub 원격 자동 푸시 명령어 포함  
    6. 검증: 각 스크립트  idempotent, 플랫폼 차이, 토큰 누락 시 안전 종료 여부 점검. 윈도우 맥 경로차이 처리.
    7. 출력 형식: 단일 코드블록 내에 모든 섹션 포함, 최종 답변은 한국어만 사용.
    </Chain of Thought>

    프롬프트: 추론버전v1

    Goal>
    새 GitHub 레포 “커서_풀스택개발_인프라설계”(org: moonsoo-kim724)를 생성하고,
    ① 공통 인프라 폴더(Cursor-Core)와 3개 전문 레포 구조를 자동 scaffold,
    ② Windows PowerShell·macOS zsh·Ubuntu bash용 “원클릭 설치” 스크립트를 동시 생성,
    ③ Vooster.ai·EasyNext.org를 초기 호출하여 프로젝트 명세·Next.js 템플릿을 자동 확보,
    ④ Cursor IDE & Claude 통합 설정(json) 생성 후, CodeRabbit.ai 리뷰 파이프라인(.yml) 삽입,
    ⑤ git init → add . → commit “init” → GitHub remote push까지 자동 실행,
    ⑥ .env 예시 파일에 LLM·AI API KEY 플레이스홀더 저장(절대 실제 Key 노출 금지),
    ⑦ Supabase 프로젝트·테이블 기본 스키마를 CLI로 프로비저닝,
    ⑧ Vercel / Netlify 양쪽 모두 배포 설정 파일 및 CLI deploy 스크립트 생성,
    ⑨ 최종적으로 로컬·새 PC 어디서든 ‘./quick-install.(ps1|sh)’ 한 줄로 동일 환경을 재현.
    </Goal>
    
    <Return Format>
    Markdown 문서 한 파일에 다음 순서로 출력
    1. ▶ **“실행 순서 요약”** – 1 쪽
    2. ▶ **“프로젝트 파일 트리”** – 트리 구조
    3. ▶ **“각 파일 내용”** –  
       · 스크립트/설정/워크플로우 파일은 ```bash / ```powershell / ```json 블록으로 본문 전체 포함  
       · 길이가 150 줄 초과 시 “…(생략)” 처리 후 Gist 링크 placeholder `<GIST_URL>`
    4. ▶ **“사용 방법”** – OS별 실행 예, 초기 설정 주의
    5. ▶ **“Troubleshooting FAQ”** – 10문항
    </Return Format>
    
    <Warnings>
    - 실제 API KEY·토큰은 절대 노출‧커밋하지 말 것(“YOUR_…_HERE” 사용).
    - 라이선스가 필요한 서드파티 코드·에셋은 MIT / Apache-2.0 등 검증된 오픈소스만 사용.
    - Windows · macOS · Ubuntu 환경 모두 테스트해 **명령어 호환성**을 확인 후 출력.
    - 의료 데이터 처리 시 HIPAA/K-의료법 준수 플래그를 템플릿에 포함.
    - “의료 광고” 콘텐츠 템플릿 생성 시 허위·과장 표현 금지.
    </Warnings>
    
    <Context Dump>
    - GitHub 계정: https://github.com/moonsoo-kim724
    - 레포 계층 구조: Cursor-Core / Cursor-Medical / Cursor-Webapp / Cursor-Agents (세부 트리 위 대화 참고)
    - 개발 사이클: Vooster.ai (기획) → EasyNext.org (초기 프로젝트 scaffold) → Cursor+Claude (구현) → CodeRabbit.ai (리뷰) → GitHub → Supabase → Vercel·Netlify (배포)
    - 필수 통합 도구: Google Cloud CLI, Supabase CLI, Vercel CLI, Netlify CLI, n8n CLI
    - 참조 문서: https://docs.google.com/document/d/1BsBEmYlr3DHKdOi5wPxxxxxxxxx
    </Context Dump>

  • 기획2단계: nexteasy.org에서 github 아키텍처를 만들고, vooster.ai로 PRD, TRD, Code 가이드라인 만듬. (3번에 걸쳐 수정함): Gemini 2.5 pro (심층리서치), GPT03, Claude 4 sonnet(심층)

  • easynext.org & vooster.ai 를 통해 프로젝트 구조 설계 재수정.

아래 TRD를 다음 기준에 따라 검토하고 개선하라. 개선할 포인트를 간단하게 설명한뒤, 모두 설명하고 나서 완성본을 응답하라.

- Next.js 15 버전 최신 권장사항에 맞는 structure로 구성.
- 가장 빠르게 MVP를 출시하기 위해 기슬스택과 복잡도 등이 최소한으로 설계되었는지 점검.
- 파일이 충돌이 일어나거나 오류 발생 가능성 점검.
---
# 기술 요구 사항 문서 (TRD)

## 1. 기술 개요
### 현대적 기술 요구사항 프레임워크 개요
본 프로젝트는 안전성, 확장성, 규정 준수를 핵심 가치로 삼는 현대적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를 채택합니다.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SMART 목표 기반 관리**: 모든 기술 요구사항은 비즈니스 목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구체적(Specific), 측정 가능(Measurable), 달성 가능(Achievable), 관련성(Relevant), 시간 제한(Time-bound)이 명확히 정의됩니다.
- **API 우선 설계**: 모든 서비스는 REST/GraphQL API를 통해 표준화된 방식으로 기능을 제공합니다.
- **관리형 서비스 우선**: Supabase, Vercel, Netlify 등 관리형 플랫폼을 우선 사용하여 운영 오버헤드를 최소화합니다.
- **보안 및 규정 준수 내재화**: 개발 및 배포 전 단계에 보안(비밀 관리, 자동 스캐닝)과 법적 데이터 보호(HIPAA, 개인정보보호법 등)를 일관되게 적용합니다.
- **자동화와 계층화된 방어**: 종속성 관리, 테스트, 보안 스캐닝, 배포 등 모든 품질 보증 프로세스에 자동화를 적용하고, 단일 실패 지점을 없애기 위해 계층화된 도구 및 전략을 병행합니다.
- **비용 인식 및 최적화**: 플랫폼 및 API, 내부 도구의 라이선스 및 사용 비용을 사전에 분석하고, 운영 중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프로젝트 개요
본 프로젝트는 "AI+자동화 중심 DevOps·협업·배포·리뷰 완전 자동화"를 목표로, 개발 환경 구축 및 프로젝트 초기 설정을 원클릭으로 자동화하는 풀스택 개발 인프라를 구축합니다. GitHub 모노레포 구조를 활용하여 `Cursor-Core` 공통 인프라와 `Cursor-Medical`, `Cursor-Webapp`, `Cursor-Agents`와 같은 전문 도메인 레포지토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AI 도구 및 배포 파이프라인을 통합하여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합니다. 핵심은 최소한의 기술 스택으로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과도한 엔지니어링을 지양하는 것입니다.

### 핵심 기술 스택
주요 기술 스택은 PowerShell, Bash 스크립트, Node.js, Python, Docker, Supabase, GitHub Actions, Vercel/Netlify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신속한 환경 구축과 자동화된 배포 파이프라인 구현에 최적화된 조합입니다.

### 주요 기술 목표
- **성능**: 신규 PC 환경 구축 시간 30분 이내 달성.
- **확장성**: 모노레포 구조를 통해 신규 도메인 레포 추가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합니다.
- **안정성**: 자동화 스크립트 오류율 2% 미만 유지 및 GitHub Actions를 통한 CI/CD 안정성 확보.
- **보안**: `.env` 파일 관리 및 GitHub Secrets를 활용한 API 키 보안 강화.
- **SMART 기반 목표 명확화**: 모든 기술 목표는 상위 비즈니스 목표와 직접 매핑되며, 구체적(Specific), 측정 가능(Measurable), 달성 가능(Achievable), 관련성(Relevant), 시간 제한(Time-bound)이 명확히 정의됩니다.
- **자동화 수준**: 종속성 업데이트, 보안 스캐닝, 테스트, 배포 등 핵심 품질 게이트는 자동화 도구(Dependabot/Renovate, Snyk, Trivy, GitHub Actions, CodeRabbit 등)로 통합 관리합니다.
- **테스트 커버리지**: 신규 코드의 단위 테스트 커버리지 80% 이상, 주요 서비스 간 인터랙션에 대해 통합 테스트 및 주요 사용자 시나리오에 E2E 테스트 필수화.

### 주요 기술 가정
- 모든 개발 환경은 Windows 10+, macOS 13+, Ubuntu 20.04+, WSL2를 지원합니다.
- 외부 연동 서비스(Vooster, EasyNext, CodeRabbit, n8n, Make.com, Retool Cloud, Vercel, Netlify)의 API 안정성을 가정합니다.
- GitHub 모노레포 구조는 Submodule 또는 `gh deploy`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습니다.

## 2. 기술 스택

| Category | Technology / Library | Reasoning (Why it's chosen for this project) |
| :---------------- | :--------------------------- | :----------------------------------------------------------- |
| **스크립트 언어** | PowerShell 7 | Windows 환경에서 강력한 시스템 자동화 및 스크립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
| | Bash 5 | macOS 및 Linux(Ubuntu, WSL2) 환경에서 표준적인 시스템 자동화 및 스크립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
| **런타임 환경** | Node.js 18 (LTS) | `npm`을 통한 패키지 관리 및 Supabase CLI, Vercel CLI 등 다양한 개발 도구의 실행 환경으로 활용됩니다. |
| | Python | `sns-auto-post.py`와 같은 예제 스크립트 실행 및 데이터 처리, AI/ML 관련 기능 확장에 용이합니다. |
| **컨테이너** | Docker | 개발 환경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향후 복잡한 서비스 배포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데이터베이스** | Supabase (PostgreSQL) | 오픈 소스 기반의 강력한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와 인증, 스토리지 기능을 제공하여 빠른 개발 및 확장에 적합합니다. |
| **CI/CD & 자동화** | GitHub Actions | 코드 변경 시 자동 테스트, 빌드, 배포를 위한 강력하고 유연한 CI/CD 파이프라인을 제공합니다. |
| **배포 플랫폼** | Vercel | 프론트엔드 웹 애플리케이션의 빠르고 쉬운 배포 및 자동화된 CI/CD 연동을 지원합니다. |
| | Netlify | Vercel과 유사하게 정적 사이트 및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 배포에 용이하며, 다양한 빌드 기능을 제공합니다. |
| **외부 연동** | REST API | Vooster, EasyNext, CodeRabbit 등 다양한 외부 AI 및 협업 도구와의 표준적인 연동 방식입니다. |
| | GraphQL | Supabase와의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 및 복잡한 쿼리 처리에 활용됩니다. |
| **워크플로우 자동화** | n8n | 다양한 서비스 간의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를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
| | Make.com | n8n과 유사하게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
| **대시보드** | Retool Cloud | 빠르고 쉽게 내부 도구 및 대시보드를 구축할 수 있어 병원 마케팅 대시보드 구현에 적합합니다. |

## 3.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 최상위 빌딩 블록
- **클라이언트 환경**: 개발자가 사용하는 로컬 PC 환경으로, `quick-install` 스크립트를 통해 필요한 모든 개발 도구와 환경이 자동 설정됩니다.
- **GitHub 레포지토리**: `cursor_fullstack_infra` 모노레포를 중심으로 `Cursor-Core`와 각 도메인 레포(Medical, Webapp, Agents)가 관리됩니다. GitHub Actions를 통해 CI/CD 및 자동화가 이루어집니다.
- **Supabase**: 프로젝트의 핵심 데이터베이스(PostgreSQL) 및 스토리지, 인증 기능을 제공합니다.
- **외부 서비스 연동**: Vooster, EasyNext, CodeRabbit, n8n, Make.com, Retool Cloud, Vercel, Netlify 등 다양한 외부 서비스와 API 연동을 통해 자동화된 워크플로우 및 기능을 제공합니다.

### 최상위 컴포넌트 상호작용 다이어그램

```mermaid
graph TD
    A[개발자 로컬 PC] --> B[quick-install 스크립트]
    B --> C[GitHub 레포지토리]
    C --> D[GitHub Actions]
    C --> E[Supabase]
    D --> E
    D --> F[Vercel/Netlify]
    C --> G[외부 AI/자동화 도구]
    G --> H[Retool Cloud]
    E --> H
```

- **개발자 로컬 PC**: `quick-install`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개발 환경을 설정합니다.
- **`quick-install` 스크립트**: Git, Node, Python, Docker, gcloud, Supabase CLI 등을 설치하고, `.env` 파일을 생성하며, GitHub 레포지토리를 초기화합니다.
- **GitHub 레포지토리**: `Cursor-Core` 및 전문 레포(Medical, Webapp, Agents)를 포함하며, 코드 변경 시 GitHub Actions를 트리거합니다.
- **GitHub Actions**: CI/CD 파이프라인을 실행하여 테스트, Supabase 마이그레이션, Vercel/Netlify 배포를 자동화하고, CodeRabbit 자동 리뷰를 연동합니다.
- **Supabase**: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며, `supabase-init` 스크립트를 통해 프로젝트별 DB가 생성됩니다.
- **Vercel/Netlify**: 웹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배포를 담당하며, GitHub Actions와 연동됩니다.
- **외부 AI/자동화 도구**: Vooster, EasyNext, CodeRabbit, n8n, Make.com 등과 REST/GraphQL API를 통해 연동되어 AI 기반 코드 리뷰, 워크플로우 자동화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Retool Cloud**: Supabase 데이터와 연동하여 병원 마케팅 대시보드를 제공합니다.

### 코드 구성 및 규칙
**도메인 중심 조직화 전략**
- **도메인 분리**: 비즈니스 도메인(예: `Cursor-Medical`, `Cursor-Webapp`, `Cursor-Agents`)별로 코드를 분리하여 관리합니다. 각 도메인은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Cursor-Core`는 공통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 **계층 기반 아키텍처**: 각 도메인 내에서 프레젠테이션,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인프라 계층으로 관심사를 분리합니다.
- **기능 기반 모듈**: 특정 기능과 관련된 파일들을 하나의 모듈로 묶어 관리하여 응집도를 높입니다.
- **공유 컴포넌트**: 공통 유틸리티, 타입 정의, 재사용 가능한 스크립트 등은 `Cursor-Core` 내의 공유 모듈에 위치시킵니다.

**범용 파일 및 폴더 구조**
```
/
├── .github/
│   └── workflows/
│       ├── ci.yml
│       ├── deploy.yml
│       └── coderabbit-review.yml
├── Cursor-Core/
│   ├── scripts/
│   │   ├── quick-install.ps1
│   │   ├── quick-install.sh
│   │   ├── connect-ai-tools.ps1
│   │   ├── connect-ai-tools.sh
│   │   ├── supabase-init.ps1
│   │   ├── supabase-init.sh
│   │   ├── vercel-deploy.ps1
│   │   ├── vercel-deploy.sh
│   │   ├── netlify-deploy.ps1
│   │   └── netlify-deploy.sh
│   ├── .env.template
│   ├── README.md
│   └── shared/
│       ├── utils/
│       └── types/
├── Cursor-Medical/
│   ├── n8n-workflows/
│   │   └── instagram-sms-supabase.json
│   ├── retool-dashboards/
│   │   └── sns-performance.yaml
│   ├── python-examples/
│   │   └── sns-auto-post.py
│   └── README.md
├── Cursor-Webapp/
│   ├── templates/
│   ├── design-references/
│   └── README.md
├── Cursor-Agents/
│   ├── ai-agent-examples/
│   ├── mcp-server/
│   ├── workflow-examples/
│   └── README.md
├── .gitignore
└── README.md
```

### 데이터 흐름 및 통신 패턴
-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quick-install` 스크립트는 로컬 환경에서 실행되며, GitHub API, Supabase CLI, Vercel/Netlify CLI 등과 통신하여 환경 설정 및 배포를 수행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상호작용**: Supabase CLI를 통해 로컬에서 DB 생성, 권한 설정, 마이그레이션이 이루어지며, 애플리케이션은 Supabase SDK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합니다.
- **외부 서비스 통합**:
    - **AI 툴**: `connect-ai-tools` 스크립트는 `.env` 파일의 API 키를 읽어 Vooster, EasyNext, CodeRabbit의 REST API를 호출하여 연동을 설정합니다.
- **자동화된 테스트 및 검증**: GitHub Actions를 통해 스크립트 실행 후 `.cursor_check` 파일 생성 여부, CodeRabbit 리뷰 결과 등을 자동으로 검증하여 오류 발생 시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응합니다.
- **종속성/보안 자동화**: 모든 저장소에서 Dependabot(기본) 또는 복잡한 모노레포에는 필요시 Renovate를 통한 종속성 자동 업데이트를 필수화합니다. 종속성 업데이트는 주간 단위로 그룹화, CODEOWNERS 기반 자동 리뷰어 지정, 고정 종속성 주석화 규칙을 적용합니다.
- **데이터 보안/법적 준수**: Supabase의 RLS(행 수준 보안) 및 RBAC, 데이터 암호화(AES-256), 익명화(비-프로덕션 데이터 집합), 각 관할권별 데이터 처리 기준(예: HIPAA, 대한민국 개인정보보호법/의료법)에 따라, 수집 동의, 보존 기간, 제3자 제공 제한, 환자 권리 보장, CCTV 안내 등 주요 요구사항을 준수합니다.
- **계층화된 테스트 표준화**: PowerShell(Pester), Bash(Bats-core) 기반 단위 테스트(커버리지 80% 이상), 중요 서비스 간 통합 테스트(전용 테스트 환경, 이벤트/엔드포인트 시뮬레이션), 주요 사용자 여정에 대한 E2E 테스트(Playwright, Allure Report 등) 구성 및 CI/CD 게이트 적용.

- **중앙 집중식 비밀 관리**: API 키, 데이터베이스 자격증명 등은 GitHub Secrets 및(필요시) 외부 비밀 관리 도구를 통해 관리되며, 자동 순환 정책을 적용합니다.
- **관찰 가능성 및 복원력**: 로그, 메트릭, 트레이스를 중앙 집중식 플랫폼(Grafana Loki, SigNoz, Datadog 등)에 연동하고, 경고 및 복구 런북을 운영 표준으로 채택합니다.
- **데이터 보안/법적 준수**: Supabase의 RLS(행 수준 보안) 및 RBAC, 데이터 암호화, 익명화, 각 관할권별 데이터 처리 기준(예: HIPAA,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합니다.
    - **배포 플랫폼**: Vercel/Netlify는 GitHub Webhook을 통해 코드 변경을 감지하고, GitHub Actions와 연동하여 자동 배포를 수행합니다.
- **데이터 동기화**: GitHub Actions를 통해 Supabase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가 실행되어 DB 스키마 변경 사항을 동기화합니다.

## 4. 성능 및 최적화 전략

- **스크립트 실행 최적화**: `quick-install` 스크립트는 불필요한 종속성 설치를 최소화하고, 병렬 설치가 가능한 경우 이를 활용하여 실행 시간을 단축합니다.
- **캐싱 활용**: Node.js `npm` 및 Python `pip` 패키지 설치 시 캐싱을 활용하여 반복 설치 시간을 줄입니다.
- **경량화된 도구 선택**: 시스템 리소스를 적게 사용하는 CLI 기반 도구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전체적인 환경 구축 속도를 향상시킵니다.
- **자동화된 테스트 및 검증**: GitHub Actions를 통해 스크립트 실행 후 `.cursor_check` 파일 생성 여부, CodeRabbit 리뷰 결과 등을 자동으로 검증하여 오류 발생 시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응합니다.

## 5. 구현 로드맵 및 마일스톤

### 1단계: 기반 (MVP 구현)
- **핵심 인프라**: `quick-install.ps1/.sh` 스크립트 개발 (OS 감지, Git·Node·Python·Docker·gcloud·Supabase CLI 자동 설치).
- **필수 기능**: `.env` 자동 생성 및 API Key 입력 유도, GitHub 자동 init/add/commit/push 구현.
- **기본 보안**: `.env` 파일 `.gitignore` 처리 및 GitHub Secrets를 통한 API 키 관리.
- **개발 환경 설정**: GitHub Actions를 통한 기본적인 CI/CD 파이프라인 구성 (린트, 테스트).
- **온보딩/멘토링**: 신규 개발자 온보딩 시 표준화된 개발 환경 세팅, 첫날 사소한 버그 수정 과제(저위험 시작 과제), 관찰 가능성 도구(로깅/모니터링) 소개, 90일 시니어 멘토 배정, 회사 문화 및 보안 우선 사고 세션을 온보딩 프로세스에 포함합니다.
- **지속적 교육/SMART 목표**: 기술력 향상과 아키텍처/보안 원칙 내재화를 위해 정기적인 교육, 기술 스택/아키텍처 패턴/핵심 도구 소개, SMART 목표 기반 성과 평가 및 멘토-멘티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6. 위험 평가 및 완화 전략

### 프로젝트 거버넌스 및 온보딩 표준
- **온보딩/멘토링**: 신규 개발자 온보딩 시 표준화된 개발 환경 세팅, 첫날 사소한 버그 수정 과제, 관찰 가능성 도구 소개, 90일 시니어 멘토 배정 등을 운영 표준으로 채택합니다.
- **지속적 교육/SMART 목표**: 기술력 향상과 아키텍처/보안 원칙 내재화를 위해 정기적인 교육과 SMART 목표 기반 역량 평가를 시행합니다.
- **고급 기능**: `connect-ai-tools` 스크립트 개발 (Vooster·EasyNext·CodeRabbit REST 연동), PR 생성 시 CodeRabbit 자동 리뷰 및 GitHub Check 등록.
- **성능 최적화**: 설치 스크립트 실행 시간 15분 이내 달성 목표.
- **향상된 보안**: GitHub Actions Encrypted Secrets 활용 강화.
- **모니터링 구현**: CLI 진행률 바, 실패 시 복구 가이드 출력 기능 구현.
- **예상 완료 시점**: M+2 ~ M+3

### 3단계: 확장 및 최적화
- **확장성 구현**: 신규 도메인 레포 추가 시 동일 스크립트 재사용 가능하도록 구조화.
- **고급 통합**: n8n JSON 워크플로우, Retool YAML 대시보드, Python 예제 (`sns-auto-post.py`) 통합 및 안정화.
- **엔터프라이즈 기능**: `Cursor-Agents` 레포 내 AI-Agent, MCP 서버, Workflow 예제 구현.
- **규정 준수 및 감사**: 의료법 준수 및 컴플라이언스 체크 모듈 개발 (향후 계획).
- **예상 완료 시점**: M+4 ~ M+6

## 6. 위험 평가 및 완화 전략

### 기술 위험 분석
- **기술 위험**: 다양한 OS(Windows, macOS, Linux) 및 버전별 스크립트 호환성 문제.
    - **완화 전략**: PowerShell 7 및 Bash 5와 같은 최신 버전 스크립트 언어 사용을 표준화하고, WSL2를 통한 Windows 환경에서의 Linux 호환성 확보. 각 OS별 충분한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 **성능 위험**: `quick-install` 스크립트의 실행 시간이 목표(15분)를 초과할 가능성.
    - **완화 전략**: 설치 스크립트의 병렬 처리, 불필요한 설치 항목 제거, 네트워크 의존성 최소화를 통해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수행합니다.
- **보안 위험**: API 키 등 민감 정보 노출 위험.
    - **완화 전략**: `.env` 파일은 `.gitignore`에 포함하고, 실제 CI/CD 환경에서는 GitHub Secrets를 사용하여 민감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 **통합 위험**: 외부 서비스(Vooster, CodeRabbit 등) API 변경 또는 서비스 중단.
    - **완화 전략**: 외부 API의 버전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API 변경 시 신속하게 스크립트를 업데이트합니다. 주요 외부 서비스에 대한 Fallback 또는 대체 서비스 고려.

### 프로젝트 제공 위험
- **일정 위험**: 복잡한 환경 설정 및 다양한 외부 서비스 연동으로 인한 개발 일정 지연.
    - **완화 전략**: MVP를 중심으로 단계별 개발 로드맵을 엄격히 준수하고, 각 단계별 마일스톤을 명확히 설정하여 진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검토합니다.
- **자원 위험**: 스크립트 개발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전문 인력 부족.
    - **완화 전략**: PowerShell, Bash, Node.js, Python 등 범용적인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 인력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문서화를 통해 온보딩 시간을 단축합니다.
- **품질 위험**: 자동화 스크립트의 오류율이 높아 사용자 경험 저하.
    - **완화 전략**: GitHub Actions를 통한 자동화된 테스트 및 검증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집하여 스크립트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 **배포 위험**: 다양한 환경에서의 배포 파이프라인 구성 실패.
    - **완화 전략**: Vercel, Netlify 등 검증된 배포 플랫폼을 활용하고, GitHub Actions를 통해 배포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환경 간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비상 계획**: 주요 스크립트 실패 시 사용자에게 명확한 오류 메시지와 복구 가이드를 제공하여 자가 해결을 돕습니다.

<작업 내용 정리>

다양한 프롬프트로 vooster PRD 작성 시도함.

  • easynext로 github 레포지토리에 아키텍처 생성

  • 작성된 TRD로 vooster TRD, Code 가이드라인 생성

  • easynext.org & vooster.ai 를 통해 프로젝트 구조 설계 수정 검토, Code가이드라인 완성

  • Cursor와 Claude code를 사용하여 설계 개발 : 반복되는 오류 -> 수정 -> 충돌 -> 수정 -> 오류 -> 수정.........

  • 다양한 방법으로 코드 오류 수정함.

    • Google CLI / MCP 서버 자동 연동

    • Claude code 활용한 코드 설정 자동화

  • 개발환경 자동 연결 : Cursor + Claude code 사용 MVP 완성

    • MVP 결과:

      • 원클릭으로 어느 PC에서나 커서 개발환경 설치가능함.

      • 자동 설치 도구들

        • Python 3.10

        • Git & GitHub CLI

        • WSL Ubuntu 24.04

        • Node.js & npm

        Cursor 완전 자동화

        • 키보드 단축키 설정

        • 프로젝트 자동 모니터링

        • 가상환경 자동 설정

        • Git 자동 커밋 & 푸시

        Vooster AI 통합

        • 작업 우선순위 자동 분석

        • 기술 스택별 자동 실행

        • 연속 작업 자동 처리

        WSL Claude 자동화

        • Claude 프로세스 자동 관리

        • 터미널 통합 실행

      컴퓨터의 한국어 설정 스크린 샷
  • 3단계기획/설계 고도화 작업(TRD/Code가이드라인) 및 실제 사업적용을 위한 설계

    * 충돌 문제로 인하여 다시 코드 점검, 확인작업함
    * 깃허브 레포지토리 다시 생성: cursor-fullstack-infra

  • 코드 리뷰 & 점검 자동화

    • Coderabbit 연결 → 코드 개선 루프 구축, vooster 자동 실행, 코드 개선.

  • AI + 자동화 확장

    • Context7, MCP API 등 → 레퍼런스 자동 호출

    • 마케팅 자동화를 위한 이미지 생성 도구 및 API 연동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현재 진행 상황>

결과와 배운 점

  • vooster 태스크 작업이 1~10까지 있어서 이제 2단계까지 작업한 상태여서 아직 완성된 건 아니지만, 큰 틀의 가능성을 확인함.

  • easynext, vooster 사용법을 먼저 숙지하고 작업해야 덜 고생한다.

  • Cursor의 프로젝트 Rule이 천차만별이라 어려웠지만,
    기획–개발–코드점검까지의 자동화 프로세스는 충분히 구현 가능

  • 향후에는 이 시스템을 통해
    비개발자도 쉽게 개발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돕고 싶음

  • 이런 작업이 쉽진 않았고, 아직도 완성되려면 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 그러나,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 개발이 완성된다면, 많은 비개발자들의 개발환경 셋팅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 커서 맛피아님께 감사... 계속 감사할 분들이 많아진다.....;;;

도움 받은 글/도구 (옵션)

1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