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8N으로 RAG 진행하기 with SLACK

소개

만들게 된 계기 요약

  1. 팀 내 RAG를 진행할 공간이 필요함 (슬랙을 사용한 이유)

  2. 디벨롭하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음(N8N)

  3. 팀 내 필요한 자료를 찾는데 시간이 많이 듦
    - 그 자료 어딨더라? 공유 폴더 뒤지는데 한 세월

도움 받은 글

테디노트 & 샘호트만 : AI 자동화 노코드(https://www.youtube.com/watch?v=0461hyqdQvw&t=2647s)

박정기 스터디장 : [문과생도 AI] 개발자가 부럽다면? 문과생도 시작할 수 있는 N8N 튜토리얼 (https://www.gpters.org/nocode/post/what-you-envy-developer-BjEaZBcFPoCTi50)

결과물

2배속

n8n 연결

프로세스의 다양한 단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계기

서두에도 말씀 드렸다시피, 팀원들과 함께 LLM을 활용하여 문서를 빨리 찾고 소통하는 공간을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왜냐하면 업무를 진행할 때마다,

'그 자료 좀 만들어주세요' -> '그거 예전에 만들어뒀는데' -> '그 자료 어딨더라?'

라는 의사소통이 자주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심지어는 진짜 못 찾아서 처음부터 한 경험도 제법 있습니다. 그래서, N8N을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줄어들 거라 생각했습니다.

'봇에게 필요한 내용 물어보기' -> '관련 내용 찾아주고 파일 이름을 찾아줌'

진행 내용

우선 시행착오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특히나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SLACK과 N8N이 웹훅을 주고 받는 부분이었습니다.

  1. SLACK 메세지 트리거 작동 안함

  2. 따라서, 웹훅 트리거 사용 -> 오류 발생

    WordPress 게시물의 스크린샷
  3. 결국 성공하였으나, 고작 아래 1줄에 3일을 날려먹음.(비개발자의 비애 ㅠㅠ)

    검은색 화면이 있는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샷

이런 과정을 겪지 않으려면 만들어진 탬플릿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후부터는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습니다.

진행 예정

  1. 위스퍼 모델을 통한 회의록 작성

  2. 로컬 서버 구현 - 이재엽님 포스팅 참고 예정(https://www.gpters.org/marketing/post/start-customized-chatbot-using-Tu3Gl7UxXw9t9Fe)

소감

우선 저는 11기 문과생도 AI와 12기 MAKE와 LLM으로 자동화 수강하였습니다.
11기 당시 막 VSCODE 설치하고 트라필라투라 따라해보던 기억이 나네요.

그러면서, 박정기 스터디장께서 본인의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빨리 실력이 상승한다고 하셨는데
정작 제가 하고 싶은 프로젝트가 없어서 적극적으로 참석하지 못했었습니다.
그러다, 13기가 되어서야 하고 싶은 프로젝트가 생긴 게 감개무량합니다.

이번 N8N을 만들면서 좋았던 건, 랭체인에 대한 이해가 올라갔다는 겁니다. 랭체인을 공부하면서도 에이전트니 툴이니 그냥 GPTS 쓰면 되지 왜 굳이 복잡하게 하는 걸까라는 고민을 참 많이 했는데 노드들을 이리저리 굴려보면서 그 감을 좀 잡게 된 것 같습니다.

언젠가 저도 랭그래프에 도전할 수 있는 날이 오겠지요!

마지막으로, 13기 고생 많으셨습니다.

5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